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이 저물어가는 이 시점에서 이런 질문을 던지면 아마 사람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백남준이 누구냐고요? 에이, 잘 알죠. 비디오 아트 창시자잖아요. 옛날에 경복궁 옆에서 갓 쓰고 굿도 했지 않아요?” 이렇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그나마 그를 기억하는 분이다. 일반인, 특히 청년세대는 백남준이 예술가인지도 모르지 않을까 싶다.
1996년이다. 삼성그룹에서 주는 호암상 예술부문상을 수상하기 위해 한국을 다녀간 것이. 그러고는 곧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다시 한국에 오지 못했으니, 그의 모습을 뵌 것이 벌써 20년 가까이 됐다. 백남준 이름 석 자가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란 위성 예술쇼가 TV를 통해 방영되고 나서부터다(KBS 1TV 중계). 그는 이 쇼가 방영된 직후 34년 만에 한국을 찾아 숱한 화제를 뿌렸다. 벌써 30년도 더 지난 옛날 일이다. 그러니 적어도 마흔 살 아래로는 백남준을 알거나 기억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스미소니언에서 만난 백남준
백남준은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에도 꺾이지 않는 창작혼을 발휘해 새로운 예술 영역인 레이저 예술에 몰두했고, 2000년 혼신의 힘을 다해 준비한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의 대규모 회고전은 대성공을 거뒀다. 그리고 2006년, 백남준은 별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 9년 반이 지난 올 7월에는 부인 구보타 시게코 여사도 남편의 뒤를 따랐다.
결국 백남준은 말년의 뇌졸중으로 한국에 다시 올 수 없게 된 이후 우리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그의 예술활동은 미국 등 해외에서 펼쳐졌기에 우리가 볼 기회가 거의 없었다. 우리 젊은이들이 백남준을 잘 알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내년 1월이 되면 백남준이 세상을 떠난 지 만 10년이 된다. 지난 10년간 백남준은 우리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갔지만, 그가 주로 활동한 미국과 세계 곳곳은 그를 놓지 않았다. 그가 보여준 예술적 재능과 미래에 대한 예지 능력은 오히려 더욱 부각되고 강화돼가는 느낌이다.
백남준 서거 3년 후인 2009년, 미국 워싱턴DC 스미소니언 박물관의 아메리칸 아트 뮤지엄 측은 백남준의 유족을 대표하는 친조카 켄 하쿠다로부터 백남준이 생전에 쓰던 기기, 도구와 그가 남긴 글, 편지, 작품기획서, 구상안 등 중요 아카이브를 모두 받아갔다. 이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스미소니언이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다”고 평했다. 이것들이 얼마 지나지 않아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주요 스케치 작품이나 관련 자료 등과 비슷할 정도로 귀한 보물이 될 것임을 미국인들은 안 것이다.
과연 2012년 12월 13일, 스미소니언은 백남준의 아카이브와 그의 주요 대표작을 공개하는 전시회를 열었다. 이듬해 8월 11일까지 무려 8개월간 지속되는 최장 기간 전시회였고, 세계 최대 종합 박물관인 스미소니언을 찾은 많은 미국인을 비롯한 세계인들이 백남준을 다시 봤다.
백남준의 아카이브를 구입하고 전시회 개최를 주도한 인물은 존 핸하르트(John G. Hanhardt). 그는 1982년에 뉴욕 휘트니 미술관에서 처음으로 백남준의 대규모 초대전을 열었고, 2000년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그의 대표작-특히 ‘야곱의 사다리’ 등 레이저 작품-을 망라한 대규모 회고전을 연, 자타 공인 최고의 백남준 전문 큐레이터다. 백남준의 유물 하나하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드러내는 작업의 최적임자이자, 백남준을 알아본 최고의 지음(知音)이다.
‘지구의 예언자’
스미소니언 전시회의 타이틀은 ‘Global Visionary’, 즉 ‘지구의 예언자’였다. 전시회를 마감하며 스미소니언 측이 발표한 글은 백남준의 삶을 잘 정리하고 있다.
백남준은 영감(靈感)입니다. 그는 일관되게 기술을 예술의 수단으로 변신시키며 새로운 예술적 도구를 발명해 급격하게 성장하는 우리의 미디어 문화를 탐험하고, 형성하고, 참여해왔습니다. 그는 동료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줬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예술을 과감하게 변화시켰습니다. 그의 작품에 의한 시각적이고 의식적인 영향은 20세기 후반, 그리고 현대의 컴퓨터 예술가 세대들에게서 느껴집니다. 그의 글들은 전 세계 학자들과 큐레이터들, 비평가들에게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가 행한 예술적 작업 전부는 오늘날 지구적인 창조 문화를 불러왔습니다.

1976년 독일에서 자신의 작품 ‘TV 로댕’ 옆에서 포즈를 취한 44세 때의 백남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