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해미읍성을 찾은 때는 청명한 가을날이었다. 점심때를 조금 넘긴 시각이었지만 평일이라 성 앞거리는 퍽 한적했다. 공사 안내판이 서 있고 이곳저곳 노변이 뜯겨 있었지만 힘써 뭔가를 만들고 고쳐보겠다는 부산스러움은 보이지 않았다.
성문을 들어서면 벌써 과거 시대다. 그 짧은 통로 하나에서 시간이동을 실감할 수 있었던 것도 해미읍성에서만 갖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낙안읍성 안쪽의 그 재현된 초가 마을이며 관아 등도 정답긴 하지만 그것은 오늘에 덧칠된 과거의 무늬 같아서 쉬 식상할 수도 있었다. 낙안과 달리 관아 건물들만 복원 보수한 고창읍성은 그 청결감이 기특하지만 박제된 과거를 보는 듯한 아쉬움을 남긴다. 아무튼 낙안, 고창, 해미의 읍성들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읍성임에 틀림이 없으며 따라서 현대의 운용 면에서도 상호 차별성을 갖는 것은 좋은 일이다.
당시만 해도 해미읍성은 퍽 황량한 느낌을 주었는데 차라리 나는 이 거칠고 투박한 면이 썩 마음에 들었다. 고르지 못한 지반과 그곳에 멋대로 자란 잡초들, 인위적인 조경과는 거리가 먼 수목들의 배치 등이 되레 상상력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옛날의 집들이 죄 사라지고 머물던 사람들의 종적마저 지워진 황량한 옛 성의 한 모퉁이에 우두커니 서서 둘레를 지켜보면 문득 대책 없이 흐르는 시간의 웅성거림마저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자고로 사라진 것들은 다 이렇듯 황량하고 적막해야 하거늘. 그때 놓았던 내 탄식처럼 당시의 해미읍성은 떠돌이 나그네들의 그립고 처량한 귀의처가 될 여지가 많았다.
거칠고 투박한 해미읍성의 맛
그 사이 해미읍성도 새 단장을 해서 예전의 그 ‘맛’은 많이 사라졌다. 잡초가 우거졌던 풀밭이 말끔히 정비되었는가 하면 여기저기 전통 가옥들도 세워졌다. 천주교 박해 현장이던 회화나무 주변에는 당시를 재현한다며 옥사(獄舍)까지 지어놓았다.
해질 무렵 해미읍성에 가시거든
당신은 성문 밖에 말을 잠시 매어두고
고요히 걸어 들어가 두 그루 나무를 찾아보실 일입니다
가시 돋친 탱자울타리를 따라가면
먼저 저녁 해를 받고 있는 회화나무가 보일 것입니다
아직 서 있으나 시커멓게 말라버린 그 나무에는
밧줄과 사슬의 흔적 깊이 남아 있고
수천의 비명이 크고 작은 옹이로 박혀 있을 것입니다
나무가 몸을 베푸는 방식이 많기도 하지만 하필
형틀의 운명을 타고난 그 회화나무,
어찌 그가 눈멀고 귀멀지 않을 수 있었겠습니까
당신의 손끝은 그 상처를 아프게 만질 것입니다
- 나희덕 시 ‘해미읍성에 가시거든’ 부분
탱자나무 울타리는 사라졌지만 한 그루 회화나무는 그대로다. 해미읍성에 가거든 꼭 찾아보라고 시에서 일러준 그 고목이다. 본래 회화나무는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기품 있는 나무로 대접받았는데 이곳 회화나무는 조선 말기의 그 혹독한 처형의 공간 배경이 되었다 해서 ‘교수목(絞首木)’이라는 살벌한 별명까지 지니게 되었다.
화사한 햇살 아래서 한 쌍의 남녀가 나무기둥을 등진 채 웨딩 사진을 찍고 있다. 두 어깨와 가슴을 드러낸 신부가 남자의 품에 안긴 채 환하게 웃는다.
“신랑도 입을 더 크게, 그래요 그래!”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