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거일<br>●1945년 충남 아산 출생<br>●대전상고, 서울대 경제학과<br>●現 문화미래포럼 대표<br>●‘비명을 찾아서’ ‘소수를 위한 변명’ 등
젊었을 적에 내가 많이 들은 말은 ‘원칙주의자’였다. 실제로 나는 무슨 일에서건 원칙을 중시하고 원칙에 관한 한 쉽게 양보하지 않는다. 원칙을 따지는 성격은 타고난 듯하다. 아주 어릴 적에 식구들이 급해서 남의 고무신을 신고 나서면, 내가 따라가면서 ‘엄마 셩’, ‘고모 셩’하면서 남의 신을 신었음을 알렸다고 한다.
원칙을 지나치게 내세우는 사람은 자신을 힘들게 하고 둘레 사람들을 피곤하게 한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가면서 차츰 불완전한 세상과 타협하게 된다. 이제는 나도 원칙을 지키는 일이 정말로 중요한 경우에만 원칙을 확인하고 어지간한 일에선 내 주장을 내세우지 않게 되었다. 그래도 사람들이 나를 대하는 태도로 미뤄 짐작하면, 나에겐 아직 원칙주의자의 면모가 뚜렷한 모양이다.
원칙주의자로서 나 자신을 덜 들볶고 둘레 사람들을 덜 피곤하게 하는 방법은 기회주의자의 면모를 지니는 것이다. 일을 미리 꾸미기보다 기회가 되면 그것을 이용하는 것이 수월하다는 이치를 깨달은 것이다. 그래서 나는 큰 원칙만을 정하고 세부사항들에선 상황에 맞추어, 특히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타협해서 일을 추진한다. 기회주의자가 뒤늦게 원칙주의자가 될 수는 없으므로, 원칙을 중시하는 사람이 차츰 원숙해져서 기회주의자의 면모를 지니는 것이 낫다. 다분히 자기정당화의 성격을 지닌 얘기지만, 나는 그것이 그른 얘기가 아니라고 여긴다.
게다가 큰 원칙만을 정하고 나머지는 상황과 기회에 맡기는 기회주의는 느긋하게 때를 기다리는 태도를 지닐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모든 일에서 남보다 자유롭다. ‘질서가 없다면 자유가 없다’는 이론과 맥이 통하는 얘기다. 인과율의 엄격한 질서가 없다면, 우리는 우연과 혼돈에 부대낄 따름이지 자유의지를 지닐 수 없을 것이다. 6·25전쟁으로 뿌리 뽑힌 채 떠돈 집안에서 자라나면서도, 내가 지식인이 된 것은 그런 느긋함과 자유로움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터이다.
요즈음 나는 연극 공연에 힘을 많이 쏟는다. 내가 주업인 문학과 거리가 있는 연극에 참여하게 된 것도 기회주의자의 면모를 지닌 원칙주의자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노무현 정권 아래서 우파 문화예술인들이 모여 ‘문화미래포럼’이란 단체를 만들었다. 종북세력이 득세해서 “적화는 되고 통일은 안 되었다”는 얘기가 나올 만큼 위험했던 그 시절에 좌경화가 가장 심각했던 곳은 문화예술 분야였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높이고 우리 사회가 이룬 일들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문화예술인들이 모여 나라 지키는 활동을 시작한 것이었다. 원래 젊은 사람들이 일하고 나는 ‘고문단’의 일원으로 뒤에서 돕기로 했었는데, 명망이 있는 사람이 대표가 되어야 한다며 강청을 받은 내가 엉겁결에 대표가 되었다.
그런 일을 맡은 것은 그때가 처음이라 난감했다. 그래도 문단에서 나 혼자 예술적 사회참여(artistic engagement)를 해온 터라, 단체의 대표를 맡은 것을 기회로 삼기로 했다. 그래서 시작한 일이 연극 공연이었다. 당시 우리 사회에서 공연되는 작품은 대다수가 우리 사회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드러냈다. 특히 영화가 문제적이었으니,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북한을 찬양하며 북한군은 똑똑하고 군기가 엄정한 군대로 그리고 국군과 미군은 어리석고 탐욕스러운 군대로 묘사해서 반미 감정을 북돋웠다. 정부에서 영화 제작에 큰 자금을 지원해왔으므로, 대한민국을 폄하하고 북한을 찬양하는 영화들을 정부에서 세금으로 지원해주는 양상이었다. 실은 지금도 사정은 그리 달라지지 않았다. 예술 작품 속에 녹아든 이념은 쉽게 그리고 깊이 사람들의 마음속으로 스며들므로, 그런 작품들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해독은 무척 심각하다.
그런 반국가적 작품들에 맞설 길은 당시나 지금이나 마땅치 않다. 편향된 예술 작품엔 올바른 예술 작품으로 맞서야 하는데, 자유주의에 바탕을 둔 작품을 만드는 사람이 아주 드물다. 당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대한민국을 높이는 연극을 공연하는 것이었다. 영화는 엄두를 내지 못하지만, 연극은 비교적 짧은 시일에 그리 많지 않은 돈으로도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