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최고 디자인 도시’ 꿈꾸는 서울디자인재단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통해 세계 디자인 트렌드 선도하겠다”

‘세계 최고 디자인 도시’ 꿈꾸는 서울디자인재단

1/3
  • 2007년 ‘세계디자인수도(WDC) 2010’에 선정된 서울이 명실 공히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9월부터 10월까지 도심 곳곳에서 펼쳐진 서울 디자인한마당을 비롯해 현재 추진하는 각종 디자인 산업 지원 육성 방안, 그리고 완공을 눈앞에 둔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등 서울의 디자인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는 서울디자인재단의 입체적인 사업들과 미래 청사진을 소개한다.
‘세계 최고 디자인 도시’ 꿈꾸는 서울디자인재단

2012년 완공 예정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조감도.

‘디자인이 미래를 살린다’는 말이 있다. 생산성에만 가치를 두던 물질만능의 시대를 넘어 창조적인 감성이 인류를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서울 역시 미래 도시로 거듭날 도약의 발판을 탄탄히 마련했다. 서울의 디자인 산업 진흥과 디자인 문화 확산에 필요한 각종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서울디자인재단이 거둔 성과가 바로 그것이다. 2008년 서울시가 제정한 재단법인 서울디자인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에 의거, 같은 해 12월 법인등록한 (재)서울디자인재단은 서울의 디자인 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개발과 추진, 국내외 디자인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행사와 사업 마련, 디자인 산업 육성을 통한 다양한 수익 사업 등 짧은 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들을 내놓으며 다방면에 걸쳐 디자인 수도 서울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2010년은 서울디자인재단이 그 어느 때보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한 해였다. 9월17일부터 10월7일까지 20여 일간 계속된 ‘2010년 서울디자인한마당’을 비롯해 2007년 샌프란시스코 Icsid 총회에서 선정된 세계디자인수도(WDC) 2010 행사, 그리고 각 지역에 설립된 디자인 지원센터의 운영과 활성화, 서울시의 도시갤러리 사업 추진, 서울 국제 자전거디자인 공모전 및 페스티벌 개최,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 사업을 상담하는 ‘디자인 마케팅 컨설팅 센터’ 운영, 디자이너와 디자인 전문 기업의 우수 디자인 제품화를 지원하는 등 다각적인 사업을 통해 그 성과를 일궈왔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파리의 퐁피두센터, 뉴욕의 모마, 도쿄의 롯폰기 힐스… 그리고 2012년, 동대문에 디자인 서울의 새로운 메카가 탄생한다. 베일에 싸여 있던 옛 동대문운동장 자리에 세계 디자인 수도 서울의 얼굴이 될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완공을 눈앞에 둔 것이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독창적인 전시를 개발·육성하고, 기존 세계 유명 전시를 유치하는 디자인 트렌드 센터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이곳을 세계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제시하는 ‘디자인 트렌드세터(trendsetter)’이자 최신 상품이 테스트되고 첫선을 보이는 ‘디자인 론칭 패드(launching pad)’, 디자인 지식 정보를 체험하는 ‘디자인 익스피어리언스(experien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들과 교류하면서 도시 디자인의 방향을 모색하는 ‘세계 디자인도시 서미트’, IT를 통해 세계 문화와 교류하는 ‘서울 CIT전’ 등 고유 브랜드 전시회를 개발해 서울의 디자인을 이슈화할 방침이다. ‘서울 CIT’전은 DDP가 개발·추진 중인 기획전시로 ‘CT(Culture Technology)’와 ‘IT (Information Technology)’가 결합된 콘텐츠 작품으로 구성된다. DDP 개관에 맞춰 세계적인 디자인 전시 유치도 계획되어 있다. 개관기념 특별전으로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의 가구생활소품 전시회인 ‘VIA 디자인 3.0’, 미국 뉴욕 쿠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내셔널 디자인 트리엔날레’ 등을 준비하고 있으며 가구디자인 산업전인 ‘밀라노 사로네 디 모빌레’, 파리 ‘메종 오브제’, ‘디자인 마이애미’ 등 세계적인 박람회와 디자인 마켓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디자인플라자의 디자인박물관은 TV의 초창기 모델 등 세계 디자인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채워지는데 이미 지난 3월, 3732점의 작품을 수집했으며 상황에 따라 개인 소장품을 임차해 전시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DDP의 역할 중 가장 기대를 모으는 것은 세계의 최신 디자인 상품을 선보이고 그 가능성을 테스트하는 론칭 패드의 역할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2008년부터 잠실운동장에서 개최해온 디자인올림픽을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동대문의 패션 메카 이미지를 분명히 하고 관광을 활성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미 IT상품의 얼리 어댑터들이 대거 포진한, 섬세하고 까다로운 소비 욕구의 도시로 잘 알려진 서울은 상품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정확한 안목을 가진 소비자를 든든한 지원군으로 두고 있어,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디자인 론칭 패드’ 구실을 충실히 할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세계적인 전시와 디자인 페어 등 대규모 행사를 준비하는 공간인 만큼 규모와 시설 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지하 3층, 지상 4층, 연면적 8만1210㎡의 어마어마한 공간은 전시시설인 트렌드센터를 비롯해 컨벤션홀, 정보체험센터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지하 1~2층의 200·900·1500석 규모의 컨벤션홀은 세계 유수의 기업과 디자이너의 신제품을 발표하고 디자인 산업 마켓 플레이스를 육성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지하 1층에는 도서관이 있으며 2층에는 리소스센터, 3층과 4층에는 커뮤니티 지원시설과 디자인 체험관이 자리하게 된다. 지하 2층의 일반 전시관에서부터 지상 4층까지 독특한 경사형 램프 통로로 이어져 감아 돌아 올라가는 벽면 전시관은 연중 다양한 기획 디자인 전시와 이벤트를 통해 DDP의 정체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1/3
김지은│신동아 객원기자 likepoolggot@empas.com│
목록 닫기

‘세계 최고 디자인 도시’ 꿈꾸는 서울디자인재단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