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말하는‘내 책은…’문화적 혼혈인간 _ 박희권 지음, 생각의 나무, 324쪽, 1만3500원외교관의 중심 책무는 무엇보다 ‘국가 이익의 보호 및 신장’에 있다. 필자는 지난 30년간 직업외교관으로 근무해오면서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 웅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천착해왔다. 아울러 우리 청소년들이 글로벌 시대에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왔다. 그 결과 국가나 개인 발전의 동인(動因)은 문화에 있다고 결론 내렸다.
글로벌 시대에는 문화 간 소통과 융합이 초고속으로 진행된다. 우리나라만 해도 한 해 동안 어학연수생을 포함한 유학생이 20여만명, 해외여행자가 1300만명에 달하며 국내 거주 외국인은 100만명을 넘어섰다. 필자는 글로벌 시대에 국가 발전을 이끌고 글로벌 시대의 리더가 될 인재를 문화적 혼혈인간이라고 명명한다. 문화적 혼혈인간이란 무엇보다 타문화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사람이고, 타문화와 소통하고 융합하는 데 능한 사람이며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가진 사람이다. 나아가 필자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대를 주름잡기 위해서는 21세기형 아이들인 문화적 혼혈인간을 교육하고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한 국가 중 정치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가장 빠른 기간 내에 성공적으로 달성한 국가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20세기 후반 우리의 발전을 일구어낸 것은 ‘하면 된다’는 도전정신과 성취욕구의 정신문화였다. 그러나 21세기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웅비하기 위해서는 이미 우리의 DNA로 체화된 도전정신과 성취욕구 이외에도 타문화에 대해 좀 더 개방적이며 유연하면서도 창의적인 사고를 갖지 않으면 안 된다. 필자는 이 책에서 문화적 혼혈인간이 갖춰야 할 요건을 △개성 △이성과 감성의 조화 △전문성 △에티켓 △정직 △법치의식 △유머감각 △음주습관 △협상능력 △외국어 구사능력 등 10가지로 정리했다.
필자는 지난 1년간 중앙대학교에서 외교겸임교수로 일하면서 후배 세대가 어떻게 하면 글로벌 시대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강연했는데 이 강연이 좋은 반응을 얻어 책을 출판하게 됐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내용의 책도 재미있지 않으면 읽히지 않는 법이다. 필자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사례와 유머를 인용함으로써 젊은 세대가 이 책을 한번 잡으면 끝까지 놓지 않고 흥미 있게 읽을 수 있도록 하고자 노력했다. 필자는 글로벌시대에 타문화와의 소통과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우리 문화와 우리 언어에 대한 정체성 또한 중요함을 역설했다. 그것은 타문화에 대한 이해나 소통이 우리의 견고한 문화적 정체성의 기반 위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박희권│외교부 본부대사 및 중앙대 겸임교수│
New Books남자 심리 지도 _ 비요른 쥐프케 지음, 엄양선 옮김앞만 보고 열심히 내달려온 남자들, 사회적으로 웬만큼 성공을 이룬 남자들이 어느 순간 자신의 마음속에서 길을 잃고 우울해하는 건 무엇 때문일까. ‘남자 심리 지도’는 남자의 마음속으로 깊숙이 들어가 남성 심리를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이 책은 유아기부터 소년, 청년, 노년기까지 남자의 일생을 따라가며 남자의 ‘감정’과 ‘내면세계’에 관해 지도를 샅샅이 훑듯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의 진가는 중년 남성들이 흔히 경험하는 내적 방황과 인간관계 갈등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밝혀내는 데 있다. 문제의 근원을 제대로 파악해야 그것을 극복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법이다. ‘남자 심리 지도’는 ‘나는 왜 행복하지 않은가’라는 질문으로 고민하는 중년 남성들에게 그동안 소홀히 여겨왔던 자기 자신의 마음을 진지하게 들여다볼 기회를 제공한다.
쌤앤파커스, 304쪽, 1만4000원책략가의 여행 _ 내털리 제이먼 데이비스 지음, 곽차섭 옮김과거 역사학의 방법론은 실증주의와 상대주의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실증주의는 사료 없이는 논의를 더 이상 진전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대주의 역시 복잡다단한 역사적 사건의 미로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실증주의와 상대주의에서 탈피해야 한다면서 오늘날 새롭게 떠오른 역사학의 한 방법론이 바로 미시사(微視史)다. 미시사는 대개 생생한 역사적 진실에 더 밀착할 수 있는 주변부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는다. 또 사료를 실마리 삼아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해 역사적 추론을 시도한다. 미시사의 대가로 손꼽히는 저자 데이비스는 ‘책략가의 여행’에서 이슬람 세계에서 태어나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나, 에스파냐 해적에게 나포되어 기독교 세계에서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 한 무슬림 남성에게 시선을 돌려 그의 내면의 진실을 파헤친다.
푸른역사, 612쪽, 3만3000원나는 오늘도 사막을 꿈꾼다 _ 김효정 지음이 책은 지구에서 가장 추운 마지막 사막 남극과 가장 뜨거운 사하라사막, 가장 척박한 고비사막과 가장 건조한 아타카마사막 등에서 열린 세계 5대 서바이벌 사막 레이스를 완주한 한 여성의 도전기다. 특수한 신체조건과 체력을 갖춘 여성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그는 영화 프로듀서라는 직업을 가진 커리어 우먼이다. 저자는 꼴찌로 골인하더라도 단 한 차례도 스스로 레이스를 포기하지 않았다고 한다. 처음 참가한 2003 모로코 사하라사막 마라톤에서는 발에 물집이 23개나 생겨 발걸음을 옮기기 힘든 상황이었지만 소염 진통제로 통증을 참아내며 완주했고, 2005 고비사막 레이스에서는 이틀 만에 왼쪽 발목이 퉁퉁 부어올랐음에도 완주했다고 한다. 저자는 극한 상황을 견뎌내며 완주하는 과정에 자신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며 자신을 바라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일리, 312쪽, 1만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