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독거노인 D씨와 이라크 파병

독거노인 D씨와 이라크 파병

1/2
독거노인 D씨와  이라크 파병
바빌로니아의 디오게네스는 거리에 굴러다니는 맥주통을 거처로 삼아 노숙생활을 했다. 어느 날 왕이 그를 방문하여 소원을 물었다. 디오게네스는 “따뜻한 햇볕을 즐기는 것 이외에는 다른 소원이 없다”며 왕에게 “햇볕을 가리지 말고 좀 비켜달라”고 대꾸했다.

이 유명한 디오게네스의 에피소드는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어왔는데, 빈곤의 관점에서 보자면 요즘의 빈곤 개념을 송두리째 뒤엎는 것이다. 디오게네스처럼 햇볕 한 줄기면 족할 정도로 욕구수준을 낮출 수만 있다면 빈곤은 더 이상 문제될 게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오게네스의 시대는 모든 가치가 돈으로 환산되는 오늘날의 정글 자본주의 체제는 아니었으리라. 빈곤의 개념이란 연구할수록 어렵다.

구룡마을은 부동산 투기에 눈먼 부자들의 땅으로 알려진 서울 강남구에 자리한 비닐하우스 촌이다. 이 마을에는 가난한 아이들에게 무료로 영어를 가르치는 외국인 신부님이 세 분 살고 있다. 그런데 방의 길이가 신부님들의 키보다 작아 신부님들은 잠 잘 때 장롱 속에 발을 집어넣어야 한단다. 장롱이래야 벽돌 위에 선반을 얹어 커튼을 친 것에 불과하지만.

그런데 좀 이상하다. 구룡마을의 다른 집에 가보면 집이 무척 좁고 가난하게 느껴지는데 신부님들의 집은 그다지 좁지도, 가난해 보이지도 않는다. 곰곰이 생각해보다 그 이유를 찾았다. 신부님들의 집에는 다른 집에서는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잡동사니며 자질구레한 생활용품이 없었던 것이다. 앞서 말한 장롱과 책상 하나, 그리고 성경책 한 권이 신부님 방에 있는 물건 전부이다.

이 때문에 신부님들의 방에 들어가면 영혼의 향기까지 느껴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아마도 신부님들은 물질 중심의 자본주의 사회를 사는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영성(靈性)을 가진 사람들일 것이다.



지난 여름 인도에 갔을 때 소나 돼지처럼 바깥에서 잠을 자는 사람들을 어디서나 볼 수 있었다. 이들을 보자 문득 만화영화 ‘정글북’에서 곰 발루가 부르는 노래 ‘곰의 필수품(Bear Necessities)’이 생각났다. ‘걱정이나 불화는 잊어버려요. 그리고 물질은 최소한의 필수품으로만. 그게 우리 곰들이 쉽게 살 수 있는 이유죠.’ 이것이 이 노래의 가사다.

곰은 그저 먹이를 구할 수 있고, 천적으로부터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다면 행복해한다. 짝짓기 철에 잠시 수컷과 암컷이 사랑을 나누면 그만이다. 더 이상의 애정에 대한 욕구도, 식구의 생계에 대한 책임도 없다. 자신을 쫓는 천적에게서 벗어났을 때 느끼는 행복을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있을까? 곰에게 이것 외에 더 필요한 것은 없는 것 같다.

동물들과 더불어 자연의 일부로 살아가는 인도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다른 어느 문명사회보다 높다고 한다. 그 이유가 어쩌면 그들이 자연에 순응해 욕구를 단순화했기 때문은 아닐까. 혹은 깊은 신앙심으로 현세보다는 내세의 행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인도 사람들은 끊임없이 물질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사회 속의 우리들과는 분명 다른 삶을 살고 있었다.

이라크에서 미국을 향해 벌어지는 테러가 연일 신문지상을 장식하는 가운데 이라크에 국군을 파병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이 결정되었다. 명분 없는 전쟁터에 우리 젊은이들을 보내려는 겨울의 문턱에서 서로 다른 문명에서 겪은 경험이 사회 부적응을 낳을 수 있음을 경고하는 몇 가지 상담사례를 떠올려본다.

1/2
목록 닫기

독거노인 D씨와 이라크 파병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