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나는 내 음악 했을 뿐…저항가요라 평하지 말라”

한국 포크의 선구자 송창식

“나는 내 음악 했을 뿐…저항가요라 평하지 말라”

1/9
  • 대중음악사는 1969년 발매된 트윈폴리오의 데뷔작을
  • 한국 최초의 포크앨범으로 기록하고 있다. 1970~80년대
  •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포크음악의 서장을 열어제친 트윈폴리오는
  • 아쉽게도 이듬해 해산했으나 그후 30여 년 동안 송창식은
  • 전혀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며 음악적 실험을 거듭해왔다.
  • 늦여름 깊은 밤, 미사리의 한 카페에서 못다 부른 노래를 계속하고 있는
  • ‘작가’ 송창식을 만나 시대와 음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나는 내 음악 했을 뿐…저항가요라 평하지 말라”
송창식은 모든 점에서 ‘둘도 없는 사람’이다. 우선 음악이 누구와도 견줄 수 없을 만큼 독창적 세계를 드러낼 뿐 아니라, 살아가는 모습 또한 범인(凡人)의 그것과 크게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와 절친한 가수 조영남은 그를 가리켜 “일반적인 잣대로는 풀이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묘사한다. ‘독자성의 광채를 발하는 비범한 음악’ 그리고 ‘별난 사람’이라는 두 마디 말이 송창식을 가장 잘 축약하는 표현이 될 것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송창식은 1970년대 한국 대중음악계를 완전히 정복한 주인공이다. 통기타와 청바지, 생맥주로 상징된 그 시대 포크문화를 대표하면서 그의 노래들은 모든 세대와 계층의 가슴에 메아리쳤다. 대학생들은 저항의 찬가인 양 ‘고래사냥’을 목놓아 외쳤고, 동네 코흘리개 아이들은 마냥 ‘왜 불러’를 따라 불렀으며, 나이가 지긋한 어른들도 ‘상아의 노래’를 흥얼거리며 트로트에서 느끼는 구수함과 애절함을 맛보았다.

그다지 잘생긴 얼굴도 아니었지만 듀오 트윈폴리오 시절 부른 ‘하얀 손수건’은 그를 여학생들에게 ‘생명과도 같은 존재’로 만들었고, 대중가요를 외면한 고매한 사람들마저 가곡풍의 ‘그대 있음에’에 감동했다. 그가 포크가수 가운데 유일하게 방송사의 가수왕(1975) 자리에 오른 것도 그처럼 남녀노소와 지위고하를 막론한 광대한 흡인력 때문일 것이다. 국민가수라는 말이 나오기도 전에 그는 이미 국민가수였던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1980년대가 조용필, 1990년대가 서태지 시대라면 ‘1970년대는 송창식 시대였다’는 규정은 아주 자연스럽다.

밤창식, 별창식, 왜창식

그런 시대의 거목을 만난다는 것은 필자에게도 충분히 흥분되는 일이었다. 솔직히 말하자면 약간은 두려웠다. 그에게 따라붙는 무수한 수식들과 별명들이 다소 부담스러운 감이 없지 않았다. ‘낭만파 시인’이나 ‘저잣거리의 현자(賢者)’와 같은 그럴듯한 것들도 있지만 밤에만 활동한다고 하여 ‘밤창식’ ‘별창식’, 모든 말에 의문을 제기한다 해서 붙은 ‘왜창식’이란 별칭이 먼저 떠올랐다. 한마디로 ‘기인(奇人)’임을 말해주는 수식들이 아니던가.



올해 초 서유석, 김도향, 남궁옥분 등 포크 가수들 9명이 모여 만든 앨범 ‘프렌즈’ 때도 송창식은 홍보를 위한 TV 출연 섭외를 거절했다. 아직도 그의 노래를 듣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으련만 그는 좀처럼 텔레비전에 얼굴을 내밀지 않는다. ‘오전 5시 취침, 오후 2~3시 기상에 깨고 난 뒤에도 몇 시간 운동’이라는 오랜 생활패턴은 누구도 파고들지 못하는 ‘금지영역’이다. 그래도 그의 지인들은 불만의 토를 다는 적이 없다. ‘송창식이니까’ 하는 말은 그들의 오랜 양해사항이 됐다.

1/9
임진모·대중음악 평론가 www.izm.co.kr
연재

한국대중음악 스타열전

더보기
목록 닫기

“나는 내 음악 했을 뿐…저항가요라 평하지 말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