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정글의 법칙’은 지난 4년간 금요일 저녁 황금시간대에 방영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내용은 단순하다. 문명과 차단된 오지에서 음식과 잠자리를 해결하는 게 전부다. 방송 초기에는 김병만의 개인기에서 인기의 이유를 찾았다. 하지만 멤버들이 계속 바뀌는데도 인기가 지속되면서 ‘기획의 승리’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은 다른 채널에서도 인기다. MBN의 ‘나는 자연인이다’는 전국의 은둔 기인을 찾아서 함께 생활하는 내용이다. 비교적 높은 시청률을 유지하며 개국 초창기부터 방영 중이다. SBS의 ‘생활의 달인’에서는 서바이벌 프로의 인기에 부응해 ‘생존의 달인 무인도편’을 방영하기도 했다.
정글의 법칙, 서바이벌 캠핑
이런 프로그램의 원조는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Man vs. Wild’이다. 국내 시청자들도 꽤 즐겨 봤다. 진행자 베어 그릴스(Bear Grylls)는 영국 특수부대 출신으로 칼 한 자루만 쥐고 세계 곳곳의 오지를 찾아 스스로 살아간다. 9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러닝 와일드 위드 베어 그릴스(Running Wild With Bear Grylls)’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알래스카에서 곰이 먹다 남긴 연어를 씹어 먹었다.
10월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마션’은 화성에 표류한 현대판 로빈슨 크루소를 다룬다. 한국에서 하루 만에 관객 53만 명을 끌어 모으며 흥행몰이에 나섰다. 우리 관객들은 맷 데이먼의 ‘화성에서 살아남기’에 큰 흥미를 보인다. 지구 대기권 밖 고장난 우주정거장에서 산드라 블록이 살아 돌아오는 과정을 다룬 또 다른 할리우드 영화 ‘그래비티’도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김윤진이 무인도에 불시착한 사람들 중 한 명으로 등장하는 미국 드라마 ‘로스트’, 인류문명이 멸망한 뒤 일부 생존자들이 걸어 다니는 시체들과 맞서 살아남기 투쟁을 벌이는 미국 드라마 ‘워킹데드’도 한국에 꽤 많은 고정 팬을 두고 있다.
국내 여러 방송사에서 진행하는 오디션 프로그램들, 가수들이 노래 실력을 겨뤄 즉석에서 우열을 정하는 가요 프로그램은 ‘음악’에다 ‘생존’을 결부시킨 기획이다. 매회 살고 죽는 과정의 드라마틱한 요소가 시청자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생존 개념은 대중문화의 차원을 넘어 현실세계의 소비로 이어진다. 캠핑 붐에서 한발 나아가 익스트림(극한) 스포츠로서의 서바이벌 캠핑의 인기가 그것이다. 여기엔 사람의 원초적 욕구를 자극하는 요소가 들어 있다. SUV(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로 비포장길을 달려 주위에 아무도 없는 자연 속으로 들어간다. 전기나 수도가 들어오지 않는 곳이라 손도끼로 장작을 패고 모닥불을 피운다. 난로 대용이다. 삽으로 임시 쉼터를 만든다. 석쇠에 고기를 굽는다. 등산용 칼로 웬만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이런 점들이 마니아를 매료시킨다. 최근 서바이벌 캠핑은 성별과 연령을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확산됐다. 홈쇼핑에선 서바이벌 캠핑 관련 용품들이 별도로 판매된다.
세상을 멸망시킬 재난이나 사건이 곧 닥칠지 모른다고 생각하면서 종말의 날이 왔을 때 살아남기 위해 대비하는 사람을 프레퍼족(Prepper族, 준비족)이라고 한다. 최근 국내에선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프레퍼족이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