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보상 지연에 피눈물 흘리는 파주 운정3지구 원주민의 피맺힌 절규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1/5
  • 서울에서 자유로를 달려 임진각으로 향하다보면 파주시 경계를 넘자마자 우측에 출판도시가 보이고 그 너머에 심학산이 있다. 좌측에는 한강이 유유히 흐르고 먼발치에 통일전망대가, 그 너머로 개성 송악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자유로를 달리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탁 트인다.
  •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자유로 길가에 검은색과 붉은색 글씨가 새겨진 플래카드가 나붙었다.
  •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MB 살려 주세요’ ‘토지보상 늦추는 LH 각성하라’ ‘김문수 지사는 공약을 이행하라’ ‘운정3지구 원주민을 보금자리에 파묻어라’ ‘운정3지구 원주민을 4대강에 수장시켜라’ 등.
  • 궁예가 도읍으로 정하려 했을 만큼 자연재해가 적고 농산물이 풍부해 축복받은 땅이라 여겨졌던 파주시 교하읍에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2007년 6월28일.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는 인천 검단지구와 파주시 운정3지구를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했다. 파주시 교하읍 교하리와 당하리, 와동리와 동패리, 목동리, 다율리, 문발리, 신촌리, 연다산리, 오도리 일원에 걸쳐 있는 운정3지구는 692만㎡에 달하는 대규모다. 앞서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된 운정1, 2 지구를 합한 것과 맞먹는다. 당시 정부는 자족형 신도시로 개발하기 위해 운정1,2 지구에 이어 3지구를 추가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대체농지’ 먼저 산 죄?

운정3지구가 택지예정지구로 지정되자 주민들은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었다. 운정1, 2지구 개발사업이 일사천리로 추진되는 것을 지켜본 주민들은 담담히 이주 대책을 서둘렀다. ‘수용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대신 대체농지와 공장부지를 마련하는 등 저마다 살 궁리를 했다.

“정부가 하는 공익사업인데, 내가 반대한다고 철회되겠나. ‘어차피 쫓겨날 텐데 다른 곳에 터를 잡아야겠다’는 생각에 대토(대체토지)를 산 죄밖에 없어.”

교하읍 동패리 김모(50)씨는 처음에는 차분하게 설명하다 갑자기 울화통이 치미는 듯 목소리를 높였다.



“억울해 죽겠어. 정부 말 믿은 죄밖에 없는데…. 기자한테 하소연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 채소 값 올라서 난리인데, 차라리 밭에 가서 채소라도 하나 더 기르는 게 낫지. 아무튼 정부 말 믿었다가 병신 된 거야. 내 땅 수용된다고 하길래 ‘싼 땅 사두자’고 먼저 움직인 죄밖에 없어. 그것도 죄라면 복창 터져 못 살지. (잠시 숨을 고른 뒤) 누구 탓하고 싶지는 않은데,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해달라고 한 적 없고, 농사 짓고 살다가 땅 빼앗아간다길래 다른 데서 농사지으려고 논 샀다가 병신 된 거야. 나이 50에 정부한테 공돈 달라는 것도 아니고, 이게 무슨 일이야. 나 원 참.”

김씨는 운정3지구에 자신과 부친 명의로 절대 농지 2500평과 근린생활시설과 공장이 들어선 2500평을 보유하고 있다. 운정3지구가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자 36억원을 대출받아 파주시 적성면에 농지와 임야를 매입했고, 연천군에 있는 한 영농조합법인을 인수했다. 지구 지정 이후 1년 정도면 보상이 이뤄질 줄 알고 ‘대체농지’를 매입했지만, 보상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빚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공장을 세놓았지만 세입자도 보증금을 이미 다 까먹고 2년치 임대료가 밀려 있는 상태다.

“월세를 2년째 못 받았는데, 그냥 나가라고 했어. 강제로 내보내려면 소송해야하는데, 이자도 못 갚는 판에 소송할 돈이 어디 있어.”

2006년 처음 토지수용계획이 발표되고 2007년 택지개발예정지구로 확정된 뒤 원주민 대부분은 김씨처럼 대출받아 대체토지를 구입했다. 짧으면 몇 개월, 길어도 1년 정도 지나면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상이 한없이 늦춰지면서 막대한 이자 부담에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이자에) 시달린다는 말로는 설명이 안돼요. 죽지 못해 사는 분이 많아요. 주민들이 느끼는 상실감과 분노는 대출 이자의 몇 백배쯤 될 겁니다. 생각해보세요. 멀쩡한 자기 땅이 수용된다고 해서 대출받아 대체토지 샀다가 이자만 물고 있는데…. 신용불량자는 기본이에요. 파산하거나, 사채업자 피해 도망 다니는 분도 여럿 돼요.”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파주 운정3지구 보상이 지연되면서 원주민 대부분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대출이자 부담에 고통 받고 있다. 보상을 마치고 아파트가 올라가고 있는 운정 1,2지구(왼쪽)와 바로 인접한 운정 3지구(오른쪽)의 모습이 대비된다.



1/5
구자홍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jhkoo@donga.com |
목록 닫기

“보상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