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역 플랫포옴에서 북한 평양행 열차가 손님을 맞고 있다.
서울역과 베이징역의 만남
이철 철도공사 사장은 이미 ‘올림픽열차 띄우기’에 나섰다. 그는 지난 3월27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베이징올림픽 때 응원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올 하반기 중 준비단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북한과 중국 간에는 국제열차가 다니고 있어 북측에서 철로만 개방한다면 베이징올림픽 때 우리 응원단을 태우고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3일 베이징에서 이우방 서울역장과 왕리 베이징역장이 철도사업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양해각서에는 철도운영과 마케팅, 철도여객서비스 향상, 문화교류 등 양국 대표역의 철도사업 교류를 위한 공동협력사항이 포함돼 있다고 한다. 올림픽열차의 시발·종착역이 될 서울역과 베이징역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우방 서울역장도 이날 행사장에서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한국철도가 중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다. 더 나아가 한반도횡단철도(TKR)와 중국횡단철도(TCR)의 연결운행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림픽열차 운행이 가능하려면 남북한 철도연결 및 열차 시험운행이 선행돼야 한다. 남측 구간의 경우 경의선은 2002년 12월 공사가 마무리됐고 동해선은 본선궤도 부설 등 열차운행을 위한 기본시설공사가 완료됐다. 북측 구간은 양 노선 모두 궤도 부설공사가 끝났다.
그러나 열차 시험운행은 북측이 열의를 보이지 않아 구체적 일정 등에 대해 아직 남북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남측은 올해 들어 범정부 차원에서 ‘철도연결’에 협상력을 쏟아 붓고 있다. 3월1일 20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남측 수석대표인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올해 상반기 중 열차 시험운행을 하고 연내에 철도를 개통하자”면서 철도개통을 최우선 현안으로 제의했다. 반면 북측은 쌀, 비료 등 경제지원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철도가 대선 이슈 바꾼다”
결국 양측은 올 상반기 중 경의선과 동해선에서 열차 시험운행을 실시하기로 하는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 같은 합의에도 열차시험 운행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시사저널’ 남문희 기자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번에 회담한 당사자는 북한 통일선전부인데 통일선전부는 열차 운행에 있어 큰 발언권이 없다. 우리 정부가 임기 말이고 대선까지 겹쳐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군이나 당 고위층을 만족시킬 만한 선물을 주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경의선-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을 하루 앞둔 2006년 5월24일 운행계획을 전격 취소한 전력이 있다.
이 같은 어려움에도 정부가 남북 철도 연결에 열의를 보이는 것은 그것이 갖는 정치적 함의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남북 철도 연결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철도연결 합의를 7년 뒤인 2007년 비로소 실현했다는 의미가 된다. 북핵 위기 해소 국면과 맞물린다면 이만한 일도 없다. 특히 올림픽열차운행에 합의한다면 이는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물이 될 수 있다. 철도 연결은 대선 이슈를 ‘경제’에서 ‘북한’으로 바꿀 수도 있는 재료”라고 했다.
이어 그는 “이철 사장은 대중적 정치인인데다 재임기간 중 치적을 남기고 싶어 하기 때문에 올림픽열차 사업에 상당히 열의를 보이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