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스포츠화제

강자에게 더 강한 애리조나의 ‘작은 거인’

메이저리거 김병현 스토리

  • 송재우 < 스포츠평론가 > jwsong@sports.com

강자에게 더 강한 애리조나의 ‘작은 거인’

1/5
  • 김병현은 야구의 본고장 미국에서 끊임없이 신화를 만들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효용가치’ 없는 것으로 알려진 잠수함 투수로서 초특급 ‘삼진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강타자들을 하나씩 쓰러뜨리면서….
김병현(22·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을 처음 만나는 사람은 우선 두 번 놀라게 된다. 생각보다 키가 작아서 놀라고 차돌같이 단단해 보이는 인상에 놀란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에 등록된 김병현의 신장은 180cm. 결례가 될 것 같아 물어보진 못했지만, 필자의 눈대중으로는 175cm도 채 안 돼 보인다. 어떻게 저런 체격에서 150km의 강속구가 나오고, 자신보다 훨씬 커보이는 메이저리그 강타자들을 손쉽게 삼진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 실력과 구위 이상으로 두둑한 배짱을 필요로 하는 마무리 투수 김병현. 그는 지금까지 어떤 타자와 맞서더라도 도망가는 피칭을 한 적이 없다.

‘작은 고추’ 김병현이 ‘한국형 핵잠수함’으로 그리고 ‘BK’(병현의 영문 이니셜이자 ‘Bullpen Killer’라는 의미로도 쓰인다)라는 자신의 이니셜을 딴 ‘불펜 삼진왕’으로 메이저리그 마운드에 우뚝 서기까지를 살펴보았다.

야구선수로서 김병현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94년 광주 제일고등학교 1학년 시절이다. 당시 광주일고의 에이스는 현재 뉴욕 메츠 산하 마이너리그 트리플 A팀에서 뛰고 있는 서재응이었다.

서재응의 경기를 보기 위해 많은 스카우트들이 경기장을 찾았다. 하지만 정작 이들이 주목한 선수는 서재응보다 1학년생 김병현이었다. 잠수함 투수로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볼과 변화무쌍한 변화구로 상대 타자들을 제압했기 때문이다. 김병현은 2학년 때 청룡기 대회에서 한 경기 18탈삼진을 기록하는 등 팀을 우승으로 이끌며 스카우트의 표적이 되었다.

김병현이 국제적으로 눈길을 끈 것은 성균관대 1학년 시절 한미 대학야구대회에 참여한 뒤다. 빼어난 피칭으로 현지 관계자들의 혼을 빼놓았고,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때는 8타자를 연속 삼진 처리하는 등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혔다. 결국 김병현은 당시 국내 선수로는 최초로 계약금과 연봉 포함 225만달러라는 초특급 대우를 받고 메이저리그에 진출한다.



근성과 오기의 작은 고추

어린 시절 김병현은 태권도를 배웠다. 체격이 크지는 않지만, 독종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승부근성이 강한 소년이었다. 그와 함께 청소년 국가대표팀에서 뛰었던 동료에 따르면 공도 치기 어려웠지만, 워낙 승부욕이 강해 곁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태권도로 다져진 체력도 그의 강력한 무기였다.

지기 싫어하는 김병현의 태도는 연습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지금도 그는 연습을 거르는 법이 없다. 경기 막판, 그것도 승패가 한순간에 바뀔 수 있는 고비에서 마운드에 오르는 마무리 투수이기에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김병현은 주위에서 과로를 걱정할 정도로 연습에 매달린다.

손목을 많이 활용하는 잠수함 투수인 김병현은 불펜에서 대기하면서 쉴새없이 기구를 이용해 힘을 기른다. 투수들에게 기본적인 러닝은 말할 필요도 없고 경기가 끝난 후에도 개인 훈련을 거르지 않는 독종이다.

어쩌면 친구들과 어울려 미팅도 하고 즐겁게 놀 시기인 22세의 김병현에겐 그런 즐거움이 없다. 오히려 ‘정글의 법칙’만이 존재하는 메이저리그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을 채찍질할 뿐이다. 이런 김병현의 지독한 훈련태도는 미국 진출 3년, 풀타임 2년 만에 주전으로 확실히 자리잡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8월 초 김병현은 매년 그를 괴롭히는 손목과 무릎, 팔 등에 통증이 생겨 코칭 스태프가 등판을 만류한 일이 있다. 한 부위가 아니라 몸의 오른쪽 전체에 통증이 왔기 때문에 참아내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어렵게 잡은 마무리 투수의 기회를 김병현이 손쉽게 포기할 리는 만무했다. 김병현은 계속해서 등판했다. 드넓은 애리조나의 홈구장 뱅크원 볼파크를 세 바퀴나 뛰면서 땀을 쏟았다. 그는 치열한 페넌트 레이스를 펼치는 팀사정을 감안해 팀 트레이너에게만 통증을 귀띔했을 뿐이다.

김병현은 마무리가 허약한 팀 사정상 일반적인 세이브 투수보다 많은 이닝을 소화하고 있다. 지난 시즌까지 그는 시즌 막바지에 체력이 떨어져 고전했다. 그래서 그의 잦은 등판이 자칫 무리를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전혀 굴하지 않는 김병현은 코칭스태프의 믿음을 얻고 있다. 하루도 쉬지 않는 체력훈련이 동반됐기 때문이다.

김병현은 모든 일에서 지고는 못 사는 성격이다. 좀처럼 타석에 들어설 기회가 없는 마무리 투수 김병현이 지금까지 타석에 들어선 횟수는 여덟 번. 이 가운데 김병현은 오직 한 번 성공했을 뿐이다. 김병현은 하나의 안타로 타점까지 올렸으며, 경기 막판 시소 게임에서 터뜨렸기 때문에 동료들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

김병현은 안타를 때린 뒤 동료들에게 “나도 아마추어 시절 4번타자로 타격왕을 차지한 적이 있다”고 큰소리를 치는 바람에 동료들은 그에게 은박지로 만든 ‘은방망이’ 네자루를 선물했다. 이것은 각 포지션에서 가장 방망이가 뛰어난 선수에게 주는 ‘실버 슬러거상’을 본떠서 애리조나 선수들이 김병현을 축하해준 해프닝이었다.

1/5
송재우 < 스포츠평론가 > jwsong@sports.com
목록 닫기

강자에게 더 강한 애리조나의 ‘작은 거인’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