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최문순(59) 강원도지사는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랄 지경이다. 도정(道政) 챙기랴, 테스트 이벤트 공사 현장 살피랴, 여기에 전국체육대회(10월 16일~22일)까지 겹쳤다.
최 지사는 올해 ‘중앙일보’와 ‘이코노미스트’가 선정한 ‘2015 대한민국 경제리더대상’ 가치경영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10월 7일 수상식에 참석하러 서울에 온 최 지사를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몸은 잠시 서울에 와 있지만, 그의 신경은 온통 공사 현장에 가 있다.
“공사를 너무 늦게 시작해 많이 쫓겨요. 평창올림픽까지는 2년 반이 채 안 남았는데, 실제로는 정선 알파인 경기장에서 테스트 이벤트가 열리는 내년 2월부터 시작입니다. 겨울이 빨리 오는 지역이라 12월까지는 끝내야 할 상황인데, 벌써 서리가 내렸어요. 공정률은 아직 40% 정도예요. 어젯밤에도 다녀왔는데, 우리나라에서 처음 하는 공사인 데다 급경사의 난공사여서 새벽 2시까지 해요.”
▼ 대회 때까지 가능하겠습니까.
“엊그제 다시 점검했는데 어떻게든지 기간 내에 끝내려고 합니다. 못하면 큰 문제가 생겨요. 미국 CNN에서 중계할 예정이고, 전 세계 스포츠 기자가 다 옵니다. 세계 유명 선수들도 참가하고요. (FIS알파인) 월드컵 경기가 유럽에서는 굉장히 인기가 많답니다. 올림픽이 시작됐다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시설 사후 활용 걱정”
▼ 공정이 늦어진 이유는 뭔가요.
“복합적인데요. 크게 보면 분산개최론, 과잉경비론, 환경파괴론이라는 세 가지 논란 때문이죠. 경기장 위치를 빨리 결정해 인허가 절차를 서둘렀어야 하는데, 중간에 분산개최론이 불거지는 바람에 늦어졌어요. 과잉경비론은 규모가 가장 큰 강릉 스피드스케이트장의 발목을 잡았죠. 규모가 너무 크다고 설계까지 다 끝난 것을 다시 변경하면서 9개월이나 지연된 겁니다.
지금 짓는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환경파괴론 때문에 공사가 중단된 적도 있습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자꾸 예상치 못한 곳에 설계변경을 요청했어요. 그게 현장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엉뚱한 곳을 벌목하면서 문제가 됐습니다. 훨씬 여유 있게 할 수도 있었는데, 이런 문제들 때문에 늦어지면서 막판까지 몰린 거죠.”
▼ 경기장 사후 활용 계획은 다 세웠나요.
“아직요. 주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용역을 줘서 연구해요. 우선 급한 경기장을 짓고, 그 시설에 맞춰 사후 활용을 하려다보니 아직 방법을 다 찾지는 못했습니다.
몇 가지 낙관적인 부분은 있어요.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 등이 열리는 슬라이딩센터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시설이라 국가대표 훈련시설로 필요할 뿐 아니라 관광객 체험용으로도 사후 활용에 문제가 없을 것 같아요. 조그만 경기장도 설계할 때부터 핵심 시설만 남겨놓고 상당부분 헐어버릴 수 있게 해서 별문제가 없을 겁니다.
문제는 규모가 큰 강릉 스피드스케이트장과 개·폐회식장입니다. 나중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커 보여요. 엊그제 개·폐회식장 1차 설계도를 보니 지붕 없이 토목공사만 해서 의자를 배치했다가 철거하는 걸로 나왔던데, 벌써 문화예술계로부터 비판이 나옵니다.”
▼ 강릉 하키센터 원주 이전 문제는 결론이 났습니까.
“원주에서 아이스하키를 포기하는 대신, 2018년 올림픽이 끝나면 강릉의 하키센터를 이축해주기로 약속했습니다. 그런데 이축 비용이 600억 원이나 듭니다. 아이스하키가 원주에서 크게 인기 있는 스포츠도 아닌데 과연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느냐, 새로 짓는 게 낫지 않으냐는 등 아직 확실하게 정리되지 못했습니다.”
▼ 골칫거리인 알펜시아의 분양 상황은 어떻습니까.
“여전히 어렵긴 한데, 상황이 조금 호전돼 지난해 일부(알펜시아 리조트·호텔) 흑자가 났습니다. 분양이 안 돼 걱정거리인 ‘에스테이트’라는 고급 빌라도 이제 절반쯤 팔렸습니다. 한 채에 20억~40억 원 하는 고가이다보니 분양이 잘 안 되는 거죠. 지금도 통째로 사겠다는 사람은 있습니다. 현재 알펜시아 부채가 1조 원 정도입니다. 그걸 절반 가격에 사겠다는 건데, 우리는 그렇게는 못 팔겠다는 거죠.
인천공항에서 강릉까지 고속철도가 뚫리면 서울 용산에서 알펜시아까지 40~50분 거리로 단축됩니다. 그러면 관광객도 늘고 가치도 더 올라가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