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승경<br>●1974년 서울 출생<br>●이탈리아 산타체칠리아국립음악원·레피체국립음악원 졸업<br>●성균관대학교 공연예술협동과정 박사 수료, 소프라노<br>●오페라 ‘리골레토’ 등 공연
그곳은 유학시절 학교수업과 레슨 사이의 자투리 시간을 죽이기 위해 주변을 배회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장소였다. 그곳의 반대편은 항상 관광객들이 웅성대고 있었지만 그곳만은 늘 조용했다. 또 여름에는 그늘져 시원했고 겨울에는 햇볕이 들어와 따뜻했다. 그곳에서 나 역시 처음에는 관광객처럼 베드로를 비롯한 많은 그리스도교도가 로마 황제의 명에 따라 십자가에 매달려, 혹은 원형 경기장에서 검투사의 칼에 죽는 모습을 떠올리며 비감해졌고, 그들을 기념하는 웅장한 성당이 르네상스 시대에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베르니니 같은 걸출한 예술가들에 의해 만들어져 바티칸의 보물로 남아 있는 모습을 보며 역사의 반전과 보상에 대해 생각했다. 그렇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부터 나는 그곳에서 나만의 시간을 즐기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나는 그때 20대 초반의 젊은 나이였으니까.
대리석 기둥의 받침대는 넓어서 편하게 앉아 책을 읽기에 좋았고, 돌기둥에 등을 기대고 광장을 바라보며 음악을 듣거나 사색에 빠지기에도 좋았다. 그곳에서 나는 20대의 화창한 날을 보냈다. 서투른 노래는 내일이 있어서 잘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멋진 남자는 눈앞의 광장에 수없이 널려 있어서 언제나 골라잡으면 될 것 같았고, 불확실한 미래는 내가 펼치는 그럴듯한 상상 때문에 불안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그곳에서 나는 어떤 때는 한없는 공상에 빠지면서 어떤 때는 한없는 망상에 젖으면서 20대가 주는 가능성의 희열을 마음껏 즐길 수 있었다. 그렇게 다섯 번째 기둥 밑에서 나는 ‘혼자 놀기의 달인’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시간이 남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그곳에 앉아 있는 나를 발견하고는 스스로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닐 정도였다. 한 시절 그곳에서 나는 세상물정 모른 채 참으로 행복했다.
지금 나는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일을 하고, 일 때문에 사람을 만나고, 사람을 만나기 때문에 피곤해지는 생활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되풀이’ 삶을 살고 있다. 목표는 생활 앞에서, 열정은 현실 앞에서 날개를 접고 시간만이 무서운 속도로 흘러가고 있다. 그래서 무조건 내 편이 되어줄 수 있는 누군가의 위로가 필요한 이때, 나는 다섯 번째 기둥 밑을 자주 그리워한다. 그곳에 가고 싶다. 잠시나마 세상과 현실의 톱니바퀴를 이탈해서 혼자 놀며 생각에 잠기고 싶다. 나에게 비타민이 되고 활력소가 될 그 기둥 밑에서 나를 평온하게 돌아보고 싶다.
교외의 한적한 별장같이 공기 좋고 물 좋은 곳이라면 금상첨화겠지만 본인의 이동경로와 겹치는 곳에 편안한 사색공간을 마련해서 생각만 하면 바로 갈 수 있는 자신만의 장소를 만들라고 추천하고 싶다. 지금 나의 장소는 어디? 쉿! 비밀이다. 나만의 장소이므로….
감동할 줄 아는 아이의 마음
태어나서 처음으로 뿌듯한 감정을 느끼며 으쓱했던 적이 언제였을까? 초등학교 2학년 때, 6·25 기념 웅변대회에 참가할 대표로 뽑혀 서울 시내의 다른 초등학교로 가던 길이었다. 버스와 지하철을 번갈아 타며 가던 중 파고다공원의 입구를 지날 때 나는 정말 순수하게 감동했다. 33인이 독립선언문을 낭독했던 그 장소를 내가 지나가다니!(하지만 알고 보니 33인은 태화관에서 선언문을 낭독했다) 나는 교과서에 나오고, 선생님께 배웠던 바로 그 장소를 지나간 내 자신이 정말 한없이 대단하고 뿌듯하게 여겨져서 그날 잠을 제대로 잘 수 없었다.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서울 변두리 촌놈인 내가 종로에 나온 것은 그날이 처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