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생활에는 본질적으로 긴장과 갈등이 수반된다. 결혼생활의 진실을 유쾌하게 담은 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의 한 장면.
A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에서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는 서로가 경쟁조직의 킬러라는 사실을 모른 채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그런데 이 부부에게 아주 평범한 위기가 닥친다. 권태기다. 처음 만났을 때의 설렘은 찾을 수 없고, 섹스도 거의 하지 않는다. 심각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담을 받지만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던 중 임무를 수행하다 둘은 서로의 실체를 알게 되고, 조직으로부터 상대를 죽이라는 명령을 받는다. 이제 적이 된 두 사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서로를 죽이기 위해 쫓고 쫓기는 게임을 하던 이들은 결정적인 순간에 힘을 합쳐 훼방꾼을 없애버리고, 이 사건을 계기로 다시 사랑에 빠진다.
이 영화는 결혼생활과 부부관계에 관한 많은 진실을 담고 있다. 결혼이란, 환상에서 시작해서 목숨을 건 전투를 거쳐 비로소 사랑과 미움이 교차하는 평범한 생활로 들어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서로의 모든 것을 낱낱이 알고 있을 것만 같은 부부가 오히려 상대방에 대해 전혀 모를 수 있다는 코미디 같은 진실은 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를 통해 생생히 드러난다.
연애할 때는 그토록 신비롭고 생각만 해도 가슴을 설레게 만들었던 그 사람이 왜 결혼 후에는 신비로움을 잃어버리고 평범한 아저씨, 아줌마가 되어버리는 걸까? 이에 대해 뇌과학자들은 “사랑은 유효기간이 있는 화학작용의 하나이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이들에 따르면 사랑의 감정을 조절하는 기관은 뇌의 변연계인데, 여기서 사랑의 각 단계마다 도파민과 페닐에틸아민, 옥시토신, 엔도르핀 등의 신경 전달 물질이 분비된다. 사귄 기간이 18~30개월쯤 되면 항체가 생겨 사랑과 관련된 화학물질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감정이 시들해지고 권태기가 온다는 것이다.
권태기가 오는 또 다른 이유는 상대에 대한 호기심의 상실에 있다. 사람은 어리석게도 한 사람이 자신의 소유가 되면 그에 대해 다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더는 알려 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 호기심은 사람을 깨어 있게 하고 관계를 맺도록 도와주는 주된 동력이기 때문에 호기심이 사라지면 관심과 열정 또한 사라지게 된다.
흔히 시간은 나이에 비례해 빨라진다고들 한다. 스무 살 때는 시속 20km로 흘러가는 듯 보이던 시간이 서른 살이 되면 30km, 마흔 살이 되면 40km로 점점 빠르게 흘러간다는 얘기다. 주관적으로 달라지는 시간의 속도는 호기심의 정도와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세상 모든 것이 새롭고 신기한 어린 시절에는 하루가 무척 길게 느껴진다. 하지만 점점 많은 경험을 하고 세상사에 대해 심드렁해지면, 어제가 오늘 같고, 내일도 오늘 같은 하루하루를 보내게 된다. 그 사이 시간은 언제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후딱 흘러가고 만다. 배우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호기심을 잃어버리는 순간, 상대는 그저 옆에서 같이 생활하는 늘 똑같은 사람이 되어버리고 만다.
완벽한 사랑에 집착할수록 행복한 결혼생활은 멀어진다
배우자에 대한 호기심이 사라지는 또 다른 원인은 상대에 대한 실망이다. 우리의 친구들은 완벽하지 못하다. 우리는 그들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이 그런 친구를 용납하는 현실감을 가졌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끼며 친구 관계를 이어나간다. 그러나 사랑에 대해서만은 고집스럽게도 완벽한 사랑에 집착한다. 영국의 저널리스트인 리처드 스틸은 “결혼이란 우리가 이 세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이미지의 천당과 지옥”이라고 했다. 인류학자인 말리노브스키는 “결혼은 우리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를 선물한다. 그 문제란 인간의 꿈 중에서 가장 감정적이고 가장 낭만적인 꿈을 일상적인 관계 속으로 합치시켜야 한다는 과제다”라고 했다.
어쩌면 결혼이란 매일매일 묻어나는 잘못과 모욕의 얼룩을 감내해야 하는 실크 옷감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다른 관계라면 상처 받을 일들이 매일 벌어지는 공간인 것이다. 한 사회학자는 이에 대해 “(결혼생활 속에서) 한 사람은 어떠한 증오나 분노 혹은 상처를 주려는 의도 없이 단지 자신의 존재를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고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