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해양석유총공사가 운영하는 유전 플랫폼.
“오늘날 중국 영토는 닭 모양이야. 저장(浙江)성, 푸젠(福建)성, 광둥(廣東)성은 닭의 배, 신장위구르자치구와 시짱(西藏)자치구는 꼬리, 헤이룽장(黑龍江)성, 지린(吉林)성은 머리 부분이지. 그런데 말이야, 한반도는 닭의 부리, 일본은 모이거든. 부리로 (일본을) 쪼아야 돼.”
피식 웃음이 났지만, 중국이 북한을 활용해 일본을 견제한다는 ‘이조제일(以朝制日)’과 반일(反日)에 대한 나름의 해학이려니 생각했다. ‘청나라 이전 수천 년 동안 닭 머리는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 땅이었으니 한국을 잘 받들라’고 말하곤 웃어넘겼다. 벌써 10년도 더 된 얘기지만.
닭 모양을 한 중국 지도를 펼쳐놓으면, 머리에서 몸통으로 이어지는 해안선에 오목하게 들어간 목 부분이 있다. 랴오닝(遼寧)성 서쪽, 허베이(河北)성, 톈진(天津)시, 산둥(山東)성으로 이어지는 보하이(渤海·발해)해. 그 안쪽 가장 깊숙한 일대가 보하이만이다. 한때 고구려가 당(唐)나라와 건곤일척(乾坤一擲) 혈전을 벌였던 안시성도, 진시황제가 불로불사의 약초를 구하기 위해 서복(徐福)을 동쪽으로 떠나보낸 곳(秦皇島)도, 명나라 장수 오삼계(吳三桂)가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산하이관(山海關) 문을 열어 청나라 군대가 무혈입성한 곳도 보하이만 연안이다. 연암 박지원은 “파초선을 든 만인(滿人) 대관이 100여 명의 군사에 둘러싸여 조사받는 것이 무척 삼엄했다”며 이곳의 통관 수속에 대해 적고 있다.
근래에는 매년 7,8월 중국 공산당 최고 지도자들이 모이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로 유명하다. 1958년 대약진운동 전면 실시를 결정한 회의이기도 하다. 역사는 화북, 화동지역에서 수도 베이징(北京)으로 가는 최적의 해상·육상교통로이자 천혜의 휴양지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보하이만은 최근 유전(油田) 기름유출 사고로 또 한 번 역사에 기록될 듯하다. 보하이만 펑라이(蓬萊) 19-3 유전에서 원유 유출사고가 발생한 날은 6월4일. 중국 국가해양국은 한 달이 지난 7월5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원유 유출사고로 840㎢의 바다가 오염됐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주일 뒤 중국 언론은 중국해양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4240㎢의 해역이 오염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고, 이날 펑라이 19-3 유전의 B, C 플랫폼에서는 원유 생산을 중단했다. 이는 서울시의 7배에 해당하는 면적. 조사 결과, 인근 해역 3400㎢의 수질은 1등급에서 3등급으로 떨어졌다.
유전 사고 트위터 통해 처음 알려져
유전 가동은 중단됐지만, 사고 발생 두 달이 지난 지금까지 원유 유출은 계속되고 있다. 유전 지역 주변에 음파 탐지를 하며 원인을 찾는다지만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당연히 기름유출량 추정치도 제각각. 10만t(태안 사고 기름 유출량은 1만t)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어 7월12일에는 펑라이 유전에서 약 150㎞ 떨어진 쑤이중(綏中) 36-1 해상 유전에서 제어기 고장으로 석유가 유출돼 인근 해역 1㎢가 오염됐다.
허베이성 러팅(樂亭)현 랑워커우(浪窩口) 소재 양식장에서는 가리비가 집단 폐사했고, 양식업자들은 매일 100㎏ 이상 떠오르는 물고기를 보며 가슴을 친다. 펑라이 유전은 중국 국영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미국 코노코필립스의 자회사인 코노코필립스중국석유가 각각 51%와 49% 지분을 갖고 운영하고 있다.
물론 유전 개발에는 사고가 따르기 마련이다. 이미 원유 유출사고도 여러차례 있었다. 문제는 그 대처에 있다.
펑라이 유전의 원유 유출사고는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를 통해 처음 외부로 알려졌다. 유정 주변에 ‘이상한’ 유막이 발견됐지만 CNOOC는 쉬쉬했고, 정부 당국 역시 사고 발생 한 달이 지나서야 공식 시인했다. 여기에 당초 중국 정부 당국은 “기름이 번진 해역이 200㎡밖에 안 되는 소규모로 유출된 기름은 10t 이하”라고 했다. 당국의 발표에 의혹을 제기하는 의견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 쑤이중 유전 사고는 펑라이 유전 사고와 달리 발생 당일 즉각 사고 사실을 공개했다. 네티즌들은 “눈감아주기 식 행정으로 사고를 키운 당국이 웨이보의 위력을 경험한 뒤에야 정신차렸다”며 비아냥댔다.
그렇다면 이러한 중국의 대응은 어떻게 봐야 할까. 사고를 축소, 은폐하려고 했다면 그 이유는 뭘까. 그 속내야 정책 결정자 일부만 알겠지만, 정부 당국으로선 분명 곤혹스러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