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새 연재 | 황승경의 ‘눈으로 듣는 음악’

시대가 요구한 인물 만든 자코모 푸치니

  • 황승경| 국제오페라단 단장·공연음악 감독 lunapiena7@naver.com

시대가 요구한 인물 만든 자코모 푸치니

1/4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는 낭만적인 요소와 선율적인 요소, 극적인 요소를 모두 가진 가장 연극적인 작곡가라고 할 수 있다. ‘나비부인’ ‘토스카’ ‘라보엠’ 등 그의 주옥같은 오페라 12작품은 우리 귀에 친숙하다. 비록 이탈리아어를 못해도 그가 보여주는 음악의 입체적인 영상은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그것은 그가 창조한 주인공들이 바로 대중이 열광하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선악으로 대비되는 양면적인 여인들이 아닌, 성격은 다를지라도 모두들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결정하고 대처하는 지극히 인간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들이 주인공이었다.
시대가 요구한 인물 만든 자코모 푸치니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

‘푸치니’라고 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탈리아 레스토랑이나 카페, 음반가게를 떠올린다. 요즘에는 유모차 상표로까지 쓰인다고 하니, 지구 반대편에서 자신의 이름이 이렇게 여러 용도로 쓰인다는 것을 푸치니가 알면 어떤 표정을 지을지 궁금하다.

자코모 푸치니(1858~1924)는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로 생전에 주옥같은 오페라 12작품을 남겼다. 주요 레퍼토리인 ‘나비부인’ ‘토스카’ ‘라보엠’ 등은 우리 귀에 친숙하다. 낭만적인 요소와 선율적인 요소, 극적인 요소를 모두 가진 가장 연극적인 오페라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비록 이탈리아어를 한 마디 못해도 푸치니가 보여주는 음악의 입체적인 영상은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푸치니가 태어난 1858년은 이탈리아가 1차 통일이 되기 3년 전으로, 사회·정치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격변의 시기였다. 고대 로마 제국이 붕괴된 476년부터 이탈리아반도는 하나의 단일국가가 아닌 조각조각 나뉜 도시국가 형태로, 혹은 강대국의 지배를 받는 신세로 1000년이 넘도록 지속됐다. 중세시대에는 종교가 국가보다 우위에 있었기에, 마키아벨리를 제외하면 아무도 국가관을 내세우면서 대의를 위한 전국 통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대신 자신들의 세를 확장하기 위해 도시국가 간, 혹은 가문 간 세력다툼이 난무했다. 예를 들어 16세기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을 중심으로 이룬 르네상스의 인간중심사상이 유럽의 판도를 바꾸어놓았을 때에도, 이탈리아반도 사람들은 자국의 사상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메디치 가문의 일이라고 생각했을 정도다.

도시국가 이탈리아

그러던 중 이탈리아는 프랑스혁명으로 전파된 자유와 평등사상에 무한한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얼마 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나타난다. 나폴레옹이 태어난 1769년의 코르시카 섬은 원래 이탈리아령(領)이었다. 이탈리아인에게 이탈리아식 이름인 보나파르테로 친근하게 다가온 나폴레옹은 이탈리아를 침공해 이탈리아반도 전체와 시칠리아 섬을 프랑스 영토에 편입시켰다. 이를 계기로 이탈리아 지식인들은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상에 서서히 눈을 뜨게 되었고, 그들에게는 새로운 사상에 대한 열망의 불씨가 타오르고 있었다.



초창기 나폴레옹이 이탈리아를 침략할 때, 수많은 지성인은 그가 혁명의 이름으로 조국을 해방시키러 오는 자유주의자라고 믿고 구체제에 항거했다. 푸치니는 그의 5번째 작품 ‘토스카’에 이 혁명사상으로 불타는 시기를 담았다. 1800년 6월 어느 하루 동안의 이야기로, 주인공 토스카의 애인인 화가 카바라도시는 나폴레옹을 지지하는 자유주의자로 나온다. 로마를 다스리는 나폴리왕(당시 왕비는 프랑스혁명으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마리 앙투아네트의 동생이었다)에 대한 반역죄와 경찰서장의 질투가 실타래처럼 뒤엉켜, 화가 카바라도시는 로마 천사의 성에서 총살당하고 토스카는 자살하는 비극적 내용이다.

독일의 작곡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도 그의 교향곡 3번 영웅(Symphony No.3 in E flat Major, ‘Eroica’ op.55)을 자유주의자 나폴레옹에게 헌정했다가 그의 정복 야심에서 비롯된 무자비한 전쟁을 겪고는 나폴레옹 이름이 나오는 앞장을 찢어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이렇듯 1900년에 오페라 ‘토스카’가 초연됐을 때, 많은 사람에게 오페라에 내재된 100년 전의 나폴레옹 이야기는 과거의 이야기였지만 현재와 연결돼 더욱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

혁명사상으로 위장한 나폴레옹이 황제에 즉위하면서 그를 따르던 지성인들은 그 속내를 알아차린다. 이어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에 참패해 유배되고, 이탈리아의 운명은 오스트리아, 영국, 러시아, 프로이센 등의 전승국이 자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빈회의(1814년 9월∼1815년 6월)에서 결정된다. 모든 것을 혁명 전의 시대로 되돌리기 위해 전쟁 전 왕정복구를 결정한 빈회의에 따라 이탈리아 남부는 전쟁 전처럼 프랑스 부르봉왕조에서 파생된 나폴리왕가로 넘겨진다. 북부의 도시국가들은 모두 해체되고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는다. 지배자들은 자유주의, 민족주의 이념의 확산을 철저하게 감시했다.

그러나 이것은 오히려 이탈리아인의 가슴에 불을 지폈고, 통일에 대한 강렬한 희망의 등불은 좀처럼 꺼지지 않았다. 유일하게 왕권을 유지하고 있던 사보이왕가는 나폴레옹의 침략에서 살아남아 이탈리아 영토인 사르데냐섬과 빈회의에서 할당받은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 지방을 손에 넣는다. 예로부터 탁월한 외교술로 영토를 확장했던 사보이왕가는 사보이지방 귀족가문에서 1713년 스페인의 왕위전쟁의 공로로 시칠리아를 불하받으면서 본격적인 왕가의 위엄을 가질 수 있었다. 사보이왕가는 오스트리아의 비위를 맞추면서도 이탈리아반도 통일을 위해 비밀스럽게 군사력을 증강하면서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1/4
황승경| 국제오페라단 단장·공연음악 감독 lunapiena7@naver.com
목록 닫기

시대가 요구한 인물 만든 자코모 푸치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