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민주주의 희생해 산업화 성공시킨 독재자 박정희, 상식과 원칙 추구한 진보적 민주주의자 노무현

민주주의 희생해 산업화 성공시킨 독재자 박정희, 상식과 원칙 추구한 진보적 민주주의자 노무현

1/6
  • 박정희와 노무현을 대표하는 시대정신은 산업화와 민주화다.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박정희는 3선개헌과 유신 선포로 민주주의를 짓밟았다. 하지만 그의 성공적인 경제정책은 한국이 선진 산업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주춧돌이 됐다. 진보주의자 노무현은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참여민주주의와 균형발전을 추구했다. 비극적 최후를 맞은 노무현 시대는 끝난 게 아니라 아직 오지 않았다.
민주주의 희생해 산업화 성공시킨 독재자 박정희, 상식과 원칙 추구한 진보적 민주주의자 노무현
이기획을 진행하면서 가졌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지식인의 범위를 어디까지 둘지였다. 오늘날 지식인이라면 흔히 교수, 작가, 그리고 언론인 등을 지칭한다. 하지만 조선사회에서 지식인은 대개 유학자인 동시에 정치가였다. 현대사회에서 정치가는 지식인이 될 수 있을까. 세계적으로 보면 지식인이 정치를 겸업한 경우가 없지는 않다. 예를 들어, 체코의 바츨라프 하벨(Vaclav Havel) 대통령이나 브라질의 페르난도 카르도소(Fernando Cardoso) 대통령이 그러하다. 하벨은 작가이기도 했고, 카르도소는 사회학자이기도 했다.

지식인과 정치가는 사실 중첩되는 영역이 적지 않다. 지식인의 과제 중 하나가 지식 탐구를 통해 새로운 비전을 모색하는 데 있다면, 정치가 역시 자기 사회 미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이 점에서 지식과 정치 또는 지식과 권력은 매우 긴밀히 관련돼 있다. 지식은 정치 또는 권력을 위해 봉사하기도 하지만, 바로 그 권력과 정치를 혁신하는 문제틀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 문제틀이 이 기획에서 다루는 시대정신이기도 하다.

이제 기획을 마무리하면서 나는 우리 현대사에 큰 그늘을 드리운, 여전히 영향력이 지대한 두 명의 정치가를 다뤄보고자 한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바로 그들이다. 박정희와 노무현은 물론 지식인이 아니다. 한 사람은 정치가가 되기 전에 군인이었으며, 다른 한 사람은 변호사였다. 하지만 이들은 지식인적 성향이 두드러진, 각각 보수적·진보적 지식인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친 정치가들이었다.

산업화와 민주화의 상징

문제적인 이 두 사람을 다루는 이유는 다름 아닌 시대정신에 있다. 광복 이후 우리 사회를 이끌어온 대표적인 두 개의 시대정신은 산업화와 민주화였다. 일제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우리 사회에 부여된 가장 중요한 시대적 과제는 ‘나라 만들기’였다. 이 나라 만들기의 구체적인 목표가 경제적 산업화와 정치·사회적 민주화였다. 산업주의와 민주주의로 바꾸어 써도 좋은 이 시대정신을 대표한 정치가로는 박정희, 노무현, 그리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지목할 수 있다. 박정희 시대에 우리 사회 산업화가 본궤도에 올랐으며, 김대중 시대와 노무현 시대에 민주화가 본격화됐다.



박정희가 산업화의 상징이라면, 김대중과 노무현은 민주화의 상징이다. 여러 점을 고려할 때 박정희의 정치적 맞수는 김대중일 것이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김대중이 아니라 노무현을 다루고자 한다. 여기서 노무현을 살펴보려는 것은 더없이 극적인 노무현의 삶이 486세대를 포함해 우리 사회의 젊은 세대에게 여전히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박정희와 노무현은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으로 손꼽히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서는 산업화 세력 대 민주화 세력, 박정희의 시대정신 대 노무현의 시대정신이 맞서왔으며, 지식사회 역시 이러한 구도에 대응해왔다. 서론은 이쯤하고, 곧바로 두 사람의 삶과 시대정신, 그리고 정치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박정희 시대와 모더니티

그동안 나는 박정희와 그의 시대에 대해 두 번 글로 쓴 적이 있다. 하나는 근대성의 관점에서 박정희 시대를 평가한 것이며(‘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1999), 다른 하나는 박정희의 시대정신을 다룬 것이다(‘격동! ‘박정희 시대’에 다시 서다’, 월간중앙, 2008). 여기서 박정희에 대한 논의는 이 두 글을 참조했다.

주지하듯이 박정희는 산업화 시대를 열고 그것을 강력하게 추진한 정치가였다. 1961년 5·16쿠데타부터 그가 돌연 서거한 1979년까지 박정희 시대는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변화가 컸던, 경제적 모더니티가 격렬하게 진행된 시간이었다. 19년은 결코 짧은 시간이 아니다. 이 기간에 우리 사회는 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농업사회로부터 공업사회로 바뀌어갔다. 모더니티가 ‘멋진 신세계’라면 우리 역사에서는 박정희 시대에 와서야 사슬 풀린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신세계의 모험이 시작된 셈이다.

지식사회 역시 박정희 시대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이른바 ‘어용’과 ‘재야’의 이분법이 등장한 것도 박정희 시대였다. 박정희 체제에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것은 당시 지식사회는 물론 현재의 지식사회를 가늠하는 중요한 이분법 중 하나다. 우리 지식사회를 주도하는 50대 지식인들 역시 박정희 시대로부터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진보적 사회학자인 조희연 교수는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해 옥고를 치른 바 있으며, 1980년대 이후 진보적 지식인운동과 시민운동을 이끌어왔다.

최근 조희연은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라는 책을 통해 박정희 시대를 분석하기도 했다. 이 책은 비판적 관점에서 박정희 시대를 검토하지만, 새마을운동을 포함해 박정희 체제의 긍정적 측면도 적극적으로 주목한다. 조희연의 이러한 양면적 평가는 박정희 시대에 젊은 시절을 보낸 진보적 지식인이 갖는 복합적 내면의식의 일단을 보여주는데, 이는 박정희 시대가 그만큼 문제적인 시대였음을 뜻한다.

박정희 개인의 역사는 드라마틱하다. 1917년 경북 선산에서 태어난 그는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선생의 길을 걸었다. 이후 만주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군인이 되었다. 광복 후 그는 육군사관학교의 전신인 조선경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군인이 돼 김종필, 이후락 등과 함께 1961년 5·16쿠데타를 감행해 우리 역사의 전면에 등장했다.

1/6
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 kimhoki@yonsei.ac.kr
연재

김호기 교수가 쓰는 ‘시대정신과 지식인’

더보기
목록 닫기

민주주의 희생해 산업화 성공시킨 독재자 박정희, 상식과 원칙 추구한 진보적 민주주의자 노무현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