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주)신세계 부회장 구학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은 기업 스스로 만드는 것”

(주)신세계 부회장 구학서

1/5
  • 말단 직원에서 시작해 CEO에까지 오른 구학서 (주)신세계 부회장은 자유주의에 입각한 경영으로 전문경영인의 본보기가 돼왔다. 국내 최초의 ‘윤리경영’ 도입, 신세계페이 운동, 온정주의 배격, 할인마트 해외 진출 등의 성과를 내면서 신세계는 워런 버핏으로부터 ‘한국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으로 꼽히기도 했다. 자유와 책임의 원칙에 충실하면서 한국 유통업의 새 장을 열고 있는 그와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주)신세계 부회장 구학서

<b>具學書</b><br>▼ 1946년 서울 출생<br>▼ 연세대 경제학과 졸업<br>▼ 삼성 비서실 이사, 삼성전자 관리담당 이사, 신세계백화점 사장<br>▼ 동아일보 ‘올해의 CEO 베스트 10’, 2007 한국의 경영자상(한국능률협회)<br>▼ 現 (주)신세계 부회장

“한국 기업가 중에서 진정한 시장주의자가 몇이나 될까?”

‘신동아’ 1월호 이 코너에 실린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의 말이다. 자유만 누리고 책임은 지지 않으려 하는 우리 기업가들의 속성을 지적한 듯하다. 그래도 누군가는 있을 것 같아서 김 이사장에게 ‘자유인과의 대화’에 초대할 기업인을 소개해달라고 부탁했다. “잘 떠오르지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시장원리를 철저히 받아들이면 사업에 성공하기 힘들겠지요.”

기업가는 환경에 적응하는 동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한 기업가의 성향에는 그 사회의 특성이 반영돼 있다. 한국 기업인들은 소비자에게만 잘 보여서는 안 됐다. 어떤 식으로든 공무원과 정치인에게 ‘보험’을 들어야 기업의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그런 사회에서 기업인들이 철저한 자유주의자로 살아남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기업인들 중에 누군가 ‘자유인’으로 꼽을 만한 인물이 있을 것 같았다. 사회 탓하지 않고, 정부 탓하지 않고, 스스로 옳게 돈버는 일에 성공한 사람이 있을 법했다. 그러던 차에 워런 버핏의 오른팔 격인 찰스 멍거 부회장의 말이 눈에 들어왔다.



“신세계는 정말 놀라운 기업이다…어느 하나 부족한 것이 없다.”

멍거가 부회장으로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가치투자, 즉 정도(正道)를 걸으면서도 돈을 버는 기업에 투자하는 데 정통한 회사다.

신세계에 대한 정보를 뒤져봤다. 오너가 자진해서 천문학적 상속세를 납부했고 ‘윤리경영’을 처음으로 시도했다. 정부로부터 특혜 받을 생각은 없어 보이는 회사다. 가격혁명으로 소비자에게 엄청난 혜택을 안겨줬다. 그러면서도 많은 이윤을 내서 지난 10년간 주가가 20배 가까이 뛰었다. 이런 회사의 경영자라면 자유와 책임의 원리를 실천하고 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아닐 수도 있다는 약간의 의구심을 품은 채 신세계 전문경영인 구학서 부회장을 찾았다. 사무실이라기보다는 미술관처럼 보이는 남대문의 집무실에서 약간은 수줍게, 하지만 아주 반갑게 그는 우리 일행을 맞았다.

인화(人和)의 부작용

김정호 구 부회장을 ‘자유인과의 대화’에 모신 것은 생활신조나 경영방식이 ‘자유와 책임의 원칙’에 충실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제대로 본 건가요.

구학서 자유와 책임의 원칙을 지키는 것, 남에게 의지하기보단 스스로 노력하며 사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요? 그런데도 제게 자유주의자라는 호칭을 주시니 오히려 민망합니다. 인류 최고의 가치인 자유를 어떤 사람이 중요하게 여기지 않겠습니까.

1/5
김정호 자유기업원장 hunghokim@hotmail.com
목록 닫기

(주)신세계 부회장 구학서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