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후보가 주연급이라면, 총선과 대선이 함께 치러진 지난 한 해를 누구보다 뜨겁게 보낸 조연으로 조동원(56) 전 새누리당 홍보기획본부장을 빼놓을 수 없다. 정치권에서 두고두고 맛볼 수 있는 영욕을 딱 1년 만에 모두 경험한 인물이다. 총선과 대선 승리를 가져온 ‘빨간색 새누리당’을 만든 수훈갑이라는 칭송도 받았지만, TV 토론에서 “저는 모르죠”라고 했다가 네티즌의 융단폭격을 받았다.
그가 대선 이후 정치 무대에서 홀연히 내려온 지 반 년이 지났다. 그동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지냈을까. 취임 100일을 넘긴 박근혜 대통령과 새 정부에 대해 홍보전문가로서 어떤 평가를 내릴까. 설득과 고사(固辭)를 반복한 끝에 어렵사리 6월 12일 그와 마주 앉았다. 빨간색 바지에 빨간색 체크무늬 남방을 입은 그와 빨간 서랍장을 옆에 두고 빨간 테이블에 앉아 인터뷰를 했다. 온통 빨간 소품으로 둘러싸인 그에게 문득 ‘빨간’이란 순우리말 아호를 선물하고 싶었다. ‘빨간 조동원’.
▼ 옷도, 주변 소품도 빨강 일색이네요.
“원래 빨간색을 좋아했어요. 빨간색은 열정, 헌신, 사랑을 뜻하죠. 제 안에 열정이 넘치나봐요, 하하.”
“미투 전략은 성공 못해”
▼ 새누리당을 온통 빨갛게 물들인 게 평소 취향과 무관치 않은 셈이군요.
“고정관념을 깨뜨리려면 망치로 깨뜨리는 것처럼 파격적이어야 해요. 조금씩 바꿔서는 고정관념이 좀처럼 바뀌지 않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빨간색은 ‘빨갱이’의 어감처럼 오랫동안 이데올로기의 상징으로 굳어 있었죠. 그런데 2002년 월드컵 때는 어땠습니까. 국민 모두가 빨간색 티셔츠를 입고 광장에 모여 흥겹게 열정을 불사르지 않았나요. 정치권에서만 빨간색을 금기시했을 뿐, 국민은 다르게 받아들였던 거죠. 새누리당이 상징색을 빨강으로 바꾸면서 정치권과 국민의 인식 간극을 메우고 빨간색의 이미지를 열정과 희망의 이미지로 통합한 거죠. 결과도 좋았고요.”
▼ 민주당에서는 과거 한나라당 상징색인 파란색으로 당의 색깔을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인 모양입니다.
“미투(me too) 전략은 성공하지 못하죠. 파란색은 이성적인 색깔이긴 하지만 차가운 느낌을 주잖아요.”
▼ 6월 4일로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 100일이 지났습니다. 지난 100일을 어떻게 지켜봤습니까.
“박 대통령은 상식의 정치를 하고 계시죠. 그래서 새 정부 국정운영이 과거 정부에 비해 한결 편안하고 예측 가능해졌죠.”
▼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불통’ 논란도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말을 아끼는 것은 말을 앞세우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주려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과거 어느 대통령처럼 말 한마디에 민심이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잖아요. 박 대통령은 정제되고 절제된 소통을 하는 분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을 한동안 보좌한 터라 후한 평가를 내놓으리라곤 예상했지만, 그의 한 마디 한 마디는 거의 ‘박(朴)비어천가’ 수준이었다. 전직 여당 홍보기획본부장이 아니라 현직 청와대 대변인과 마주한 느낌이었다.
▼ 너무 긍정적으로만 평가하는 것 아닌가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보는 그대로, 느낀 그대로 얘기하는 겁니다.”
▼ 첫 조각에서 관료 출신을 지나치게 중용했다는 지적도 받았습니다.
“5년 단임의 대통령에게 정권 출범 1년차는 임기 전체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해입니다. 박 대통령이 초기 내각에 관료 출신을 많이 임명한 것은 업무 파악이 필요 없을 만큼 부처에 대한 이해가 높고, 관료를 움직여 성과를 낼 수 있는 ‘일하는 장관’을 골랐기 때문이에요. 관료 중용 인사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보는 게 옳습니다. 정치인 장관도 나름의 장점은 있죠. 하지만 정치인의 속성상 정치행위를 앞세우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어요. 제가 정치나 행정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은 모르지만, 역대 정부에 비해 초기 국정운영이 안정된 것은 인사가 잘됐기 때문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