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발굴 비화

아인슈타인과 KGB 女스파이의 ‘10년 밀애’

“당신 말대로 소련 영사를 만나고 왔소… 사랑의 키스를 전하오”

  • 번역·정리 안윤기 주간동아 베를린 통신원 friedensstifter@hanmail.net

아인슈타인과 KGB 女스파이의 ‘10년 밀애’

1/4
  • 핵무기 개발에 참여한 세계적인 천재 과학자와 정보를 캐내기 위해 그에게 접근한 미녀 공작원.
  • 최근 독일의 한 정치평론지는 구소련 KGB의 비밀문서를 바탕으로 “아인슈타인과 10년간 열애를 나눈 러시아 여인이 소련 스파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 역사의 그늘 속에 숨어 있던,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위험한 로맨스.
아인슈타인과 KGB 女스파이의 ‘10년 밀애’

아인슈타인과 마가리타 코넨코바가 함께 찍은 사진. 상단에 아인슈타인의 서명이 뚜렷하다.[AP]

요즘독일은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관한 갖가지 이야기로 뜨겁다. 그의 사망 50주년, ‘상대성원리’ 발표 100주년을 맞이해 학계와 언론에서는 그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그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이 월간 정치평론지 ‘치체로’ 1월호에 실린 ‘아인슈타인의 위험한 사랑’이란 제목의 기사. 러시아 코넨코바박물관의 스베틀라나 보브로바 연구관이 그간 발굴, 보관해온 비밀문서, 사진, 편지, 메모 등을 근거로 작성한 이 기사는, 유사 이래 가장 위험한 무기와 관련된 천재 과학자를 표적으로 삼은 구소련 정보기관의 집요한 공작과 그 과정에서 ‘소모’된 개인들의 비극을 드라마틱하게 보여준다. 다음은 ‘치체로’의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당시 사건을 재구성한 것이다.

모든 일은 1935년 어느 날, 뉴욕의 한 아틀리에에서 시작됐다. 조그마한 의자에 우두커니 앉아 있는 백발 사내의 이름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재직중이던 프린스턴대가 의뢰한 초상화의 모델이 되기 위해 지루한 시간을 보내던 참이었다. 작업을 맡은 사람은 러시아 출신의 유명한 화가 겸 조각가 세르게이 코넨코프로, ‘러시아의 로댕’이라고 불릴 만큼 실력을 인정받던 예술가였다.

그러나 정작 의미심장한 일은 따로 있었다. 이날 아인슈타인은 아틀리에에서 이 예술가의 아내를 만나게 된다. 그녀의 이름은 마가리타 코넨코바. 여인을 본 순간 세계적인 명성의 천재 과학자는 이성을 잃을 만큼 한눈에 반해버리고 만다. 풋풋함이 빛나는 젊은 나이는 아니었지만, 자기주장이 강하고 당당한 그녀의 매력적인 자태는 몰아치는 폭풍우처럼 아인슈타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남편이 아틀리에에서 아인슈타인을 데생하고 있는 동안 이미 둘 사이에는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었다. 마가리타가 후에 남긴 기록에 따르면 “아인슈타인은 매우 흥분했으며 자신의 상대성이론을 신나게 설명해줬다”고 한다.

“그는 내가 관심을 보이니까 기분이 좋았던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그 이론을 설명해줬는데, 매우 재미있었다. 그 짧은 시간 동안 남편은 나와 아인슈타인이 함께 있는 모습을 그려줬다. 아인슈타인은 즉석에서 그림의 제목을 지어냈다. 알마(Alma), 즉 그의 이름 알베르트와 내 이름 마가리타의 첫 음절을 딴 것이었다.”

아인슈타인이 마가리타를 처음 만났을 때 아인슈타인은 56세, 마가리타는 39세였다. 두 사람의 만남에서 나이는 중요치 않았다. 중요한 것은 한눈에 반해버린 사랑, 그것뿐이었다. 사실 두 사람이 10여년간 연인 사이였다는 사실이 이번에 처음 알려진 것은 아니다. 아인슈타인의 전기를 집필한 작가들은 대다수 둘의 관계를 알고 있었지만, 정작 그녀의 정체는 알지 못했고 때문에 둘의 관계에도 깊은 관심을 쏟지 않았다.



그러나 마가리타의 실체는 단순히 사교계의 귀부인이 아니었다. 구소련 정보기관의 문서들은 그녀가 국가보안위원회(KGB)를 위해 활동한 스파이였음을 보여준다.

“그녀는 베테랑 공작원이었다.”

아인슈타인과 KGB 女스파이의 ‘10년 밀애’

구소련의 여자 스파이 마가리타 코넨코바의 젊은 시절 모습.

모스크바에서 그녀에게 지령을 내린 장본인인 파울 수도플라토프가 작성한 메모의 내용이다. 그녀에 대한 칭찬으로 가득한 이 메모의 내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그녀는 프린스턴대에 재직하던 두 명의 대표적인 물리학자, 즉 존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접근해 포섭하는 데 성공했다. 오펜하이머는 일찍부터 미국 공산당과의 관계를 청산한 인물인데, 코넨코바는 우리의 지시에 따라 오펜하이머에게 접근해 좌파사상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을 연구소의 특별연구원으로 채용하도록 만들었다.

공작원으로서 그녀의 최우선 목표는 원자폭탄의 개발이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때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 엄청난 무기의 개발을 주도하는 이들은 과연 누구이며 이론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과학자는 어떤 이들인지 파악하는 것이 그녀의 중요한 임무였다.

코넨코프 부부는 러시아 출신의 이민자로 아인슈타인의 가정과 매우 가깝게 지냈기 때문에 원폭개발에 참여하고 있던 연구원들을 자연스럽게 만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마가리타 코넨코바를 통해 우리는 미국정부가 새로 개발중인 무기체계에 관한 주요 정보를 쉽게 입수할 수 있었다.”

1/4
번역·정리 안윤기 주간동아 베를린 통신원 friedensstifter@hanmail.net
목록 닫기

아인슈타인과 KGB 女스파이의 ‘10년 밀애’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