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정밀 진단

‘노무현당’이냐 ‘박·정·이 신당’이냐

오리무중 8·8 재보선 정국

  • 김기영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hades@donga.com

‘노무현당’이냐 ‘박·정·이 신당’이냐

1/12
  • 8·8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달아오르고 있다. 한나라당의 절대우세 전망 속에 민주당은 선거전을 시작하기 전부터 내분 조짐에 휩싸여 있다. 위기의 노무현과 그를 흔드는 비주류. 과연 민주당은 깨질까. 정계개편은 현실로 나타날까.
광역단체장 11명(한나라당) 4명(민주당) 1명(자민련)기초단체장 140명(한나라당) 44명(민주당) 16명(자민련) 2명(민노당)시·도의회의원 467명(한나라당) 143명(민주당) 33명(자민련) 11명(민노당)정당 지지도 52.2%(한나라당) 28.9%(민주당) 6.7%(자민련) 8.1%(민노당)….

6·13지방선거에서 여야 정당이 받아든 성적표다. 한나라당의 압승, 민주당의 참패, 자민련의 몰락, 민노당의 약진. 언론은 선거결과를 이렇게 압축해 묘사했다. 선거 결과에 민주당이 받은 충격은 대단했다. 한동안 당 전체가 공황상태에 빠진 듯 맥이 풀렸고 그 후유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의 참패는 정치권 전체에 격렬한 진동을 몰고 왔다. 당장 민주당이 심각한 내분상태에 빠졌다. 비주류들이 속속 목소리를 높이며 노후보와 주류를 압박하고 있다. 이인제(李仁濟) 의원·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정균환(鄭均桓) 총무 등이 잇따라 이원정부제 개헌론을 들고나왔고 이들의 목소리는 당 내보다 당 밖에서 더 큰 메아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입법기관인 국회의원들에게 개헌론은 ‘OX퀴즈’와 같다. 기권은 불가능하며 어느 쪽이든 자신의 입장을 나타내야 한다. 이런 속성 탓에 개헌론은 정계개편을 요구하는 세력이 곧잘 활용하는 무기다.

개헌론을 제기하는 측의 목소리가 커질수록 국회의원들은 마음속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준비해야 하고, 행동의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래서 개헌론이 정계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대단히 높다. 민주당에서 개헌론을 주장하는 이들의 마음속에는 자신들의 주도로 정계개편을 이루고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겠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봐도 크게 틀린 얘기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비주류의 반격에 직면한 민주당 주류도 혼란에 빠져 있다. 뚜렷한 대안을 내놓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계속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노무현 후보체제로 대선에서 이길 수 있을 것인가’에서 시작한 민주당 내 논쟁이 마침내 ‘노무현 후보가 과연 민주당의 후보로 대선에 나설 수나 있을까’하는 우려로 옮겨가고 있다.

1/12
김기영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hades@donga.com
목록 닫기

‘노무현당’이냐 ‘박·정·이 신당’이냐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