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지도자와 술 17

존 F 케네디의 ‘작업주’ 다이키리

  • 김원곤| 서울대 의대 교수·흉부외과 wongon@plaza.snu.ac.kr

존 F 케네디의 ‘작업주’ 다이키리

1/3
  • 다이키리는 럼과 라임주스에 설탕을 탄 비교적 간단한 레시피의 칵테일이다. 쿠바 광산지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든 이 칵테일은 공교롭게도 재임 기간 내내 쿠바와 불편한 관계였던 존 F 케네디가 즐겨 마신 술로 유명하다. 케네디를 위해 영부인 재클린이 만든 ‘재키 다이키리(Jackie Daiquiri)’는 지금도 인기 칵테일이다. 최근에는 케네디 재임 시절 백악관 인턴을 한 미미 알포드란 여성이 케네디와 성관계를 맺기 전 마신 ‘작업주’로 알려지면서 다이키리가 다시금 세간에 회자되고 있다.
존 F 케네디의 ‘작업주’ 다이키리
지난 5월 17일 국내 신문은 ‘멈추지 않은 케네디家의 비극’이라는 제목으로 정치명문가인 케네디 집안 소식을 실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의 조카며느리인 메리 리처드슨 케네디가 숨진 채 발견됐다는 보도였다.

“올해 52세인 메리는 케네디 전 대통령의 동생인 로버트 케네디 전 상원의원의 며느리다. 로버트 케네디의 아들로 환경 전문 변호사로 유명한 로버트 케네디 2세의 두 번째 부인인 메리는 그동안 약물과 알코올 중독으로 치료를 받아왔다. 그의 사인은 공식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자살로 추정된다. 로버트 케네디 2세와 1994년 결혼한 메리는 그와의 사이에 4명의 자녀를 뒀으나 2010년 이혼소송과 함께 별거에 들어갔으며 이 무렵 2차례나 음주운전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메리의 사망은 케네디 전 대통령의 막냇동생으로 한때 대권 도전을 꿈꿨던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이 2009년 8월 뇌종양으로 사망한 지 3년 만에 발생한 케네디가의 또 다른 비극이다.”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긴 했지만, 한때 미국 정계를 화려하게 수놓은 케네디 가문의 역사는 찬란한 영광과 함께 가족의 비극적 죽음과 스캔들로 점철됐다. 마치 잘 만들어진 대하드라마를 연상케 할 정도다. 이 때문에 생긴 ‘케네디가의 저주’라는 표현은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용어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일찍이 아일랜드 이민자 후손으로 사업을 벌여 크게 성공하고 영국대사까지 지낸 조지프 케네디(Joseph P Kennedy·1888∼1969)는 보스턴 시장을 지낸 존 피츠제럴드의 딸 로즈와 결혼해 슬하에 4남 5녀를 두었다. 그중 장남 조지프 주니어는 전투기 조종사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영국 근해에 추락해 전사하면서 가문의 비극은 시작된다. 그리고 1963년에 ‘케네디가의 저주’의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9남매의 둘째이자 미국의 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댈러스에서 총격에 쓰러진 것이다. 그의 아내 재클린은 훗날 그리스의 ‘선박왕’ 오나시스(Aristotle Onassis·1906~1975)와 전격적으로 결혼하면서 당시 세계 매스컴의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그런 그도 1994년 암으로 사망했다.

케네디의 암살 사건 충격이 있은 지 5년 뒤 케네디 가문은 또 하나의 비극을 맞는다. 바로 일곱째인 로버트 케네디(Robert F Kennedy·1925~1968) 암살이다. 그는 케네디 행정부에서 법무장관을 지내고, 뉴욕 주 상원의원을 거쳐 민주당 대선 경선에 뛰어들어 압도적인 지지 속에 백악관 입성을 목전에 뒀다. 그러나 1968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유세 도중 괴한의 총격에 암살당한다. 범인은 팔레스타인 출신 이민자 시르한 비샤라 시르한(Sirhan Bishara Sirhan)으로, 케네디의 친이스라엘 정책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형제가 연속적으로 암살당하는 사건으로 이때부터 ‘케네디가의 저주’라는 용어가 미국 정가(政家)에 등장하게 된다. 그 후에도 앞서의 사건만큼 극적이지는 않지만 케네디 집안의 크고 작은 불운은 계속되었다.



집안 막내이자 또 한 명의 대통령 유력 후보였던 에드워드 케네디(Edward Kennedy·1932~2009)도 1960년 형 존의 뒤를 이어 20대의 나이에 연방 상원의원에 당선돼 정치경력을 펼쳐나갔다. 그는 1964년 비행기 추락 사고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지만, 1969년에 형 로버트의 선거운동원이던 여성을 태우고 밤에 빗길을 달리다가 강물에 추락했다. 동승했던 여성이 숨졌지만, 석연치 않은 이유로 다음 날 아침까지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다. 이 사건은 그에게 평생 멍에가 돼 결국 백악관 도전을 포기하기에 이른다. 그는 2009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정신지체 장애를 갖고 태어난 셋째 로즈마리는 전두엽 수술 실패로 평생을 수용시설에서 지내다 2005년 87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넷째 캐서린은 1948년 비행기 추락사고로 숨졌다.

케네디가의 저주

존 F 케네디의 ‘작업주’ 다이키리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재클린.

이들의 후손인 케네디가 2세 중 몇몇은 유력 정치인으로 발돋움하고 있지만 불미스러운 스캔들에 휘말리거나 비극적 운명을 맞은 경우가 적지 않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아들 존 F 케네디 주니어는 1999년 아내 캐럴린 베셋을 태우고 자신이 직접 소형비행기를 조종하다 매사추세츠 마서즈 빈야드 인근에 추락해 39세로 생애를 마감했다. 당시 빌 클린턴 대통령도 직접 상황을 보고받았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것이 케네디가의 마지막 비극이 되길 바란다”며 케네디 주니어를 위해 기도했다. 교황은 미국 대통령 가운데 유일한 가톨릭 신자였던 케네디 전 대통령의 장례식 당시 3세이던 케네디 주니어의 천진난만한 모습을 회상하며 슬퍼했다고 전해진다.

로버트 케네디 상원의원은 11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이 가운데 넷째 데이비드는 1984년 플로리다의 한 호텔에서 약물과다 복용으로 숨진 채 발견됐으며, 여섯째인 마이클은 1997년 콜로라도에서 스키 사고로 사망했다.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의 장남 에드워드 2세는 어린 시절 암으로 한쪽 다리를 잃는 불운을 겪었다. 1세대 형제자매 가운데 유일한 생존자인 진 케네디 스미스의 둘째 아들 윌리엄 케네디 스미스는 1991년 플로리다의 한 클럽에서 만난 여성을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회부됐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

1/3
김원곤| 서울대 의대 교수·흉부외과 wongon@plaza.snu.ac.kr
목록 닫기

존 F 케네디의 ‘작업주’ 다이키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