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러피언 드림’<br> 제러미 리프킨 지음/이원기 옮김/ 민음사/552쪽/2만2000원
“유럽에서 오셨다고 했는데 유럽이 살기 좋은가요, 미국이 살기 좋은가요?”
그는 필자가 대답을 하기도 전에 미국의 좋은 점을 열거했다. ‘열심히 일하면 대가가 확실한 곳’이라는 게 골자였다. 그때 필자는 “그럴 수도 있겠다”며 맞장구를 치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유럽이 우월한 점을 설명하기도 했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것은 엇갈림이었다. 미국 시민권자인 식당 주인은 미국시민으로서 유럽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물었던 것인데, 필자는 한국인으로 미국과 유럽을 비교했던 것이다.
리프킨의 책은 ‘미래에 대한 유럽의 비전이 어떻게 아메리칸 드림을 잠식하고 있는가?’라는 부제가 시사하듯 철저히 미국인의 관점에서 ‘유러피언 드림’과 ‘아메리칸 드림’을 대비하고 있다. 리프킨은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엘리트교육을 받았지만 유럽을 동경하며 수시로 유럽에 체류하는 저술가다. 실제로 유럽에는 단순히 여행이나 출장이 아니라 장기간 체류하며 활동하는 미국의 지식인이 상당수 있다. 이들에게 유러피언 드림과 아메리칸 드림의 경계와 대비는 너무나 생생하다. 한때 유럽에 체류했던 학자 로버트 케이건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유럽이 파라다이스라면 미국은 파워다. 유럽이 살롱 주인이라면 미국은 보안관이다. 곰이 나타나면 유럽은 엎드리지만 미국은 곰을 사살해버린다.”
하지만 필자는 ‘유러피언 드림’을 읽으면서 어쩔 수 없이 ‘코리안 드림’이라는 개념을 끼워넣게 된다. 코리안 드림을 만들어냈고 또 전파했던 한국인에게 이러한 유러피언 드림과 아메리칸 드림의 생생한 대비가 시사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코리안 드림은 ‘유길준 코스’나 ‘이승만 코스’를 통해 만들어졌고, 아메리칸 드림과 궁합이 잘 맞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선 아메리칸 드림과 코리안 드림의 찰떡궁합이 과연 좋았던 것인지 되돌아보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그렇다면 ‘유러피언 드림’에 서술된 ‘유럽적 대안’이 한국의 미래에 대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일까. ‘드림’이란 결국 미래에 대한 ‘이념’의 문제다. 혹자는 먹고 살기 바쁜데 무슨 ‘이념’ 타령이냐고 말한다. 그러나 사람은 빵만으로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이념은 항상 중요하다. 또 결국 ‘어떤 이념을 세우는가’가 ‘어떻게 먹고 사는가’를 좌우하게 된다. 리프킨은 바로 그러한 쟁점을 정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문명적 표준 경쟁
유럽은 일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일한다. 이것이 리프킨의 결론이다. 그런데 리프킨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럽을 미국에 비해 ‘조금 덜 잘살더라도 인간답게 사는 곳’이 아니라 ‘미국보다 더 잘살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곳’으로 묘사한다. ‘포춘’이 선정한 140개 대기업 가운데 유럽 회사는 61개로 미국(50개)보다 많다. 또 세계 4대 은행 가운데 3개가 유럽은행이다.
문명의 역사는 야만의 역사다. 그 배후에는 팽창, 침탈, 헤게모니의 역사가 숨어 있다. 그렇다 해도 야만에서 문명으로 나아가는 코스 자체를 뒤집을 수는 없다. 문화와 지역에 따라 시간적 차이는 있지만 문명을 대신해 야만을 앞세울 수는 없다. 누가 더 문명적인가 하는 겨룸은 있을 수 있어도, 누가 더 야만적인가 하는 겨룸은 있을 수 없다. 누가 더 문명적인가 하는 겨룸이 있기에 과연 무엇이 문명인가라는 문제제기도 가능하다.
유럽과 미국은 분명히 다른 시각에서 문명적 표준을 바라보고 있다. 중국이 미국에 도전하고 있다고는 하나 문명적 표준 경쟁에까지 이른 건 아니다. 유럽 대 미국의 문명적 표준 경쟁이 궁극적으로 새로운 대서양 관계를 형성할까, 아니면 유럽적 표준과 미국적 표준의 영원한 이별로 이어질까. 이 문제는 동아시아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그동안 리프킨이 출간한 ‘엔트로피’ ‘생명권 정치학’ ‘노동의 종말’ ‘바이오테크 시대’ ‘소유의 종말’ 등에서 제기된 화두들과 관련해 봐도 유럽과 미국의 대결양상은 확연하다. 교토협약을 둘러싼 미국과 유럽의 갈등, 노동문제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시각 차이, 소유하고자 하는 미국과 사용하고자 하는 유럽의 차이 등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