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N 사옥 내 라이브러리. ‘지식을 다루는 기업’답게 NHN은 지식의 보고인 책을 중시한다.
한국 대표 포털 사이트 네이버(www.naver.com)는 NHN의 인터넷 서비스다. NHN은 인터넷 벤처 기업 설립 붐이 일었던 1999년 서울 테헤란로에 직원 40명으로 시작해, 현재 직원이 3500명에 달하는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경부고속도로 판교나들목을 지날 때마다 한눈에 들어오는 NHN의 사옥 ‘그린 팩토리’ 건물 상부에는 NHN의 CI(Corporate Identity)가 붙어 찾아볼 수 있다. 2009년 기업 홈페이지 개편에 맞춰 리뉴얼한 CI는 영문 서체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조형성을 살려 한 획 한 획 그어놓은 듯한 느낌으로 디자인했다. NHN의 브랜드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의 창의적인 디자인과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는 CMD(Creative Marketing · Design)본부 조항수 센터장의 말을 들어보자.
“각 획은 커넥트, 즉 연결과 링크를 상징합니다.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사람과 사람을, 사람과 정보를, 그리고 정보와 정보를 연결하고 소통의 고도화를 추구하는 것에 NHN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NHN의 새 CI는 아주 오래전, 인간이 정보를 표현하던 방식인 상형문자에서 모티프를 얻었죠. 돌이나 흙에 글자를 새겨 기록하던 방식 말입니다. 끝과 끝은 통한다고, 아주 예스러운 언어가 곧 미래지향적인 언어가 될 수도 있으니 누구보다 앞서 미래를 내다볼 줄 알아야 하는 NHN을 상징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벤처 기업”
네이버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상단 탭에서 ‘나의 경쟁력, 네이버’라는 문구를 발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이버의 서비스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개인의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데 네이버가 기여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정한 슬로건이란다.
“사실 마케팅적 관점에서 볼 때 ‘경쟁력’이라는 단어가 결코 부드럽게 다가오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네이버가 사용자에게 실용적이며 핵심을 관통하는, 즉 본질적인 쓰임새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미사여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인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실용과 본질, 그리고 가치를 중시하는 네이버는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소통하는 ‘능동’,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변화’,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젊음’ 의 세 가지 키워드로 대변된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여전히 젊은 생각과 자세를 가지려 긴장하는 모습이다. 남다른 생각을 하려는 용기와 도전을 멈추지 않는 것. 능동적인 자세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 이것이 네이버가 말하는 ‘젊음’이다.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는 불가하다
인터브랜드는 ‘2011 세계 100대 브랜드’ 중 브랜드 가치 상승률이 가장 높은 5개 브랜드를 선정했다. 그중 애플, 아마존, 구글, 삼성전자 4개가 IT브랜드다. 게다가 하락세가 가장 큰 5개 브랜드 노키아, 닌텐도, 소니, 야후, 델 역시 모두 IT브랜드였다. 이는 어떤 산업보다 소비자의 요구와 업계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명민하게 업계를 이끌어나가야 살아남는 IT업계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결과다. 조 센터장은 “서비스 전방위에 걸쳐 사용자와 시대가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한 흐름을 찾고 발견하려고 노력한다. 웹에서의 성공이 모바일에서의 성공까지 보장해주지 않는다. 급변하는 IT업계에서는 네이버라고 해도 5년 뒤에 어떻게 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며 위기감을 표현했다.
사실 네이버가 론칭 시점부터 포털 사이트 업계 1위였던 것은 아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국민 메일 계정’으로 불렸던 한메일(hanmail) 서비스로 한국 포털 사이트를 주도하고 있었다. 네이버가 다음을 앞선 것은 2002년 ‘지식인(iN)’서비스를 출시하면서부터다. 다른 포털에서는 ‘맛집’ ‘홍대’ 등의 단어로 검색해서 얻던 결과를, 네이버에서는 ‘홍대에서 파스타 맛있는 곳’ 같이 한국어와 한국인 생활양식에 맞는 구절로 검색해 바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 지식인 서비스는 사용자가 궁금한 모든 것을 물어보도록 했고, 정말 그에 맞는 답을 내놓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질문을 하지 않는 이유가 지식인 때문이라는 우스갯소리가 통용될 정도였으니.
조 센터장은 “디자인이나 마케팅을 잘한다고 해서 좋은 브랜드가 만들어지는 것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검색에 강하고 지식인 서비스를 통해 구글이 주지 못하는 가치를 줬으며 블로그, 카페와 같은 커뮤니티 플랫폼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는 것.
또한 네이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로 알려주기 위해 네이버캐스트 같은 콘텐츠 DB도 쌓아가고 있다. 사용자가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라는 피드백을 받지 않도록, 네이버는 사명감을 가지고 ‘한국어와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아카이빙’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NHN은 이런 콘텐츠 DB가 훗날 네이버의 거대한 자산이 될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