
새뮤얼 헌팅턴의 미국 새뮤얼 헌팅턴 지음/형선호 옮김
정통 보수주의자이자 주류 백인인 헌팅턴은 하나의 언어, 하나의 종교, 하나의 신조로 이루어진 미국이 히스패닉에 의해 두 개의 국가, 두 개의 문화권으로 나뉘고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의 정체성은 미국의 신조(정치적 이념)와 앵글로-개신교도 문화로 규정된다. 흔히 기회의 평등, 자유와 정의, 정부의 책임성 같은 사회적 합의를 미국의 신조라 부른다. 미국 문화의 뿌리는 영국에서 건너온 개척자들에게서 비롯됐다. 이들이 미국의 신조를 탄생시켰고 국가적 언어를 결정하며 다양한 제도를 만들었다. 헌팅턴은 범세계주의, 제국주의, 국가주의 세 가지 갈림길에서 미국이 가야 할 길은 국가주의라고 말한다. 김영사/528쪽/1만9900원
쿨하게 출세하기 박창식 지음
정치나 관료, 시민운동, 학자, 저술가 등 공적 분야에서 지도력을 발휘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이해찬 총리는 연구 대상이다. 우선 그는 고속출세 또는 압축성장의 전형이다. 50대 초반에 5선 의원이 됐으며 52세에 국무총리가 됐다. 둘째, 그는 운동권 출신 첫 총리다. 과거 행정의 달인이나 명망가형 총리와 다르다. 셋째, 그는 능력은 있으나 인덕이 없다는 평을 듣는다. 넷째, 비범함과는 거리가 멀다. 저자는 흔히 면도날, 송곳에 비유되는 모난 인간성을 통해 이 총리의 캐릭터를 분석하고 세간의 평판보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로 승부해온 이 총리의 예를 통해 독특한 성공모델을 제시한다. 인물과사상사/250쪽/8000원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전2권) 정민, 박수밀, 강민경, 박동욱 지음
물색(物色)이란 한자말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옛날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서 빛깔이 같은 말을 색마(色馬), 힘이 같은 말을 물마(物馬)라 했다. 물색은 빛깔과 힘이 균일한 네 마리 말을 일컫는데 물색이 같아야 수레가 뒤집히지 않고 잘 달린다. 짐작(斟酌)에서 ‘짐’은 술잔에 넘치지 않게 술을 따르는 것을, ‘작’은 흘러넘치도록 많이 따르는 것을 가리킨다. 이 책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의 뜻과 그 속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풀어 설명한다. 1권은 ‘생활과 한자’, 2권은 ‘문화와 한자’로 권별로 100여개의 키워드를 제시하고 하나의 어휘가 비슷한 어휘로 확산하며 그것이 주제로 연결되고 다시 파생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휴머니스트/각 284쪽/각 1만5000원
서유기 오승은 지음/연변인민출판사 번역팀 옮김(전10권)
중국 4대기서 중 하나요 동양 판타지의 고전인 ‘서유기’ 정역본이 나왔다. 현암사가 펴낸 ‘서유기’는 명나라 금릉 세덕당 판본을 기본으로 양민재 판본과 이탁오 평본, 청나라 건륭제 때 출간된 ‘새로운 서유기’ 판본을 참조해 연변대 중국문학 교수들이 공동으로 번역한 것이다. ‘서유기’는 중국 당나라 때 불경을 구하러 인도로 떠난 현장법사의 18년에 걸친 여행을 모티프로 했으나 삼장법사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을 중심으로 수많은 요괴가 등장하는 장대한 판타지로 완성됐다. ‘서유기’는 악과 맞서는 여행이라는 점에서 ‘반지의 제왕’, 세속화된 신들의 모습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와 맞닿는다. 중국화가 37명의 그림 268장이 수록돼 있다. 현암사/반양장 각 8500원, 양장 각 1만8000원
아더왕 이야기 장 마르칼 지음/김정란 옮김
아더왕 이곳에 잠들다. 일찍이 왕이었고 이후로도 왕일 사람이…(글래스턴베리 수도원, 아더왕의 묘비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는 방대한 신화체계의 일부일 뿐이다. 저자는 켈트신화 가운데 널리 알려진 아더왕의 전설을 역사소설로 재구성했다. 시대적 배경, 멀린과 아더의 탄생, 원탁의 기사들의 결집, 카멜롯 최고의 기사 란슬롯, 아더왕의 누이 모르간에 얽힌 전설, 성배를 찾아 나선 기사들, 아더왕의 죽음과 아발론 이야기까지 각 민족의 신화와 전설 속에서 조각난 이야기들을 한데 모으고 기독교의 영향으로 복잡하게 얽힌 ‘아더왕 이야기’를 아우른 결정판이다. 올해 안에 8권으로 완간할 예정이다. 뮈토스/각 400쪽 안팎/각 8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