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검색과 관련 없는 아이디어는 바로 잘라라

‘중국의 구글’ 바이두 성공 비결

검색과 관련 없는 아이디어는 바로 잘라라

1/2
  • ‘중국의 구글’ 검색 엔진 바이두(Baidu,百度)는 중국을 넘어 세계 온라인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동아일보가 발행하는 고품격 경영저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88호(9월1일자)에 게재된 기사 ‘세계 6大 온라인 업체 中 바이두의 경영 철학’을 통해 중국 바이두의 성공 비결을 알아보자. <편집자>
검색과 관련 없는 아이디어는 바로 잘라라

바이두 메인 화면(아래)과 창업자 리옌훙(옆).

중국은 미국과 함께 세계 경제의 두 축, ‘G2’를 이루고 있다. 실물 경제는 물론 사이버 비즈니스에서도 욱일승천하고 있다. 지구촌 최대 인구 국가답게 우선 네티즌의 규모가 압도적이다. 중국의 인터넷 이용 인구는 2011년 현재 4억5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의 2배, 인도의 5배에 해당한다. 게다가 인터넷 이용 인구는 매달 노르웨이의 인구보다 많은 600만명씩 불어나고 있어 약 5년 뒤인 2015년에는 지금의 두 배에 가까운 7억5000만명이 인터넷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5년 후 중국 내 7억5000만명 인터넷 이용

아직 중국이 인터넷 등 온라인 분야에서 ‘초일류’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국, 미국, 일본의 인터넷 보급률이 75~82%인 반면 중국은 32% 수준이다. 특히 농촌 지역은 온라인을 통한 정보 교류와 관련 산업 부흥 등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또한 구글 철수 사태나 페이스북, 유튜브 등에 대한 차단 및 검열로 대표되는 시장 규제 역시 중국 온라인 산업 성장의 한계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 환경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글로벌 수준의 플랫폼과 서비스, 그리고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인재, 기술, 수익성을 가진 기업을 다수 배출했다. 검색 엔진 분야의 바이두, 포털의 시나(Sina), 소후(Sohu), 큐큐(QQ), 소셜네트워크 분야의 카이신(Kaixin), E-커머스 분야의 타오바오(Taobao), 알리바바와 동영상 사이트 유쿠(Youku) 등은 이미 세계가 주목하는 선도 기업이다.

그중에서도 바이두는 미국의 대표적 글로벌 온라인 회사인 구글, 페이스북, 야후, 유튜브, 윈도라이브 다음으로 일일 트래픽이 높은 세계 6대 온라인 기업이다. 이제 바이두는 단순히 중국을 대표하는 온라인 기업이 아니라 세계 온라인 산업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바이두는 2000년 1월 리옌훙(李彦宏)과 쉬융(徐勇) 두 사람이 베이징 중관춘에서 창립한 세계에서 가장 큰 중문(中文) 검색엔진업체다. 바이두는 ‘간단하고 의지할 수 있는’이라는 모토로 고객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됐다. 2005년 8월5일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고 2006년 12월에는 일본에도 진출해 2007년 3월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08년 1월23일부터 정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百度(바이두)’ 두 글자는 중국 송대 시인 신치지의 시구 “무리 중에서 그녀를 수백 번 찾았다(衆里尋他千百度)”에서 기원한다. ‘百度(바이두)’는 중문 정보 검색 서비스의 기술적 지향점을 선언하는 상징적 문구다.

바이두는 평범한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아니다. 인터넷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바이두가 고객에게 전하는 차별적인 핵심 가치는 ‘세계적 선진 기술을 기본으로, 중국어만의 언어적 특성을 반영해, 중국 인터넷 산업의 발전 현황에 맞는 중국 전문 인터넷 정보 검색·전달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선진적인 사업 구조를 갖췄을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큰 가치를 주는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이두는 중국에서 가장 선도적 인터넷 기술 업체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바이두가 글로벌 경쟁 업체를 물리치고 당당히 중국 대륙 1위 검색 업체로 발돋움하게 된 핵심 성공요인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문제 있으면 ‘바이두’하라”

바이두는 처음 시장에 진입할 때부터 줄곧 ‘중국인의 생활에 맞는 인터넷 핵심 기술을 개발한다’를 사명으로 삼았다. 바이두의 대표 리옌훙의 목표는 단순히 개인 사업의 성공이 아니라 자국의 인터넷 관련 기술 수준을 제고하고 새로운 발전상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바이두의 핵심 기술은 ‘초련분석’을 기초로 한 검색 서비스다. ‘초련분석’이란 사이트에 연결된 횟수에 연동해 그 품질을 평가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가 화면 앞쪽에 나타나게 하는 기술이다. 지금은 세계 여러 검색 사이트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지만 리옌훙은 최초 개척자 중 한 명이다.

바이두는 동시에 여러 개의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검색을 할 때 자신과 관련성이 가장 많은 서버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정보의 검색·전달 속도를 높였다. 이에 바이두는 연결된 중문 홈페이지만 20억개가 넘는다. 이 덕에 세계에서 가장 큰 중문 인터넷 사이트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매일 138개의 국가에서 수억 차례에 걸친 정보검색을 처리하고 있고, 매일 7만여 명의 사람이 바이두를 자신의 첫 사이트 페이지로 설정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바이두를 활용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중문 정보를 얻고 있다. 2004년부터 “문제가 있으면 ‘바이두’하라!”는 말이 중국에서 유행하는 등 바이두는 검색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1/2
김용준│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kimyj@skku.edu
목록 닫기

검색과 관련 없는 아이디어는 바로 잘라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