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세울 스펙 없는 평범한 여성의 삶을 다룬 MBC 드라마 ‘그녀는 예뻤다’
대입 재수학원 영어수업이 아니다. 오전 7시, 대기업 IT(정보통신기술) 직군에서 근무하는 5년차 직장인 박모(32) 씨가 영어학원에서 토익 문법 강의를 듣는 광경이다. 그는 두 달 전부터 일주일에 세 번, 회사 출근 전인 오전 7시부터 8시까지 한 시간 동안 토익 수업을 듣고 부랴부랴 회사로 향하는 버스에 몸을 싣는다. 8시 반 출근. 쌓여 있는 서류를 처리하고 상사에게 보고하고 회의에 참석한다. 이렇게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업무를 마치고 귀가하면 보통 오후 10시다. 몸을 누이기 무섭게 아침이 찾아온다. 언제부턴지 그는 서류가방에 늘 학원교재를 넣고 다닌다.
취미도 ‘불금’도 몰라요
공부와 일을 병행하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으로 인해 근무시간에 졸고 자꾸 멍해진다. 업무에서 종종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박씨는 “결재 서류에 실수하는 바람에 부장에게서 ‘정신 똑바로 차려라’는 핀잔을 들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주말엔 커피전문점에서 인터넷 강의로 ‘컴퓨터 활용능력 평가’ 수업을 듣는다. 그뿐만 아니다. 한 달에 두 번 정도는 유기견 봉사활동 단체에서 봉사해야 한다.
박씨가 이런 삶을 사는 이유는 다가오는 진급 심사 때문이다. 다른 여러 대기업처럼 그의 회사도 토익 점수를 진급 심사에 반영한다. 그의 토익 점수는 2년 유효기간이 끝나 점수를 갱신해야 한다.
박씨는 “공인 영어시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 취득하지 못하면 진급이 아예 불가능하다. 업무실적 외에 컴퓨터 활용 능력과 봉사 실적도 승진이나 연봉 협상 자료로 이용돼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고는 “취업과 함께 스펙 쌓기 전쟁에서 해방된 줄 알았는데 달라진 게 없다”며 한숨을 쉬었다. 그는 취업 후 여행과 취미활동을 즐기는 여유로운 삶을 기대했더랬다.
요즘 이렇게 취업하고 나서도 원치 않는 스펙 만들기 압박에 시달리는 직장인이 적지 않다. 한 사설 교육기관이 직장인 614명을 무작위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의 88.8%는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 계획을 갖고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학습 목적이 ‘승진과 업무역량 강화’라고 답했다. 이제 직장인에게 스펙은 살아남기 위한 필수수단이 되고 있다.
건설회사 신입사원 홍모(28) 씨는 매주 금요일 퇴근 후 소방전기기사 자격증 스터디에 참여하기 위해 종로로 향한다. 홍씨는 취업하면 남들처럼 ‘불금(불타는 금요일)’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지만 현실은 취업 준비생 때처럼 공부의 연속이었다.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전공을 살려 회사에서 플랜트 설계 및 시공 부문에 들어갔다. 그는 이미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을 따놨다. 그런데 입사한 지 사흘째 되는 날 회사는 그에게 소방·통신 분야도 공부하라고 권했다. 그는 소방전기기사 자격증을 따고 나면 통신기사 자격증도 취득해야 한다.
학습지 과외받는 어른들
영어·컴퓨터·봉사가 직장인 승진을 위한 3종 세트라면, 요즘은 중국어도 필수과목 대열 진입을 맹렬히 시도하고 있다. 중국과의 교역 규모가 커진 점,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어난 점, 중국인이 대체로 영어나 한국어를 못하는 점 때문에 여러 기업에서 ‘중국어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많은 직장인이 뒤늦게 중국어 학습에 열을 올린다. 최근엔 직장인 대상 중국어 개인과외가 붐을 이룬다. 과외 선생님은 주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모두 능통한 중국인 유학생이나 중국동포 등이다. 이들은 회사 부근 카페 등 직장인이 원하는 장소로 가서 학습지 같은 것을 펴놓고 1대 1로 중국어를 가르친다.
무역회사에 다니는 이모(29·여) 씨는 출근 직전, 퇴근 직후, 점심시간을 이용해 중국어를 공부한다. 회사에서 이씨에게 “영어만 잘해선 안 된다. 중국과의 무역이 늘어나니 중국어도 좀 익혀라”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했다고 한다. 이씨는 처음 접하는 언어이고 한자도 잘 몰라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결국 그녀는 학습지 과외를 선택했다.
이씨는 “이제 학습지 과외는 어린이의 전유물이 아니다. 수많은 직장인이 중국어 학습지를 찾고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됐다”고 전했다. 학습지 과외의 장점은 유연한 시간 활용. “내가 원하는 시간에 맞춰 학습지 선생님이 회사 근처 카페로 온다. 학원에 갈 수고를 덜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용도 저렴하다”는 것이다.
한 중국어 학습지 업체 관계자는 “‘직장인을 위한 빨간펜 선생님’이랄까. 최근 직장인 고객이 부쩍 늘고 있다. 기업에서 중국어가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는 데다 실제 회사 업무에서도 중국어 활용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한 어학원의 토익 수업 광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