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당나귀 한 마리가 필요하다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1/2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최성각<br>●1955년 강원도 강릉 출생<br>●중앙대 문예창작과 졸업<br>●풀꽃세상 사무총장, 고려원 편집장<br>●‘부용산’‘사막의 우물 파는 인부’ 등

‘버킷 리스트’ 기획에 참여하기로 한 뒤에 나는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들’을 생각해야 할 때인데도 한심스럽게도 줄곧 ‘죽기 전에 해야 하는 일들’을 떠올리고 있었다. ‘기필코’ 하고 싶은 일들과 ‘마땅히’ 해야 하는 일들 사이에서 나는 여전히 갈팡질팡하고 있었던 것이다. 슬펐다. 혹자는 내 삶의 외양만 보고 퍽이나 자유로운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실상 내 삶은 자유롭지 못했나 보다. 언제쯤 ‘오공본드’처럼 끈적끈적한 인간의 도리와 의무의 등짐을 훌훌 벗어던질 수 있을까?

어쨌거나 이 기획이 ‘해야 할 일들’이 아니라 ‘하고 싶은 일들’을 요구하고 있다는 게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나는 무엇보다도 죽기 전에 당나귀 한 마리를 키워보고 싶다.

내가 키울 당나귀는 기왕이면 내 젊은 날부터 비행기표 값만 마련되면 배낭 하나 짊어지고 훌쩍 날아가 헤매던 히말라야, 그 비좁은 산길에서 만나곤 하던 그런 당나귀여야 한다. 히말라야 당나귀는 순하고 힘 좋고, 조심성이 깊은데다 눈이 좋아 벼랑에 굴러 떨어지지도 않고, 사람을 물지도 않을뿐더러 공연히 뒷발질로 사람을 차지도 않는다. 수년 전 한 방송사에서 공들여 만들어 깊은 감동을 준 다큐멘터리 ‘차마고도’에 나오던 그 당나귀가 바로, 내가 키우고 싶은 당나귀다.

그런데 그 당나귀를 어떻게 이곳까지 건강하게 잘 데리고 온단 말인가? 실로 난제다. 그러나 그 난제도 사실 죽기 전의 마지막 각오라면 어려울 것도 없을 것이다. 강대국과 힘이 덜 센 나라들 사이에서는 가만히 보니, 장갑차도 사고팔고, 전투기도 사고팔고, 항공모함도 사고파는 모양인데, 그까짓 히말라야 당나귀 한 마리 정도를 못 들여올까?



당나귀를 구해 오면, 나는 일단 이웃집 앵두할아버지한테 시골 연구소 앞마당의 거위집 앞으로 펼쳐진 논을 내게 파시라고 부탁할 참이다. 할아버지 연세가 이미 94세. 이미 그 논은 이태 전부터 다른 이에게 농사지으라고 빌려준 터이지 않은가. 논을 빌린 이는 논농사를 지을 줄 알았더니만 쌀농사는 지어봤자 수지가 안 맞는다는 것을 느끼고선 콩밭으로 만들어버렸다. 그 농부는 콩밭 가장자리에 고라니 침입을 막기 위해 검은 비닐그물을 치고, 콩밭에 엄청난 정성을 기울였지만 수확은 별로였던 것 같다. 나는 앵두할아버지에게 내 필생의 소원이 내 힘으로 논농사를 지어 단 한 끼라도 내가 소출해낸 쌀로 밥을 해먹는 것이라고 간곡한 얼굴로 말씀드리며, 논을 파시라고 부탁할 것이다.

그래서 만약 그 어른께서 논을 팔면, 논을 사기 위해 내가 동원할 수 있는 재산, 이를테면 자동차나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세계문학전집이나 사상전집, 심지어 등산화와 휴대전화까지 모조리 팔아서, 그 돈이 필경 몇 푼 안 될 것이므로 죽을힘을 다해 모자라는 돈을 보태 논을 장만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콩밭을 다시 논으로 만들어 논농사를 지으면서 논 가장자리에 길고 홀쭉한 당나귀 길을 만들 것이다. 그 길은 히말라야의 비탈길처럼 좁지만 빗물이 우선 잘 빠져야 하고, 밟을 때마다 사람과 당나귀를 밀어 올리는 부드러운 탄력이 있어야 한다. 정성껏 밟고 공을 들이다 보면 단단하되 흡수력이 강한 멋진 흙길이 될 것이다. 논가의 당나귀 길로 나는 아침마다 당나귀를 끌고 산책할 것이다. 어떤 날은 당나귀의 컨디션을 살핀 뒤 당나귀 잔등에 재빠르게 올라타기도 할 것이다. 당나귀 목에는 뎅그렁뎅그렁, 맑고 깊은 소리를 내는 쇠불알만한 쇠종을 하나 매달아놓을 것이다. 그러면 당나귀와 내가 흔들릴 때마다 고요한 시골 아침의 맑은 대기에 아름다운 종소리가 딩딩, 뎅그렁뎅그렁, 멀리까지 울려 퍼질 것이다.

마을에 하루 세 번씩 들어오는 시내버스가 지나간 뒤에는 조심스레 주위를 살핀 뒤, 큰길까지 당나귀를 끌고 나갈 것이다. 그래서 마을 뒷산의 저수지 둑에도 올라가고, 때로는 고라니와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부엉이다리를 지나 시내로 이어지는 입구에 세워진 묵은지 닭볶음탕을 파는 내 시골 친구 박나비네 집에까지 산책길을 확장할 것이다. 가을이면 당나귀와 나는 쌓인 낙엽을 밟게 될 것이므로 발밑에서는 사각사각, 매우 듣기 좋은 소리가 날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절대 시내에는 당나귀를 안 끌고 나갈 것이다. 아무리 시골의 중소도시라지만 시내는 너무 많은 차량과 차량이 내뿜는 매연 때문에 당나귀가 틀림없이 고통스러워할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누가 뭐라고 그래도 내가 지금 놀고 있는 퇴골 골짜기에서만 당나귀와 놀 것이다. 늙어서 위험스럽게 오토바이나 경운기를 타고 노는 것보다 히말라야 당나귀와 노는 것이 훨씬 ‘본때’ 나는 일이 아니겠는가.

당나귀를 끌고, 혹은 당나귀 등에 올라타고 나는 죽기 전에 내가 못다 한, 이런저런 일들에 대해 생각할 것이다. 부질 있는 일들과 부질없는 일들이 당나귀 등에 올라타면 선명하게 구별될 것이다. 신세진 사람들에게 충분한 답례를 했는가, 살펴볼 것이다. 그뿐인가. 젊은 날 나를 버리고 간 옛 애인의 안녕에 대해서도 가끔 생각할 것이고, 피치 못하게 내가 떠나버릴 수밖에 없었던 여인들에 대해서도 더러 생각할 것이다. 한 시민으로서 평생 동안 충분히 내 나라가 살기 좋고 인간적인 사회가 되었으면 하고 소망하고 깜냥껏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노력을 해왔지만, 여전히 인류가 핵을 너무 많이 지니고 있다는 문제와 기후변화나 ‘오일피크(석유 생산의 정점이 되는 시기)’에 사람들이 너무나 무관심한 데 대해, 혹은 무지막지한 토목공사로 이 아름다운 내 나라 산천이 대책 없이 파괴되고 있는 데 대해서도 깊은 슬픔을 느낄 것이다.

1/2
목록 닫기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