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얍’ 운영 통해 농식품 인재 양성
- 지난해 대학 졸업 및 예정자 215명 취업
- ‘에이토랑’, 외식 창업 실전 경험 제공
- ‘에이티움’, 화훼분야 청년창업 지원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각계각층에서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지만, 정작 ‘고용 절벽’에 처한 청년층의 우려는 깊어만 간다. 이런 가운데 청년취·창업 활성화에 소매를 걷어붙인 곳이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다.
농·어업인 소득 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발전을 위해 1967년 ‘농어촌개발공사’로 설립된 aT는 2012년 식품산업 육성 기능을 추가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 사명을 변경한 공기업. 주 업무는 국내 농수산물의 해외 수출과 유통 개선, 수급 및 가격 안정, 식품산업 육성 등에 관한 사업이다.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농산물 시장 개방화의 거센 흐름 속에서 수출농업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농업의 활로를 개척하는 데도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에 더해 aT가 심혈을 쏟는 게 농식품 분야 청년 일자리 창출. 농식품업계엔 수많은 종류의 일자리가 있음에도 농업에 대한 젊은 층의 오해와 정보 부족 등으로 취업의 미스매칭이 발생하기 쉽다. 하지만 농식품산업은 유통, 제조·가공, 마케팅, 수출 등 생산 이후 과정이 매우 중요해 전자·기계공학, 경영·경제학, 회계학, 어학, 법학 등 다양한 전공의 인력을 필요로 한다.
‘얍’ 회원 2606명
이에 aT는 농식품 분야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과 이해를 높여 장기적인 농식품 인력과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한민국 농식품 미래기획단 ‘얍(YAFF, Young Agri-Food Fellowship)’을 운영 중이다. 청년층과 식품기업 간 네트워크와 매칭 프로그램의 부재로 일자리 창출과 우수 인재의 중소기업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2014년 시작된 ‘얍’은 대학생들에게 ‘농식품산업 이해→관련 직업 체험→인재 육성→최종 취업’으로 연결되는 농식품 인재 육성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특징. 지난 3월 제3기 발대식을 연 ‘얍’의 회원은 6월 1일 현재 2606명(국내 2048명, 해외 8개국 558명)으로, 온라인 회원까지 합하면 4318명에 달한다(회원 인터넷 카페 cafe.naver.com/yaff).
‘얍’의 주요 프로그램은 3가지. 우선, 국내 농식품 관련 강소(强小)기업 탐방 등을 통해 기업의 일자리 여건 및 향후 산업 전망 등을 체험하는 ‘기업 탐방 및 연수사업’을 들 수 있다. 또한 대학생들에게 식품 관련 기업의 채용 시스템 및 인재상 등 주요 정보를 해당 기업 인사담당자에게서 직접 상담받는 ‘식품·외식기업 일자리 페어’와 세계 주요국 식품기업에서 현장 실무 경험 기회를 갖는 ‘글로벌 진출 식품기업 해외인턴십 프로그램’이 있다.
올해 들어서도 6월 7일 회원 40여 명이 CJ제일제당 본사 탐방 및 취업설명회에 참가했는가 하면, 지난해 중국·베트남(8월), 싱가포르·필리핀(10월)의 유망 식품기업과 연계한 1, 2차 해외 인턴십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2016 국제식품박람회’ 운영요원으로 대학생 청년 마케터 11명이 미국, 중국 등 해외 9개 도시에 파견됐다.
주요 수출국에 진출한 한국 식품기업에 대한 해외 인턴십은 곧잘 취업과 연계된다. 해외 식품수출기업 연수를 통해 지난해 12월 남양유업의 베트남 수출 전담 협력업체 (주)나눔씨앤씨에 채용된 최경영 사원은 “aT의 차별화한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현지 주재원의 꿈을 이뤘다”며 “전 세계를 누비며 한국 식품의 경쟁력과 차별화한 마케팅 전략으로 해외시장에서 멋지게 활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aT의 이런 노력에 힘입어 ‘얍’ 회원 가운데 대학 졸업 및 예정자 581명 중 37%인 215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그중 125명은 정규직이다(2015년 말 취업 현황 전수조사 결과).
팝업 레스토랑 직접 운영
aT는 글로벌 마케팅 기법 및 영업전략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한국외식업협회와 ‘Good Job, Good People!(좋은 일자리, 우수 인재)’ 협약을 체결했고, 올해 3월엔 동일본 농식품수입유통협회와 일자리 협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좋은 일자리, 우수 인재 육성’ 산학 연계 캠페인의 하나로 국내 대학과 인재 육성을 위한 제휴에도 나선다. 지난 2월엔 성균관대, 서강대, 한국외국어대와 글로벌 인턴십, 기업 탐방 등 취업지원 프로그램 제공과 학점 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또한 ‘지역 대학생 일자리 소통 취업 캠프’도 연다. 지난해 11월 영·호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 행사를 개최해 지역 대학생 간 소통 활성화 및 청년 네트워크 구축에 힘썼고, 앞으로도 지역 대학생들의 일자리 찾기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aT의 청년실업 해소 노력은 ‘얍’에 그치지 않는다.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공간인 ‘에이토랑(aTorang, aT+레스토랑)’과 ‘에이티움(aTium, aT+청년의 꿈과 싹을 틔우다)’도 힘을 보탠다. 이는 젊은이들이 창업을 통해 성공과 실패를 미리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한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주는 게 공공기관 역할 중 하나라는 발상에서 비롯됐다.
