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는 도민들의 열렬한 지지에 힘입어 2011년 7월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
물론 강원도도 이미 경기장 사후 활용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강원도에 따르면 현재 관리·운영 주체가 결정된 시설이 7개, 협의 중인 시설이 1개, 그리고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는 곳이 4개다. 한편 강원도는 7월 공무원과 유관기관, 체육계, 전문가 등 44명으로 구성된 사후활용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시설별 사후활용 계획 적정성 검토에도 나섰다.
하지만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사후 관리 방안 마련까지는 “아직 멀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포아이스아레나는 강릉시가 관리를 맡아 실내수영장 등 시민체육시설과 테마형 엔터테인먼트 플라자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기업이 참여해 어떤 시설을 마련할 것인지 정해진 바 없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센터는 태릉을 대체하는 선수 훈련시설로 활용할 계획인데, 70% 이상의 선수가 서울 및 수도권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을 강릉까지 오도록 설득하는 것이 관건이다.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는 한국체육대학과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국내외 선수 훈련장으로 활용하며 동시에 국내외 경기를 유치하겠다는 복안이지만 과연 계획대로 될지도 의문이고, 또 이것만으로 적자를 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최초의 슬라이딩센터인 나가노의 ‘스파이럴’도 활용도가 낮아 골칫거리가 된 지 오래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슬라이딩센터 운영 적자가 연간 18억 원쯤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추가 비용’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가 관건인 곳들도 있다. 당초 계획대로 강릉하키센터를 원주로 이전한다면, 그 비용으로 600억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환경단체의 반발을 의식해 대회 이후 전체 면적의 55%를 복원하기로 합의했는데, 그 비용 또한 어마어마하다. 강원도 관계자는 “나무를 다시 옮겨다 심고 일부는 양묘(養苗)하는 데 약 1000억 원의 예산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며 한숨을 쉬었다.
한편 비드파일(유치계획서)에는 없던 개·폐회식장의 사후 활용에 대해서는, 4만 좌석 중 1만5000석만 남기고 나머지는 철거하고 시설 일부에 올림픽 기념관을 마련한다는 계획만 나온 상태다. 인구가 5만 명도 안 되는 평창이 이 시설물에 콘서트 등 대형 이벤트를 유치할 수 있을지 회의 어린 시각을 보내는 이도 많다. 문체부 관계자는 “적자가 뻔히 예상되기 때문에 시설물들을 민간에 매각하는 것도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2월 염동열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산과 사후활용방안 토론회’에서 이명식 동국대 교수(건축정책학회 부회장)는 2002년 한일월드컵 경기장들의 사후 활용 실태 분석을 통해 흑자를 내기 위한 요건으로 △치밀한 사전 계획 △교통 접근성 개선 △수익성 높은 임대 사업 △다양한 경기 및 공연 유치 △지역민들과의 유대 형성 등을 꼽았다. 이 기준에 비춰본다면 평창의 갈 길은 아직 먼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의 알프스’로 남기 위해
“동계올림픽 유치 당시에는 국민적 성원이 대단했는데, 지금은 돈 먹는 하마 취급을 받는 기분이다” “우리나라 경제력이 세계 10위 안팎인데, 적자가 나더라도 겨울스포츠 시설을 가질 만하지 않은가” “2017년 12월 강릉까지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인천국제공항에서 평창까지 2시간도 걸리지 않기 때문에 관광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평창과 강릉에서 만난 동계올림픽 관계자들은 올림픽에 대한 기대와 최근 국내 여론에 대한 서운함을 동시에 갖고 있었다. 평창은 산재한 난관을 뚫고 올림픽 이후에도 ‘아시아의 알프스’로 세계인의 기억 속에 남을 수 있을까. 올림픽 개최까지 남은 2년여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