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독자 기고

“조선족 부모 코리안드림 속 아이들은 민족 잊어간다”

한글학교 운영하는 중국동포 토로

  • 한직능│중국 지린시세종한글학교 대표 hanzhineng@hanmail.net

“조선족 부모 코리안드림 속 아이들은 민족 잊어간다”

1/2
  • 중국 지린(吉林)시에 사는 동포 독자가 ‘신동아’에 글을 보내왔다. 현지에서 한글학교를 운영하는 그는 조선족이 한국어 교육을 외면하는 사이, 정작 중국인들은 한국 배우기에 열심이라며 우려한다. 글로벌 시대에 민족이란 무엇이며, 그 미래는 어떻게 그려나가야 할까. 이는 비단 중국 동포만의 고민은 아닐 것이다.
“조선족 부모 코리안드림 속 아이들은 민족 잊어간다”

지린시 세종한글학교 학생들. 조선족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기 위해 설립됐지만 학생의 95%가 한족 등 주류민족이다.

나는 중국 지린시(市)에 사는 조선족이다. 지린은 옌볜자치주를 제외하고 한국 동포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이다. 중국에서도 100대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네이멍구에서 태어나고 자란 나는 쑹화강이 좋아, 용담산성(龍潭山城·고구려의 산성)이 좋아 일생을 이 고장에 다 놓은 지 어언간 30년이 지났다.

봄이 오면 매번 용담산 정상에 올라 지린을 한눈에 안아본다. 용담산은 용, 즉 제왕이 태어나는 곳이라 할 수 있고, 백두산 천지에서부터 유유히 흐르는 쑹화강의 물길은 S자 모양으로 지린을 동서로 갈라놓아 마치 청룡이 북으로 날아가는 듯하다. 겨울에는 성에꽃이 나뭇가지마다 아롱지는데, 그 미묘함과 아름다움은 어디 비교할 데가 없다. 600년 험난한 역사에서도 이 고장은 항시 풍조우순(風調雨順)하였으니 어찌 하늘의 신조가 아니라 할 수 있으랴.

한글학교에 조선족이 없다

나는 대학에서 정년퇴직한 후 지린시세종한글학교를 세워 한글학교 운영에 전념해왔다. 이 학교는 2011년과 2012년 지린시교육국 평가에서 우수 민영학교, 우수 교장단위로 선정됐다. 또 작은 어종(語種)으로는 유일하게 민영학교이사회의 이사학교가 됐다. 영어 같은 큰 어종 학교가 매년 우수학교, 우수교장으로 독판치는 가운데 거둔 전대미문의 성과라 하겠다.

하지만 내 마음은 암울하기만 하다. 주류 민족의 틈바구니에 끼어 간신히 연명하는 학교 모습이나, 번연히 조선민족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보다는 주류 민족이 한국어를 더 열심히 배우는 현실 앞에서 나는 늘 머리를 조아리며 조선족 학생을 하나라도 더 모으기 위해 애쓰고 있다. 구걸이나 다름없다. 가슴에는 숯덩이가 이글거린다.



학교에는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첫째는 배우려는 학생, 둘째는 가르치는 선생, 셋째는 오고가기 편리한 학교터다. 작은 어종 학교로서는 이 세 요소를 모두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세계 경제위기 이후 중국에서도 한국이나 일본으로 나가려는 이가 현저하게 줄면서 학생 모집이 매우 어려워졌다. 한때 지린에 한국어학교가 무려 24개나 됐는데, 지금은 달랑 서너 개만 남았다. 그나마 정규적으로 운영되는 곳은 세종한글학교가 유일하다.

학교터 확보도 쉽지 않다. 나는 부자가 아니기에 학교 소유의 건물을 마련하지 못했다. 그래서 집세다, 세금이다, 관계비다 하는 바람에 포기하고 싶은 때가 많다. 친구들도 왜 학교 운영을 고집하는지 모르겠다며 허파에 바람 들어갔느냐고들 한다. 살아남기 위해 나름대로 여러모로 지원대책을 강구해봤다. 지린시교육국이나 민족사무위원회에 가서 지원을 요청했으나 비학력 민영학교에 대한 예산은 아예 없다며 거절당했다. 한국 정부의 여러 부서에도 지원 신청을 했으나, 그들은 교육지원금은 중국 각 대학교나 국영학교에만 해당하는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민영’이란 딱지 때문에 졸지에 고립무원에 빠져버렸다.

한편 생각해보니 아차, 나의 잘못이라고 느꼈다. 누구의 도움을 바라고 이 학교를 운영하는 것이 아닌데, 왜 바람을 가졌는지 후회스러웠다. 독립운동가들이, 항일투사들이 무언가를 바라고 일제와 피 흘리며 싸웠을까. 고립무원이라 해도 내가 최선을 다하면 된다고 다짐했다.

해마다 뛰는 임차료에 학교는 지금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영어학교나 중소학교 방과후교육은 시간당 30~50위안(약 5500~9000원)의 학비를 받아도 학부모들이 서슴지 않고 돈을 내지만, 한국어나 일어는 시간당 학비가 10위안 이상만 되어도 학생들이 달아난다. 다른 지역은 모르겠고, 지린의 풍토는 이미 이렇게 돼버렸다.

세종한글학교의 학생은 95%가 한족(漢族) 위주의 타민족이다. 이들은 일단 배우기로 맘먹으면 열심히 배운다. 배우는 목적도 다양하다. 유학, 취업 준비, 국제결혼, 한국 드라마 보기, 그저 한국어가 좋아서 등등. 좀 배우고 나면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라고 머리를 조아리며 인사말들을 하는데, 참으로 인상적이고 우리말이 이렇게도 멋지게 타민족 사이에서 인기를 누리는 데 대해 긍지도 느끼게 된다. 나머지 5%의 조선족도 열심히 배운다. 학력학교에서는 단기교육이 있을 수 없는 일이라서, 세종한글학교 같은 비학력학교 덕분에 배울 길이 생겼다고 기뻐한다.

방치된 아이들

하지만 정작 조선족 학생은 좀처럼 늘지 않는다. 아무리 홍보를 하고, 조선족을 위한 주말 한국어교실을 만들어 봉사하겠다고 해도 배우려는 학생이 너무 적다. 조선족 식당, 회사 등을 전전하며 전단지를 수없이 뿌려도 함흥차사로 그림자조차 보이지 않는다. 왜 그럴까. 조선족들 중에는 번연히 민족언어와 문자, 풍속습관도 모르는 부모 세대나 젊은 학생이 많은데 왜 민족언어를 배우려 하지 않는지 나는 정말 고민이 많다.

1/2
한직능│중국 지린시세종한글학교 대표 hanzhineng@hanmail.net
목록 닫기

“조선족 부모 코리안드림 속 아이들은 민족 잊어간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