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지방자치시대의 현장 ④ㅣ 충청남도 금산군

잘 가꾼 山 하나, 열 工團 안부럽다

  • 양영훈 < 여행작가 > travelmaker@hanmir.com www.travelmaker.co.kr

잘 가꾼 山 하나, 열 工團 안부럽다

1/2
  • 금산은 교통이 잘 발달한 요충지라 대규모 공단이나 레저타운이 들어설 조건이 뛰어나다. 그러나 천혜의 풍광과 정서적 풍요를 지키기 위해 금산군이 선택한 발전전략은 ‘산지자원화’였다.
금산(錦山)에는 금강(錦江)이 흐른다. 비단처럼 수려한 산자락들 사이로 비단결처럼 고운 강줄기가 굽이굽이 흘러간다. ‘비단산’과 ‘비단강’이 절묘하게 어우러졌으니 발길 닿은 곳마다 금수강산(錦繡江山)이다.

하지만 금산의 산하(山河)는 눈을 즐겁게 만들기보다는 마음을 편안케 해준다. 처음 본 풍경조차 왠지 낯설지가 않다. 초행길의 마을도 언젠가 한동안 머물렀던 곳처럼 아늑하고 정겹다. 이미 오래 전에 아련한 추억으로만 남은 고향의 옛 정경이 오롯이 살아 있다. 그래서 금산 땅에 한번 가본 사람들은 머지않아 다시 찾게 된다고 한다.

금산군의 면적은 576㎢. 땅덩이 크기로는 서울특별시보다 조금 작다고 한다. 그러나 인구는 서울시의 두어 개 동을 합친 것에 지나지 않는 6만3000명(2001년)에 불과하다. 그나마 전체 인구의 40% 가량은 금산읍에 집중돼 있다.

지리적으로는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위치해 전체 면적의 72%가 산지다. 평균 해발고도가 250m로 충청남도 평균치의 2.5배에 이른다. 금산군 곳곳에 봉긋봉긋 솟아오른 산봉우리는 무려 3000여 개를 헤아린다고 한다. 그러니 산너머 또 산이고, 사방을 둘러봐도 겹겹이 쌓인 산자락만 눈에 들어온다.

이처럼 산지가 많은 금산군에서 가장 큰 자원은 무엇일까. 김행기(金行基·64) 금산군수가 취임 후 오랫동안 고민했던 것도 바로 이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었다고 한다. 다행히 금산군은 자연풍광이 수려하고 산지가 많은데도 교통이 사통팔달로 잘 발달돼 있다. 게다가 지리적으로는 남한 땅의 배꼽에 해당되는 요충지다. 이런 이점들을 밑천 삼는다면 대규모 물류센터나 공장, 관광레저타운이나 러브호텔 등 당장 지역경제에 보탬이 될 만한 사업을 유치하기는 어렵지 않다.



하지만 금산군은 그런 사업에 별로 눈독을 들이지 않았다. 단기적인 경제효과는 얻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천혜의 아름다운 풍광을 오염시키고 파괴함으로써 결국엔 정서적 풍요를 영영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심 끝에 마련한 금산군의 장기발전전략은 ‘산지자원화(山地資源化)’였다. 전체 면적의 7할이 넘는 금산군의 산지를 자연과 인간이 상생하는 미래자원으로 가꿔나간다는 전략이다.



‘자연 최대, 인위 최소’


금산군은 잘 가꿔진 숲과 아름다운 환경이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했다. 예컨대 금산군 전역에서 자생하는 산벚나무는 이 지역에 인공 조림된 리기다소나무보다 경제적 가치가 60배나 높다고 한다. 또한 솎아베기를 제대로 해주면 나무의 성장속도가 6∼8배나 빨라지고, 가지치기를 잘 해준 나무는 두께가 2.4배, 목재로서의 가치가 2배나 증가한다.

숲 가꾸기에 따른 부수적인 이익도 적지 않다. 우선 숲의 잡목을 제거하고 솎아베기로 나무 사이의 간격을 알맞게 벌려주면 나무가 올곧게 성장할 뿐만 아니라 숲 바닥에서는 약초나 산나물 같은 초본류와 각종 버섯이 돋아나게 된다. 그 결과 숲은 중층구조(中層構造)를 이뤄 전체 면적이 넓어지고, 각종 임산물을 채취하는 산간지역의 농가소득도 늘어난다.

또한 숲은 거대한 ‘산소발생기’이자 소음방지벽, 천연의 다목적댐이라 무형의 이득 또한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 숲이 좋아지고 주변환경이 아름다워지면 인근 부동산의 가치가 눈에 띄게 상승한다.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는 숲 가꾸기 사업과 남이자연휴양림이 조성되기 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가장 땅값이 낮은 곳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 무렵보다 20배나 올랐다고 한다.

이처럼 치밀한 분석과정을 거쳐 추진되는 금산군의 산지자원화 전략은 흔히 봐온 개발 일변도 정책과는 확연히 다르다. 산지, 즉 숲의 자연성을 최대한 존중하고 보존하되, 숲이 건강하고 가치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인위적 손길을 가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삶터를 소중히 여기면서도 자연의 섭리와 가치를 지킨다는 의미다.

산지자원화의 첫째 단계인 ‘아름다운 숲 가꾸기’ 사업(1998)도 이 원칙에 따라 추진됐다. 이 사업을 통해 새로운 생태관광자원을 발굴해 내기도 했다. 약 100만평으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군북면 산안리 일대의 산벚꽃 군락지, 금성면 의총리 칠백의총, 복수면 지량리 일대의 진달래동산, 제원면 신안리 화원골의 조팝동산 등이 그것이다. 금산군은 이런 산림자원과 축제를 연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독특한 지역문화도 널리 알릴 계획이다.

산지자원화의 둘째 단계인 ‘금수강산 가꾸기’ 사업(1999)은 “금산의 자연을 본래 모습에 가깝게 개발하겠다”는 취지로 실시됐다. 그 일환으로 숲길을 정비하고 삼림욕장이나 휴양림 같은 휴식공간을 조성해 사람과 자연이 더 가까워질 수 있게 만들었다. 자연과 더 가까워지면 자연에 대한 사람들의 애정과 관심도 그만큼 깊어진다.

1/2
양영훈 < 여행작가 > travelmaker@hanmir.com www.travelmaker.co.kr
목록 닫기

잘 가꾼 山 하나, 열 工團 안부럽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