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 정상에서 본 포구
“섬의 자랑이라고는 어른 다리통만한 흑구렁이가 제일이여…새벽 구렁이 우는 소리가 안방까지 들리면 소름 끼치도록 무서웠제….”
마을 이장님의 말씀에 흠칫 놀라게 된다. 까치가 요란하게 짖는 날은 구렁이 우는 소리가 들린다. 까치와 구렁이는 상극. 장마 끝 몸통을 말리느라 길가까지 나와 있던 구렁이들도 까치가 세게 짖으면 스물 스물 사라진다고 한다.
그때쯤이면 마을 사람들이 담배 부스러기와 묵은 간장을 집 주변에 뿌려 구렁이를 멀리 내쳤다고 한다. 어른 손바닥 크기의 작디작은 섬에 성인 다리통만한 20여 마리의 먹구렁이, 흑구렁이가 휘젓고 다녔다는 말에 놀라지 않을 사람이 있겠는가.
얼마나 많았는지 종래는 군수를 찾아가 “구렁이 어떻게 좀 해달라”고 집단 민원까지 냈다고 한다. 이장님 말씀에 여름 열기가 싹 가신다. 그는 외지인에게는 ‘주 선생 민박’으로 알려진 주만성(73) 할아버지다. 여기 섬 출신으로 평생을 초등학교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쳐왔다. 인천 어디 작은 초등학교에서 교장으로 정년퇴임한 이후 수구초심, 귀거래사해 고향 섬에서 민박집을 운영하고 있다.
충남 태안에 딸려 있는 작은 섬 가의도. 한때는 서산시에 속해 있다가 지금은 태안군으로 들어왔다. 얼마나 작은 섬인지 섬의 형상을 파악하는 데는 한 시간이면 족하다. 휘 한 바퀴 도는 데 달랑 반 시간밖에 안 걸린다. 혹자는 섬이 아름답기가 예술 수준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사람들의 낭만적 예찬일 뿐이다. 동서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섬은 너무 작고 나지막하다. 쓰나미라도 몰아치면 흔적조차 없이 사라질 것 같은 극히 가벼운 존재감이다. 그저 서해 앞바다에 나 홀로 외로이 있을 뿐이다.
“구렁이 좀 어떻게 해달라”

보리 쭉정이를 거르는 할머니.
예전에는 안흥항에서 연결됐는데 안흥 앞바다 작은 섬 신진도와 안흥항이 연륙교로 연결되는 바람에 지금은 신진도의 안흥신항이 선착장이 됐다. 중국과 가깝다보니 오래전 중국의 가의라는 사람이 이 섬에 피신해 살아서 가의도라고 했다는 설이 있다. 신진도에서 볼 때 서쪽 부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가의섬이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신기하게도 손바닥 크기의 작은 섬이면서 북항과 남항 두 개의 선착장을 갖고 있다. 여름에는 태풍의 영향으로 인해 북항에 접안하고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항에 접안한다고 한다.
가의도는 사람이 사는 섬, 그러니까 유인도다. 그러나 생산물이라고는 해산물을 제외하고는 콩, 마늘, 양파가 전부. 쌀은 물론 배추 등 거의 모든 식재료와 식품을 육지에서 가져와야 한다. 물까지 귀해 예전에는 육지에서 길어 먹었다. 지금은 해양 심층수가 개발돼 물 시름은 그래도 덜었다. 문명의 이기는 작은 섬의 삶에도 풍요와 편리를 가져왔지만 이를 누릴 사람은 많지 않다. 70대의 주민은 한 해가 다르게 하나둘 저세상으로 떠나고 있다. 한때 마흔 가구가 넘었으나 지금은 열 집이 안 된다. 언덕 위의 분교는 폐교 된 지 20년이 넘어 지금은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형체가 사그라졌다.
마늘이 썩지 않는 섬

연락선이 하루 두 번 왔다 간다.
가의도는 썩지 않은 섬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마늘이나 양파, 고추는 서너 해가 지나도 부패하지 않는다고 한다. 원, 세상에 썩지 않는 생물이 있다니. 말도 안 되는 소리 같지만 가의도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은 실제로 그렇다고 한다.
마을 노인들의 자신감 넘치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섬이 작고 나지막하다보니 태풍이 몰아치면 거센 파도로 생긴 물보라가 섬 전체를 흠뻑 젖게 한다고 한다. 수백 년을 바닷물에 적셔온 섬, 그래서 땅 전체에 미네랄과 소금기가 배었다. 이 땅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작물은 태생적으로 소금기를 함유해 썩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한마디로 자동 염장된 농산물이 생산된다는 의미다. 그러나 썩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드러내놓고 말하기는 어려운 분위기였다.
그마나 손바닥만한 밭의 마늘 수확도 이제는 할 사람이 없다. 30여 명의 섬 주민 대부분은 노동력을 거의 잃은 토박이 노인들. 마늘 수확 때에는 태안 군청에서 인부들을 통통배로 모셔와 한꺼번에 수확해 간다고 한다. 그네들의 일당은 여성 5만 원, 남성 7만 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