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벌이 자신의 호를 그대로 따 건립한 ‘충재’. 후손들은 이곳에서 공부를 하고 토론을 즐겼다.
동북쪽으로는 문수산 자락이 마을을 둥글게 감싸고 있고, 서남쪽으로는 암탉이 알을 품은 형상의 백설령이 뻗어 있다. 동남쪽으로는 신선이 옥퉁소를 불었다는 옥정봉이 마치 활개치는 수탉의 형상으로 서 있다. 조선중기 실학자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擇里志)’에서 이 마을을 조선의 8대 명당으로 지적했다. 서쪽 산에서 이 마을을 바라보면 금계포란의 형국이라는 것이다.
이 닭실마을 한가운데 숨어 있는 일군의 정통 한옥이 바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文臣) 충재(?齋) 권벌(權?·1478~1548) 선생의 종택이다. 조정에서 바른말 잘하기로 이름났던 권벌 선생은 안동 출신으로 중종 2년(1507) 문과에 급제했으나 중종 15년(1520) 훈구파가 사림파를 몰아낸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다. 그후 이 마을에 내려와 14년 동안 농토를 개간하고 후진을 양성하며 경학에 몰두했다.
중종 28년(1533) 복직된 권벌은 1545년 의정부 우찬성에 올랐으나 그해 명종(明宗)이 즉위하면서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 다시 파직되고 그후 전라도 구례와 평안도 삭주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명종 3년(1548) 71세로 서거(逝去)했다. 나중에 그의 억울함이 밝혀져 영의정에 추증되고, 충정공이란 시호를 하사받았다.
어둠이 내리는 초저녁 선조들이 늘 그래왔듯이 사랑채엔 불이 켜지고 종손이 책을 읽는다. 희미한 등잔만이 형광등으로 바뀌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