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르포

‘한국의 히로시마’ 경남 합천

원폭 피해자 집단 거주지… 대물림 원폭 고통에 가난, 차별 삼중고

  • 송화선│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pring@donga.com│

‘한국의 히로시마’ 경남 합천

2/7
‘한국의 히로시마’

‘한국의 히로시마’ 경남 합천

한국원폭2세환우회 한정순 회장.

한국원폭2세환우회(이하 환우회) 한정순(52) 회장과 진경숙(44) 사무국장의 고향도 합천이다. 환우회는 피폭 부모를 둔 2세 가운데 각종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이 만든 모임. 한 회장의 부모와 진 사무국장의 어머니는 각각 합천에서 히로시마로 이주했다가 원폭 피해를 당했다. 한 회장은 “엄마가 일본에서 공장을 다녔는데 폭탄이 터지면서 집이 다 무너져 깔려 죽을 뻔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생계형 도일이었다.

1970년대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한국교회여성연합회 등 시민단체들이 지역별로 피폭자들의 도일 이유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와 전라도 출신자의 절반 이상은 징용 징병 등 일제의 강제징집을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경상도 출신 가운데는 ‘생계 때문’이라고 답한 이가 많았다. 특히 합천의 경우 이렇게 응답한 비율이 95%에 달했다.

일제강점기인 1931년판 ‘경상남도 통계연보’를 보면 왜 합천에 유독 생계형 도일자가 많았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당시 합천에 사는 조선인의 84.6%는 농사를 지었다. 농가 1호당 평균경작 면적은 2670평(약 8826㎡)으로, 같은 시기 조선의 평균치 4410평(약 1만4578㎡)과 비교해 턱없이 작았다. 일제 말기 본격적인 농작물 수탈이 시작됐을 때 영세농은 버티기 어려웠을 게 분명하다. 벼랑 끝에 몰린 합천 농민들이 찾은 곳이 히로시마였다. 일본의 아시아 침략 거점이던 그곳엔 번성한 군수산업 덕에 일자리가 많았다. 이내 조선인, 그중에서도 합천 주민들의 집단 거주촌이 생겼다.

진 사무국장의 어머니 역시 부모 형제가 모여 살다 한꺼번에 피해를 보았다. 아버지는 그 자리에서 돌아가셨고, 큰언니 역시 시체도 찾지 못했다. 간신히 살아남은 어머니가 남은 자식들을 데리고 합천으로 돌아와 홀로 키웠다.



“그래서 속사정 아는 사람들은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불러요. 마치 이 땅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것처럼, 마을 어디를 가든 피폭에 얽힌 사연을 쉽게 만날 수 있거든요.”

진 사무국장은 한 회장과 함께 그중 한 가정으로 기자를 안내했다.

“저거 두고 어떻게 눈 감을꼬…”

합천군 초계면 박달순(84)씨 댁. 나직한 슬레이트지붕 집 앞에 다다르자 지팡이를 짚은 중늙은이 한 명이 대문으로 터벅터벅 들어가는 게 보였다.

“문택주씨, 문택주씨!”

한 회장이 차창을 내리고 목청껏 부르는데, 꽤 가까운 거리임에도 걷는 속도에 변화가 없다. 진 사무국장이 등 뒤까지 다가가 ‘문택주씨!’ 소리치고서야 비로소 사내가 걸음을 멈췄다. “누군교?” 돌아보는 시선이 텅 비어 있다.

택주(59)씨는 이 집 큰아들이다. 정신지체에 시각장애, 청각장애까지 가졌다. 나이 들면서 조금씩 다리 근육이 뻣뻣해져 이젠 걸음마저 불편하다. 왜 몸 곳곳이 말썽을 부리는지는 병원에서도 알지 못한다. 9년 전 폐암으로 세상을 떠난 택주씨 아버지는 젊은 시절 히로시마로 징용 갔다 만신창이가 된 몸으로 돌아왔다.

“문둥병 환자가 돼서 안 왔습니까. 몸이 헌 데가 많아 보지도 못해요. 물이 찔긋찔긋 나고 다리가 오그라들고…. 내가 거짓말은 안 하니요.”

박씨는 원자폭탄 열기에 전신화상을 입어 진물이 줄줄 흐르던 남편을 ‘문둥병 환자’라고 했다. 듣는 사람이 차마 못 믿을 것 같은지 몇 번이나 ‘내가 거짓말은 안 하니요’를 덧붙인다. ‘그 꼴을 하고’ 일본서 돌아온 날부터 남편은 한 번도 제 힘으로 돈을 벌지 못했다.

“잘 걷지도 못하고 눈도 실실 안 뵈는데 뭘 했겠능교.”

2/7
송화선│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pring@donga.com│
목록 닫기

‘한국의 히로시마’ 경남 합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