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초대에세이

여론조사를 위한 변명

  • 일러스트·박진영

여론조사를 위한 변명

1/3
여론조사를 위한 변명
연초부터 대선주자들의 숨가쁜 ‘경주’를 생중계하는 여론조사가 한창이다. 아닌게아니라 대선이 다가오면 ‘얄미운’ 여론조사부터 눈에 들어온다. 또 여론조사 결과를 얘기하다보면 어느새 여론조사 자체에 대한 얘기가 무성해진다. 여론조사 때문에 정치를 못하겠다는 정치인들의 엄살부터, 여론조사는 믿을 게 못된다는 식자층의 불평까지 다양하다. 여론조사의 허점을 파헤치는 날카로운 보도도 잇따른다.

그나마 대선 초기에는 왈가왈부 수준의 내용이지만, 대선 열기가 뜨거워지면 서슬 퍼런 시시비비가 등장한다. 조사기관마다 결과가 다르다며 엉터리 여론조사에 대한 지탄도 쏟아지고, 한걸음 더 나아가 저 조사기관은 ‘누구 편’이라서 편향됐느니 하는 얘기도 들린다. 대개 우리 사회에서 여론조사는 마음에 들면 ‘과학’이지만, 못마땅하면 ‘조작’이 된다.

나는 여론조사에 대한 특강을 하러 갈 때면 ‘당부 말씀’ 몇 가지를 꼭 빠뜨리지 않고 전한다. 그중 첫 번째가 ‘당신의 여론은 여론이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 국민이야 전문가를 불러다 여론의 흐름을 들을 일이 별로 없지만 오피니언 리더라 할 식자층은 다르다. 강조하고 싶은 점은 전 국민의 5% 이내에 드는 ‘훌륭한 분’들의 여론은 여론으로서 가치가 좀 떨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여론조사에 잘 응하지도 않는 이 소수 엘리트 집단의 의견은 대체로 ‘신념’이나 ‘이해관계’로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특히 차기 대통령이 누가 될지에 따라 그 영향이나 이해관계가 눈에 그려지는 분들의 여론은 방방곡곡 ‘삶의 현장’에 있는 일반 국민의 여론과는 꽤 다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여론조사에서는 100%라는 수치를 찾아보기 힘들거니와 늘 찬반이 엇갈리는 만큼 결과에 불만인 사람이 매번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여론조사가 자신의 의견과 다르다고 놀라거나 노여워할 필요는 없다. 지난 대선을 포함해 그동안 ‘반드시 될 것’이라고 믿었던 후보만 당선되는 것이 아니라면 이러한 ‘차이’를 좀더 관대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여론조사가 꼭 옳은 게 아니라는 말은 흔히 듣는 얘기 중 하나다. 실제 여론조사라는 것은 특정 시점, 특정 이슈에 대한 의견의 총합일 뿐이다. 당연히 국민이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간에 ‘옳고 그른’ 가치론적 문제가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자신의 생각과 다른 여론조사 결과만 나오면 곧잘 입이 튀어나오는데, 이런 반응의 주된 이유는 ‘민심은 천심’이라는 강박관념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여론은 곧 민심이고 천심이니 따라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렇지가 않다. 특히 여론조사의 주체가 되는 정책결정자나 사회지도층이 여론조사 결과만 따른다면 당연히 ‘중우(衆愚)정치’가 된다. 중요한 것은 대중의 생각이 자신의 생각과 같으면 신념을 갖고 추진하면 된다. 대신, 같지 않으면 설득해야 한다.

1/3
일러스트·박진영
목록 닫기

여론조사를 위한 변명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