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보도한 이런 내용의 기사 탓에 한국 맥주는 국제적인 망신을 당했다. 한국 맥주가 맛없는 데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무엇보다 맥주 맛 하나에 몰두하는 장인(匠人)의 부재가 근본적 이유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최근 기자와 인터뷰한 시서론(cicerone·와인 전문가인 ‘소믈리에’처럼 맥주만 전문으로 평가하는 직업) 랍 셀먼 씨는 “오감을 열고 맥주의 맛과 정신을 받아들여야 하는데, 한국에는 아직 이런 문화가 자리 잡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럽에는 맥주 하나로 수만 개의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두 맥주 명가(名家)가 있다. 각기 덴마크와 네덜란드에서 맥주에 모든 것을 걸어온 유럽 맥주업계의 라이벌 칼스버그와 하이네켄이다. 녹색 병과 로고 중앙에 있는 붉은 왕관과 별이 비슷한 인상을 주지만 양사가 맥주를 통해 추구하는 정신은 전혀 다르다.
두 맥주 회사가 세계경제와 문화, 스포츠계에 미치는 영향은 막강하다. “칼스버그가 맥주가격을 인상하면 세계 곡물시장에 파동이 올 만큼 파급력이 크다”는 경제 분석이 나올 정도다. 2008년 세계시장 맥주 점유율은 하이네켄이 3위, 칼스버그가 4위였다. 하이네켄은 영국 맥주산업 전문 조사기관 ‘플라토 로직’ 조사에서도 유럽인이 가장 즐겨 마시는 맥주 1위를 20년 넘게 지켜왔다. 칼스버그는 동유럽 및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한 아시아 지역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모 대형 마트의 양사 맥주 판매실적을 확인한 결과 국내 매출도 꾸준히 늘고 있다.
취재 과정에서 양사는 은근한 신경전을 벌였다. 칼스버그 측은 “서로를 비교하지 않기로 비공식 신사협정을 맺었다”고 했고, 하이네켄 측은 “칼스버그와 비교되기를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덴마크 왕실 공식 맥주 칼스버스
칼스버그는 ‘인어공주’의 안데르센과 더불어 덴마크를 대표하는 하나의 역사다. 칼스버그의 탄생도 덴마크 왕실 역사와 인연이 깊다. 1840년대 덴마크 왕 프레드릭 7세는 양조가들을 불러 “덴마크와 왕실을 대표할 수 있는 세계적인 걸작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왕실을 대표하는 양조장의 아들이었던 제이콥 크리스찬 야곱슨(1811~1887)은 1847년 다섯 살 난 아들 칼 야곱슨의 ‘칼(Carl)’과 양조장이 있던 ‘언덕(덴마크어로 Berg)’에서 이름을 딴 ‘칼스버그’ 맥주를 만들어 왕실에 헌정했다. 당시 그는 앞길이 창창한 24세의 청년이었다.
제이콥 크리스찬 야곱슨은 “최고의 맥주를 만들려면 당장의 이익을 좇는 것이 아니라 완벽에 가까운 제조과정 개발을 궁극의 목적으로 여겨야 한다. 그래야만 그 양조장과 제품이 본보기로 부각될 수 있고, 이를 근본으로 이 나라 맥주 양조업계를 높고 영예로운 수준으로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말은 지금껏 칼스버그를 관통하는 경영철학으로 자리 잡았다. 1904년 덴마크 왕실은 마침내 칼스버그를 덴마크 왕실의 공식 맥주로 선정했다.
좋은 맥주를 만들겠다는 신념은 부자(父子)를 갈라서게 만들 정도로 강렬했다. 1867년 칼스버그 양조장에 큰불이 났다. 제이콥 크리스찬 야곱슨은 화재를 계기로 양조장 현대화에 나섰다. 냉장 시스템을 설치해 품질을 끌어올렸고 이는 판매 흑자로 이어졌다.
그 무렵 아들 칼 야곱슨이 외국에서 양조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 자신만의 맥주(‘新칼스버그’라고 이름 붙였다)를 만들기 시작했다. 맥주는 흔히 에일(ale)로 불리는 상면발효(효모가 상온에서 발효하면서 발효액 표면에 뜨는 방식) 맥주와 라거(lager)라 일컫는 하면발효(발효 온도를 저온에 맞춰 효모가 발효액 바닥으로 가라앉는 방식) 맥주로 나뉜다. 아버지 제이콥은 두 가지를 함께 생산하고자 했다. 하지만 칼은 모든 생산라인을 ‘필젠 라거’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아버지 양조장의 양조 과정을 절반으로 줄이고 생산량을 늘리자 그의 ‘신칼스버그’는 10년 만에 칼스버그의 판매실적을 능가했다.
제이콥은 칼이 아버지가 만든 맥주는 등한시하고 자신이 만든 맥주의 생산량만 늘리자 못마땅해 했다. 그는 아들에게 법적으로 생산량을 제한하고 맥주 브랜드를 바꾸라고 강요했다. 변호사를 고용해 양조주의 이름을 바꾸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부자간 송사(訟事)는 6년여를 끌다 가족의 중재로 끝났다고 한다. 부자는 1886년 10월 화해했고 1906년 칼스버그와 신칼스버그는 칼스버그 양조장으로 합병하는 절차를 마쳤다.
칼 야곱슨은 예술과 건축에 조예가 깊어 유명한 그림과 조각, 골동품을 수집해 별채에 보관했다. 이 별채가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칼스버그 박물관이다. 이곳을 찾는 관람객은 연 15만 명을 넘는다. 덴마크의 상징인 인어공주 동상도 1913년 칼 야곱슨이 기증한 것이다. 1964년 어느 날 밤 인어상의 머리가 잘려나간 사건이 있었으나 지금은 복원돼 관광객을 맞고 있다. 그는 이 밖에도 자신이 소장해온 로댕, 모네, 드가, 밀레의 수많은 작품을 박물관에 내놨다. 예술성이 넘쳐났던 칼은 1914년 세상을 떠나면서 이런 유언을 했다고 전해진다.
“많은 사람이 벽난로에 땔감이 없어 고생하니 내 관에는 꽃을 얹지 마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