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할 말 다 하는 회의 화끈한 ‘창조적 마찰’

집단 창의· 협업 모델 픽사(Pixar) ‘브레인트러스트’

할 말 다 하는 회의 화끈한 ‘창조적 마찰’

1/3
  • 창의적 성과 창출을 위해 구성원 간 집단 창의와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는 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회의를 하고 있지만 성과는 크지 않다. 픽사엔 ‘창조적 마찰’의 장을 열어주는 리더십과 신뢰 문화가 있다.
할 말 다 하는 회의 화끈한 ‘창조적 마찰’
칸 국제영화제에서 극찬을 받은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이 개봉과 함께 돌풍을 일으켰다. 미국 내 개봉 첫 주 9044만 달러의 오프닝 기록을 세우며 다른 영화들을 압도했다. 이 영화는 ‘토이스토리’로 화려하게 이름을 알린 후 ‘벅스라이프’ ‘니모를 찾아서’ ‘업’ 등 15편의 장편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족족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등극시킨 픽사(Pixar)의 새 작품이다.

픽사는 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관객에게 기대 이상의 기발함과 경이로움을 보여주며 ‘믿고 보는 영화사’라는 브랜드를 형성했다. 이처럼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지속적인 흥행 돌풍을 일으킬 수 있었던 요인은 뭘까.

픽사엔 스티브 잡스가 “내 인생에 이렇게 똑똑한 사람들이 이토록 빼곡히 모여 있는 집단은 본 적이 없다”고 말했을 정도로 훌륭한 인재가 많다. 그러나 집단 창의와 협업을 통해 이들 인재가 가진 재능 이상의 시너지가 발휘되고 있다는 게 더 큰 성공 요인이다. 픽사의 작업 프로세스를 보면 구성원들이 매우 다양하고 긴밀하게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 안에는 필요할 때 다양한 전문가들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받는 집단 창의·협업의 핵심 메커니즘이자 가장 중요한 전통인 ‘브레인트러스트(Braintrust)’가 있다.

브레인트러스트는 픽사를 대표하는 핵심 멤버들과 영화감독과 제작팀이 한 자리에 모여 제작 중인 영화의 이슈나 어려움을 공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나 의견을 나누는 소통의 장이자 회의 시스템을 말한다. ‘토이스토리’ 감독 존 레스터, ‘월-E’ 감독 앤드루 스탠튼, ‘몬스터 주식회사’ 감독 리 언크리치 등 픽사의 핵심 멤버 8명이 현재 브레인트러스트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제작 핵심 메커니즘



영화감독이나 제작팀은 영화 제작 과정에서 어려움에 봉착하면 이들 브레인트러스트 멤버나 별도로 조언을 구하고 싶은 다른 동료를 소집한다. 보통 오전에 지금까지 작업된 내용에 대한 상영회가 열리며 점심식사 후 브레인트러스트 미팅에서 감독은 영화 진척 상황과 현재 직면한 문제를 설명하고 참석자들로부터 적나라한 의견과 피드백을 받는다. 그 자신이 브레인트러스트 멤버인 ‘인사이드 아웃’의 감독 피트 닥터도 브레인트러스트 미팅을 여러 차례 하면서 관객이 조금 더 이해하기 쉽도록 관객 처지에서 스토리의 완성도를 높여갈 수 있었다고 말한 바 있다.

어찌 보면 브레인트러스트 미팅은 다른 기업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아이디어 회의나 리뷰 회의 성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회의는 많지만 기대한 성과가 잘 나오지 않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는 영화제작의 핵심적인 메커니즘으로 자리매김했다.

오스카상을 받은 디즈니 영화 ‘겨울왕국’ 감독도 “값을 매길 수 없는 소중한 공헌을 해준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에 감사를 표한다”고 했다. 픽사의 공동설립자 에드 캣멀 역시 픽사 성공의 핵심 요소로 브레인트러스트를 꼽는다.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가 우리가 전혀 모르던 획기적인 제도는 아니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가 되새겨봐야 할, 우리 회의 문화와는 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내포돼 있다. 픽사의 집단 창의와 협업은 무엇이 다를까.

형식보다 문화, 분위기

기업 내에서 집단 창의성 또는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장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많은 기업에서 집단 창의나 협업이라는 명분으로 비생산적 회의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정작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시간이 부족한 우를 범하기도 한다.

실적이나 진척 상황을 점검하는 회의도 지나치게 많다. 사업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자유롭게 토론하기보다는 보고를 위한 회의가 많다보니 회의를 위한 문서 작성으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기도 한다. 회의 문서는 잘 정리돼 있어도 정작 회의 시간에 창의적이거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경우가 드물어 회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다. 픽사의 브레인트러스트는 다르다.

1/3
박지원 | LG경제연구원 연구원
목록 닫기

할 말 다 하는 회의 화끈한 ‘창조적 마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