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 신문을 못 봤어요. 오늘 어떻게 돌아가는지. 요즘 볼 시간도, 잘 시간도 없어요.”
“조간은?”
“그건 5시 전에 다 훑어보죠.”
“눈의 띄는 소식 있나요?”
“(지면을 넘기면서) 황장엽. 황 선생을 자주 뵙고 도에 모셔 강연도 듣고 했습니다. 제일 확실한 분이죠. 워낙 근력이 안 좋으셨어요, 내가 봐도. 87세, 그 자체는 많은 게 아닌데 기력이 많이 쇠하셨어요.”
10월12일 오후 5시 서울 여의도의 경기도청 서울사무소에서 김 지사를 만났다. 국회의원 시절부터 여러 번 보아오던 터였다.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의 별세’와 관련한 대화가 끝난 뒤 그에게 “이번은 그냥 인터뷰가 아니라 인물탐구를 겸한 인터뷰”라고 취재성격을 이야기했다. 언론 속성상 행정가로서의 광역단체장을 ‘탐구’씩이나 하지는 않으므로 ‘차기 대권주자 김문수 지사’라는 정치적인 앵글로 진행한다는 의미가 내포된다. 그는 어떻게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약간 고개를 끄덕였다.
지난 9월27일 대선주자 지지율(케이엠조사연구소)에서 김 지사는 처음으로 10% 벽을 돌파(10.1%)했다. 박근혜 전 대표(25.1%)에 이은 2위였다. 10월12일 조사(리얼미터)에선 보수진영 주자군이 박근혜(31.8%), 김문수(10.1%), 오세훈(9.5%) 순으로, 진보진영 주자군이 손학규(23.0%), 유시민(15.2%), 한명숙(10.4%) 순으로 나왔다. 이번에도 김 지사는 여권 내 2위를 유지했다. 1년여 전과 비교하면 지지율이 곱절 오른 것이라고 한다.
자연히 여권 내에선 부쩍 ‘박근혜 대항마로 김문수는 어떠한가’라는 말이 나온다. “밤마다 경기도지사 관사로 한나라당 의원들의 출입이 이어진다” “소장파와 김 지사가 연대한다더라”는 보도가 잇따른다. 9월27일엔 당 지도부가 김 지사와 오 시장을 중앙당회의에 자주 참석시켜 언론노출 기회를 늘려주려다 친박계의 거센 반발을 샀다.
정말 그런가요?
사정이 이러하자 최근 여러 언론에서 김 지사에게 차기 대선 출마 여부를 질의했다. 이렇게도 물어보고 저렇게도 물어봤지만 그는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 자체가 송구스럽다”(10월12일)고 말을 아꼈다.
이미 지지율 상위권에 포진한 정치인의 입장에선 ‘출마한다, 안 한다’를 밝히는 것 자체가 큰 이벤트이므로 그 효과를 극대화할 시점을 선택하려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렇더라도 김 지사의 출마의지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치적으로 관심이 가는 주제이고 ‘차기주자 김문수’ 인물탐구 차원에서 우선적 규명대상이 된다.
여러 언론이 시도한 ‘차기 대권 도전 의사가 있는가’ 식의 추상적인 질문법이 추상적인 답변만 받아내는 데 그친 이상 이번에는 사전취재로 발굴한 구체적 사실관계를 질문함으로써 답변의 추상성이 낮아질 수 있도록 조치했다. 그 결과, 김 지사의 답변 내용을 통해 그가 차기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출마에 대해 관심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다음은 김 지사와의 일문일답이다.
기자 : 차기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은 어떠한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까?
김 지사 : 그 부분은 생각해본 적도 없고 잘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