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이 주도하는 광명시 소셜 허브 ‘생동감’
정치권에서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민심 잡기에 나서야 한다는 뒤늦은 반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올 무렵, 이미 시민 주도의 정책 소셜 허브를 구축해 지자체와 시민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정책 협업 시스템’을 본격 가동하고 있는 지역이 있다. 바로 경기도 광명시다. 광명시가 개설한 정책 소셜 허브 ‘생동감’은 지금까지 지자체에서 운영하던 ‘홈페이지’ 수준의 사이트와는 전제부터가 다르다. 이름 그대로 지역민들의 소셜네트워크를 촘촘히 연계하는, 살아 움직이는 ‘지역 소셜네트워크’다. 지역 소식을 전하는 것도,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내놓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것도 모두 시민이 주도한다. 소셜네트워크가 가진 정보의 생산력과 유통, 확산 능력을 지자체의 정책 구현과 실천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것이 ‘생동감’의 설립 취지인 만큼 이를 통해 시민과 공공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협업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광명시의 포부다. 지금까지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민과 소통하고 공론의 장을 마련하려는 시도는 많았지만 그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고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다. 그도 그럴 것이 공론의 장이 ‘의견수렴’ 통로에 그치거나 전시행정을 위한 일회성 행사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명시의 소셜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보의 생산과 유통이 단순한 ‘의견수렴’의 수준에 그치지 않고 2차, 3차의 콘텐츠로 진화한다.
단순한 예를 들자면 어떤 시민이 세 자녀 출산에 대한 질문을 던지면 시에서는 현재의 출산 장려 정책을 소개한다. 그러면 이를 본 다른 시민 중 실제로 세 자녀 출산 경험이 있는 사람이 본인이 겪고 느낀 바를 토대로 현재 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블로그에 포스팅해 그 공간이 다시 공론의 장으로 변한다. 그러는 사이 출산정책에 대한 의견들이 점차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의 다양한 SNS 매체로 확산돼 다시 광명시 정책 소셜 허브에 모인다.
이렇게 쌓인 의견들은 정책 소셜 허브를 통해 공론화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될 뿐 아니라 검증 절차를 거쳐 정책에 반영된다. 지금까지의 정책 운영 시스템은 관이 주도할 수밖에 없었지만 광명시에서 운영하는 정책 소셜 허브 ‘생동감’은 지역민이 운영하는 각자의 SNS를 시에서 도와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야말로 새로운 시민사회의 롤모델이 될 만하다.
즐거운 ‘협업’, 일상이 즐겁다

양기대 광명시장이 스마트기기로 정책 소셜 미디어인 ‘생동감’ 사이트를 보여주고 있다.
양기대 시장은 “광명시가 전국 최초로 선보이는 정책 소셜 허브는 전국 지자체 정책 수립과 유통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며 “향후 지자체가 시민들의 소셜네트워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자체의 브랜드 가치와 미래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시는 기대 만땅 도시다.’ 양기대 시장이 자신의 이름을 빗대어 만든 캐치프레이즈에는 광명시 소셜 허브를 이용하는 시민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한다. 그의 일과는 매일 아침 ‘생동감’에 접속해 시민들과 소통하고 자신의 트위터 등에 글을 올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날 올라온 이야기 중 시급한 사안으로 판단되는 것은 해당 부서에서 바로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시하고 귀담아 들어야 하는 이야기는 시민의 의견이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지 꼼꼼히 체크한다. 오늘은 ‘생동감’에서 어떤 이야기가 이슈가 될지, 궁금해하는 이는 양 시장만이 아니다. ‘생동감’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는 112명의 시민 필진과 ‘생동감’의 다양한 이야깃거리에 빠져든 광명시민 모두가 그렇다.
‘닭큐’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는 시민 필진 신우수씨는 “‘생동감’ 덕에 가족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전에는 미처 몰랐던 주변 환경과 이웃들에 관한 이야기를 새록새록 알게 되면서 광명시에도 가족들과 함께할 수 있는 일이 참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생동감’은 딱딱한 정책 이야기만 하는 곳이 아니다. 가족 행사나 바자,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의 정보까지 함께하면 좋을 다양한 이야기가 공존한다. 거창하지 않아도 내 이웃의 크고 작은 일들을 공유하는 기쁨, 그것이 바로 ‘생동감’을 움직이는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