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씨는 선뜻 수술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몸 안에 이물질을 집어넣는다는 게 영 꺼림칙했다. 수술을 망설이는 동안 무릎 상태는 걸을 수도 없을 만큼 악화됐다. 결국 수술을 택한 것은 의사로부터 “60~70대의 경우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잘 관리하면 평생 재수술을 하지 않고 지낼 수 있다”는 설명을 듣고 난 뒤였다. 수술 후 재활치료를 꾸준히 받은 그는 요즘 통증 없이 수영과 산책을 자유롭게 할 정도로 일상생활을 즐기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손상되거나 뼈와 인대 등에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척추를 비롯해 발목, 손목 등 관절 부위 어디에나 발생하지만 가장 흔한 곳은 무릎이다. 무릎 관절은 체중을 지탱하는 것은 물론 하루에도 수십, 수백 차례 굽혔다 펴기를 반복하다보니 마모되기 쉽다. 쪼그려 앉은 자세로 일하거나 양반다리로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긴 한국인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강해 퇴행성 관절염 발병률이 높다.
퇴행성 관절염은 증세가 심하지 않으면 약물이나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연골이 심하게 닳아 일상생활이 어려울 만큼 통증이 심하거나 ‘O’자 다리로 변형된 말기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은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적정 수술 시점은 65세 이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1년 60대 이상의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7만6000여 건으로 2010년 비해 150% 이상 증가했다. 이런 통계는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수술 후 환자들이 일상생활의 불편함 없이 잘 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인공관절 수술은 상한 관절을 깎아서 제거하는 것이므로 수술 결과가 좋지 않았을 때 다음 단계의 치료방법이 없어 완전히 재수술을 받아야 할 가능성도 있다. 재수술의 경우 최초 수술보다 결과가 나쁠 수 있고 고령에 더 큰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부담도 따른다. 그러므로 수술 전에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자신의 상태나 나이 등을 고려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을 찾아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환자의 나이, 활동량, 생활 습관, 성인병 여부 등 여러 가지다.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공관절 수술을 받고 나서 평균 15년 이후 20~30%만 재수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전처럼 수술해야 하는 나이에 대한 고민은 많이 줄었다. 하지만 환자가 젊어 활동량이 많거나 체중이 많이 나가면 인공관절이 닳는 속도도 상대적으로 빨라져 인공관절의 수명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런 경우에는 재수술을 해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젊은 환자에게는 증상이 심해도 인공관절 수술을 쉽게 권하지 못하는 것도 이런 사정 때문이다.
인공관절 수술을 권하는 적절한 나이는 대개 65세 이후다. 50대 이전에는 수술하지 않는 것이 좋고 50~65세 환자는 상황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 50대 이전에는 대개 무릎 내시경술이나 줄기세포 치료와 같이 무릎 관절을 보조하고 살리는 치료를 권장한다.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