더 풍부한 회원 전용 기사와 기능을 만나보세요.
▼ 한·중 FTA 발효로 중국은 우리에게 더욱 중요한 시장이 됐다. 대(對)중국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선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공격적으로 진출할 좋은 기회다. 하지만 우리 농식품의 중국 수출을 확대하려면 검역문제 해소와 고급화 전략이 필요하다. 대다수 과실류가 검역문제로 수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중국의 잦은 식품사고에 따른 불신 정서를 역이용해 우리 농식품을 안전한 고급식품으로 포지셔닝하는 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단순한 상품 수출에서 벗어나 우리 식문화도 전파해 소비 저변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연 600여 만 명의 유커(遊客)를 활용한 체험형 식문화 관광 활성화가 필요하다.
최근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 내 온라인 유통망과 연계한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 전략도 절실하다. aT는 지난해 5월 알리바바 티몰(Tmall)에 국가관으로선 처음으로 한국식품관을 개소했고, 같은 해 8월엔 우리 농식품 수출 확대에 걸림돌인 중국 내 냉동·냉장 물류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 ‘칭다오 농수산식품 물류센터’를 준공했다. 향후 칭다오 물류센터와 온라인몰을 연계해 생산자-해외소비자의 유통단계 최적화로 대중국 수출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겠다.”
aT는 서울 양재동 aT센터를 리모델링해 농업분야의 다양한 전시 체험과 첨단 마케팅의 장(場)으로 탈바꿈시키는 ‘aBC(agriculture Business Center)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 농산물의 1단계 유통시대를 열기 위한 일환으로 지난해 12월 aT센터에 ‘aT 스마트 스튜디오’를 개설했는데.
“농산물 유통비용은 전체 농산물 가격의 45%를 점한다. 고비용·저효율 구조다. 평균적으로 산지 농산물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산지 수집상, 도매상, 소매상 등 5~7단계를 거친다. 온라인·모바일 유통이 대세인 최근의 유통 트렌드를 감안해 이젠 농산물 유통구조도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마트 스튜디오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바로 잇는 직거래 플랫폼으로, 생산한 농산물의 동영상·사진 등을 온라인 콘텐츠로 제작한 후 인터넷 홈페이지나 블로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려 손쉽게 알리고 판매하는 1단계 유통시스템이다. 6월 현재 제품 동영상·사진 95건의 촬영을 완료했고, 50건이 대기 중이다. 그간 과다한 유통비용과 마케팅으로 어려움을 겪던 영세 농가나 중소 식품업체, 청년 창업자 등 누구나 쉽게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첨단마케팅 효과를 누리고 신유통 패러다임의 실현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1시·군 1스튜디오 설치로 확대하려 한다.”
▼ 기상이변 등에 따른 농산물 가격 불안에 따라 소비자도 마음고생이 심하다. 농산물 수급 불안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은.
“농산물은 기후 급변 등으로 현실적인 수급 불안정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정확한 수급 정보 확보, 효과적 분산, 비축·방출 등 실물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때 불안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는 수급조절위원회를 통해 국내 수급 상황을 감안, 수매·비축과 시장 격리 등 농산물의 선제적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수급 정보 공동 플랫폼을 활용한 농업 빅데이터를 구축, 관리해 효과적인 수급정보 전파에 노력하는 한편, ‘온라인 수급종합상황실’을 활용해 주요 품목별 종합수급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적기에 수급대책을 마련 중이다. 특히 농산물 수급 안정 기능을 강화하려고 올해부터 계약재배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농산물의 직공급을 통해 가격변동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생산자는 안정된 공급처 확보, 수요자는 안정적인 원료 조달을 통한 예측가능한 경영 활동의 기반이 될 것이다. 올해 우선 추진되는 배추·무 계약재배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철저히 준비해 농산물의 구조적 수급 안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
‘일 몰고 다니는 운명’
“농식품유통교육원은 농산물 유통 개선과 식품산업을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1985년 설립됐다. 2014년 리모델링한 현대적 교육시설, 수도권(수원)에 위치한 접근 편리성, 분야별 전문 교수진을 통해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14만 명의 교육생을 배출했다. 올해도 농식품산업 트렌드를 반영하고 고객 니즈(needs)에 맞게 세분화·전문화된 교육계획을 수립해 운영하려 한다. 전체 88개 과정 8600명을 대상으로 유통·식품분야 전문인력 양성교육을 실시한다.
농산물 CEO MBA, 농식품 미래 유통 혁신리더, 마케팅 경영인 전문가, 식품외식산업 전문가 등 4개 장기 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농식품 창업교육과 미래 인재 육성교육, 은퇴자를 대상으로 한 ‘은퇴 후 삼시세끼 요리교실’ 등을 개설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할랄 수출·유통 전문가 과정, 해외시장 온라인 진출 전략 과정, SNS 홍보콘텐츠 제작 활용 실무과정 등도 있다.”
김 사장은 올해로 39년째 농업분야에 전념해온 농정 전문가. ‘농안법’ 파동, 우루과이라운드 이행계획서(CS) 파동, 한·중 마늘협상 파동, 한·미 간 쇠고기 협상 파동, 농협법 개정 등 농정 역사상 굵직하면서도 민감했던 현장을 지켜오다 보니 ‘파동 인생’이란 별명이 붙었다. ‘일을 몰고 다니는 운명’이란 농담을 듣는 김 사장에게 또 어떤 일이 기다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