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구(64) 금호석유화학 회장의 첫인상은 친근했다. 2세 기업인, 대기업 CEO에게서 보이게 마련인 권위적인 태도나 거만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나직한 목소리로 “우리가 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하는 어투에서 진심이 읽혔다.
금호석유화학은 2012년 동아일보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이 진행하는 ‘나눔예술, 나눔교육’ 프로그램 후원사다. 전문공연단체가 전국의 읍면동 단위 복지시설에 찾아가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이고, 음악 전문가가 저소득층 및 다문화가정 어린이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것을 돕는다. ‘나눔예술, 나눔교육’은 2009년부터 이어져온 ‘나눔예술’ 프로그램을 확대·개편한 것. 올해부터 ‘엘 시스테마’와 같은 교육 커리큘럼 ‘나눔교육’이 추가됐다.
‘엘 시스테마’는 2008년 ‘기적의 오케스트라-엘 시스테마’라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널리 알려진 베네수엘라의 음악 교육 프로그램. 1975년 베네수엘라의 경제학자이자 오르가니스트인 호세 아브레우 박사가 시작했다. 그는 마약과 폭력이 난무하는 빈민가 소년 11명을 모아 오케스트라를 구성하고 음악을 가르쳤다.
전과 5범의 소년 등 단원들은 연주를 통해 자신들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고, 이 악단은 2년 뒤 스코틀랜드 국제경연대회에서 입상하면서 큰 화제를 모았다. 이후 소외 계층을 대상으로 한 오케스트라 교육도 크게 확대됐다. 오늘날 베네수엘라에서는 180곳의 교육장에서 1만5000명의 교사가 35만 명의 어린이에게 음악을 가르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빈민가에서 자란 에딕손 루이즈와 구스타보 두다멜이 각각 베를린 필하모닉의 더블베이스 연주자, LA필하모닉 지휘자가 됐다.
교육 사업에 대한 열정
‘나눔교육’의 취지도 마찬가지다. 우리 사회에서 소외당한 채 자존감을 잃어가는 저소득층 및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에게 음악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연주하는 기쁨을 알려주는 것. 첫 단계는 전국의 다문화가족센터와 아동센터 등에서 대상자를 추천받는 것이다. 이후 재능기부자 등 예술교육 전문가에게 음악을 배우게 한다. 초등학생의 경우 방과 후 주 2회 악기 레슨을 받고 주 1회 합주를 하게 된다. 취학 전 유아에게는 ‘몸으로 리듬 익히기, 음정 익히기, 악보 익히기’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박 회장은 “아이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면 좋겠다. 나아가 우리 사회의 건강한 시민으로 자라길 바란다”고 밝혔다.
“‘금호’ 하면 예술 후원을 떠올리는 분이 많은데, 사실 창업자인 선친이 가장 먼저 한 사회공헌은 학교 설립이었습니다. 1959년 제 조부의 호 ‘죽호’를 따서 재단법인‘죽호학원’을 만들고, 광주중앙여자중·고등학교, 금호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등을 차례로 세우셨죠.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여자대학 설립도 준비하셨는데 그 뜻은 이루지 못했어요.”
박 회장의 설명이다. 박 회장은 고 박인천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자의 넷째 아들. 박인천 창업회장은 1946년 광주에서 택시 2대로 사업을 시작한 후 여객, 운송, 항공, 화학 등으로 영역을 확장해 오늘날 ‘금호그룹’의 기틀을 만든 인물이다. ‘금호’는 박인천 회장의 아호이기도 하다. 이창동 전 문화부 장관은 1996년 금호의 일대기를 토대로 집필한 전기소설 ‘집념 - 길 위의 길’ 서문에서 “박인천 회장의 전기를 기록하겠다고 마음먹게 된 것은 그의 일생이 ‘역사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며 “박 회장은 끝없는 도전과 시련을 거듭하면서, 발전과 비약을 일궈냈다. 그의 일생은 우리 역사의 엄정한 상징이 되고 있고, 또 그만한 교훈을 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