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시인 한하운과 서울신문 기자 오소백의 필화

전후(戰後) 문단·언론 짓누른 적색 알레르기의 집단적 표출

시인 한하운과 서울신문 기자 오소백의 필화

1/5
  • 언론은 늘 현대사의 중심에 있었다. 언론학자인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가 이번호부터 언론을 중심으로 한 현대사의 흥미로운 뒷얘기를 소개한다.
  • 첫 회는 ‘문둥이 시인’ 한하운과 ‘올챙이 기자’ 오소백의 필화사건.
  • 1940년 총독부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폐간을 획책하던 시절 악명을 떨친 일제 고등경찰 사이가 암살 사건, 1892년 ‘조선신보’에 실린 보르도 포도주 광고, 6·25전쟁 기간 남북한의 신문전쟁 등이 이어진다. <편집자>
시인 한하운과 서울신문 기자 오소백의 필화

1953년 10월17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한하운 관련 기사.

문둥이 시인’ 한하운(韓何雲·1920 ~1975)이 ‘문화계의 간첩’ 논란에 휘말린 사건이 있었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전쟁의 상흔이 채 아물지 않아 사회적으로 불안하고 긴장된 분위기가 가라앉지 않았던 때다. 국민의 정서와 나라 형편이 피폐한 상황이었다. 발단은 10월17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한하운의 시 ‘보리피리’와 함께 그의 근황을 알리는 기사였다.

기사가 나간 후 ‘문화계에 간첩이 있다’는 주장이 떠돌고 국회에서 대책 촉구 발언이 나올 정도로 의혹이 확산되자 시인은 경찰 조사를 받았고, ‘서울신문’ 사회부장 오소백(吳蘇白)과 차장 문제안(文濟安)이 신문사를 떠나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필화(筆禍) 차원을 넘어 1950년대 문단과 언론계를 짓누르고 있던 적색 알레르기 분위기를 가늠하게 하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한하운 필화사건의 뇌관에 불을 붙였으며 결국 피해자가 된 오소백은 신문사를 떠나 1954년 2월부터 대중잡지 ‘신태양’에 ‘올챙이 기자 방랑기’를 연재하고, 이듬해 7월에는 같은 제목의 단행본으로도 출간해 일반에도 널리 알려진 언론인이다. 오소백은 ‘올챙이 기자 방랑기’의 ‘라 시인(癩 詩人) 사건’ 편에 한하운의 ‘전라도 길’을 앞에 내세우고 자신이 겪은 사건의 경위를 기록했다. “이 사건을 빚어낸 모략중상과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끝끝내 싸운 경위는 문단, 지식인, 정치인, 수사당국자 및 신문인 여러분에게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히면서. ‘올챙이 기자 방랑기’ 기록을 토대로 사건의 전말을 살펴보자.

‘레프라 왕자’의 근황

1953년 10월15일 오후 ‘서울신문’ 편집국에 허름한 옷차림을 한 청년이 나타났다. 오소백은 시청 출입기자를 통해 그가 유명한 문둥이 시인 한하운이란 것을 알고 의자에 앉기를 권했다. 사회부 차장 문제안에게 한하운에 관해 정확히 취재하도록 지시했다. 마침 얼마 전에 한 주간신문에서 한하운이 실존인물이 아닌 유령인물이라 하여, 화제를 모은 일이 있었던 터라 알리바이와 확증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하운은 운동선수처럼 몸이 튼튼해 보였다. 시인은 기자의 물음에 답한 후 앉은자리에서 한 편의 시를 썼다. ‘보리피리’였다. 오소백을 비롯한 사회부 기자들은 한하운이 돌아간 뒤 시를 보고 매우 놀랐다. ‘보리피리’를 낭독하며 모두 좋은 시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기자들이 한하운이 만진 펜에 레프라(leprae·나병)균이 붙었다고 소란을 피운 통에 오소백은 원고지로 펜을 똘똘 말아 휴지통에 내던졌다. 그리고 10월17일자 신문에 “하운(何雲) 서울에 오다, ‘레프라 왕자’ 환자수용을 지휘”라는 3단 제목으로 한하운에 관한 기사와 그가 쓴 시 ‘보리피리’를 실었다.

‘보리피리’

보리피리 불면

봄언덕

故鄕 그리워

필- 닐리리

보리피리 불면

꽃靑山

어린때 그리워

필- 닐리리

보리피리 불면

인환(人?)의 거리

人間事 그리워

필- 닐리리

보리피리 불면

放浪의 幾山河

눈물의 언덕과 눈물의 언덕을

필- 닐리리

(1953년 10월14일)

1/5
정진석│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 presskr@empal.com│
연재

정진석의 언론과 현대사 산책

더보기
목록 닫기

시인 한하운과 서울신문 기자 오소백의 필화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