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인슈타인과 마가리타 코넨코바가 함께 찍은 사진. 상단에 아인슈타인의 서명이 뚜렷하다.[AP]
모든 일은 1935년 어느 날, 뉴욕의 한 아틀리에에서 시작됐다. 조그마한 의자에 우두커니 앉아 있는 백발 사내의 이름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재직중이던 프린스턴대가 의뢰한 초상화의 모델이 되기 위해 지루한 시간을 보내던 참이었다. 작업을 맡은 사람은 러시아 출신의 유명한 화가 겸 조각가 세르게이 코넨코프로, ‘러시아의 로댕’이라고 불릴 만큼 실력을 인정받던 예술가였다.
그러나 정작 의미심장한 일은 따로 있었다. 이날 아인슈타인은 아틀리에에서 이 예술가의 아내를 만나게 된다. 그녀의 이름은 마가리타 코넨코바. 여인을 본 순간 세계적인 명성의 천재 과학자는 이성을 잃을 만큼 한눈에 반해버리고 만다. 풋풋함이 빛나는 젊은 나이는 아니었지만, 자기주장이 강하고 당당한 그녀의 매력적인 자태는 몰아치는 폭풍우처럼 아인슈타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남편이 아틀리에에서 아인슈타인을 데생하고 있는 동안 이미 둘 사이에는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었다. 마가리타가 후에 남긴 기록에 따르면 “아인슈타인은 매우 흥분했으며 자신의 상대성이론을 신나게 설명해줬다”고 한다.
“그는 내가 관심을 보이니까 기분이 좋았던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그 이론을 설명해줬는데, 매우 재미있었다. 그 짧은 시간 동안 남편은 나와 아인슈타인이 함께 있는 모습을 그려줬다. 아인슈타인은 즉석에서 그림의 제목을 지어냈다. 알마(Alma), 즉 그의 이름 알베르트와 내 이름 마가리타의 첫 음절을 딴 것이었다.”
아인슈타인이 마가리타를 처음 만났을 때 아인슈타인은 56세, 마가리타는 39세였다. 두 사람의 만남에서 나이는 중요치 않았다. 중요한 것은 한눈에 반해버린 사랑, 그것뿐이었다. 사실 두 사람이 10여년간 연인 사이였다는 사실이 이번에 처음 알려진 것은 아니다. 아인슈타인의 전기를 집필한 작가들은 대다수 둘의 관계를 알고 있었지만, 정작 그녀의 정체는 알지 못했고 때문에 둘의 관계에도 깊은 관심을 쏟지 않았다.
그러나 마가리타의 실체는 단순히 사교계의 귀부인이 아니었다. 구소련 정보기관의 문서들은 그녀가 국가보안위원회(KGB)를 위해 활동한 스파이였음을 보여준다.
“그녀는 베테랑 공작원이었다.”

구소련의 여자 스파이 마가리타 코넨코바의 젊은 시절 모습.
“그녀는 프린스턴대에 재직하던 두 명의 대표적인 물리학자, 즉 존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접근해 포섭하는 데 성공했다. 오펜하이머는 일찍부터 미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청산한 인물인데, 코넨코바는 우리의 지시에 따라 오펜하이머에게 접근해 좌파사상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을 연구소의 특별연구원으로 채용하도록 만들었다.
공작원으로서 그녀의 최우선 목표는 원자폭탄의 개발이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때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 엄청난 무기의 개발을 주도하는 이들은 과연 누구이며 이론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과학자는 어떤 이들인지 파악하는 것이 그녀의 중요한 임무였다.
코넨코프 부부는 러시아 출신의 이민자로 아인슈타인의 가정과 매우 가깝게 지냈기 때문에 원폭개발에 참여하고 있던 연구원들을 자연스럽게 만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마가리타 코넨코바를 통해 우리는 미국정부가 새로 개발중인 무기체계에 관한 주요 정보를 쉽게 입수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