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산 높고 물 좋고 술 맑고!

막걸리 원정대의 운악산 기슭 양조장 답사기

산 높고 물 좋고 술 맑고!

1/4
  • 가평과 포천은 ‘경기 5악(岳)’의 하나인 운악산을 사이에 두고 접해 있다. 운악산은 ‘경기도의 소금강’이라 불릴 만큼 산수가 빼어나다. 이는 좋은 술을 잉태할 수 있는 천혜의 여건. 운악산 주변을 한 바퀴 돌며 세 곳의 명문 양조장을 둘러봤다. 자연 속 ‘낮술 4차’의 흥취를 더해가면서.
산 높고 물 좋고 술 맑고!

배상면주가의 누마루에서 바라본 운악산.

막걸리 공부를 하려는 사람들이 밟는 절차가 있다. 우선 맛을 보고 싶어하고, 그 다음엔 만들어지는 것을 보고 싶어하고, 그러고 나면 직접 빚어보고 싶어한다. 그 세 가지를 다 할 수 있어서 막걸리학교 문을 두드리는 것 같다. 오늘은 막걸리 원정대 6차 답사를 떠나는 날이다. 궁금증의 두 번째 단계, 즉 만드는 과정을 보기 위한 여행이다.

막걸리 양조장들은 좀 폐쇄적이어서 양조장 탐방이 쉽지 않다. 술이란 어두운 곳에서 혼자 익어가는 것이라 보호가 필요하므로 뭇사람으로부터 격리된 채로 지낸다. 발효되고 있는 술은 양조업자에겐 강보에 싸인 아이와 같다. 누가 보면 탈날까 조바심을 친다. 또한 비법이 새나갈까봐, 세무서나 식약청의 지적사항이 나올까봐 일반인에게 공개하기를 꺼린다.

이번에 막걸리 답사를 준비하면서 섭외 대상으로 삼은 한 양조장에서도 퇴짜를 맞았다. 한두 사람이 오는 것은 환영하지만 40명이 찾아오는 것은 곤란하다고 했다. 그 이유도 딱히 달지 않고 그저 “사장님이 안 된다고 한다”는 통지뿐이었다. 양조장 자체가 관광지나 공개된 공간이 아니니 주인이 못 들어온다고 하면 어쩔 수 없다. 술 기행이 활성화하지 못하는 것은 이런 저간의 사정 때문이다.

다행히 막걸리 바람이 불면서 몇몇 선구적인 양조장이 전시장과 시음장, 체험공간 등을 갖춰가고 있다. 1차 답사를 한 충북 진천의 세왕주조, 2차 답사를 한 경기 포천의 배상면주가, 3차 답사를 한 경기 안성의 정헌배인삼주가, 예산사과와인이 시음장 또는 강의장을 갖췄다. 시음장을 갖췄다는 것은 손님맞이할 준비가 돼 있다는 표시다. 2차 답사를 한 ㈜포천막걸리·포천이동막걸리·상신주가, 3차 답사를 한 충남 당진의 신평양조장, 4차 답사를 한 충남 천안의 입장탁주는 개방할 형편은 못 되지만 막걸리학교와 인연이 있어서 양조장을 개방한 경우다.

오늘 6차 답사의 일정은 탐방객을 위한 시음장과 전시장 오픈을 앞둔 경기 가평의 ㈜우리술을 방문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양조장을 한 군데만 들르는 것으로는 하루 일정을 풍성하게 하기 어려워서 그 주변 양조장을 함께 둘러보기로 했다.



㈜우리술이 위치한 가평은 ‘경기 5악(운악산 화악산 관악산 감악산 송악산)’의 하나인 운악산을 사이에 두고 포천과 접해 있다. 운악산은 ‘경기도의 소금강’이라 불리는데, 가을 단풍이 좋아 10월말이면 단풍객이 줄지어 오르는 산이다. 이렇듯 산수가 좋으니 그 주변 동네들은 좋은 술을 잉태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셈이다.

양조문화 새 장 여는 배상면주가

막걸리 원정의 동선(動線)은 이 운악산을 한 바퀴 도는 것으로 잡았다. 첫 번째 방문지는 운악산 서쪽에 자리 잡은 배상면주가(경기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511)다. 1996년 설립된 배상면주가는 2002년 갤러리 산사원의 문을 열었고 최근에는 서울 시내에 연달아 5개의 미니 양조장을 만들어 새로운 막걸리 문화를 이끌고 있다. 산사원은 양조장이 단순히 술을 만드는 공간이 아니라 문화를 만들어내는 공간임을 보여주는 곳이다. 야외에는 소주 항아리 숙성실과 체험관을 마련해 술 테마파크의 꿈을 키워가고 있다.

배상면주가의 배영호 대표는 1988년 강원 강릉시 남항진의 작은 약주 양조장에서 일을 시작할 무렵, 강릉의 자그마한 골동품 가게에서 새끼가 촘촘히 감겨 있는 누룩틀을 사면서 주기(酒器)에 관심을 갖게 됐다. 산사원 갤러리의 1층에는 양조 도구들이 전시돼 있는데, 배영호 대표가 쌈짓돈을 털어 모은 물품들이다. 갤러리에는 술 빚는 법이 적힌 고문헌들과 소주를 내리는 고리 등이 있다.

지하 1층은 술 저장고와 시음장이다. 술 시음장으로 내려서는 계단 옆에는 술빵, 술과자, 술엿, 술약과, 술장아찌 등 술지게미로 만든 가공식품들이 전시돼 있다. 그리고 시음대에는 다양한 술이 놓여 있다.

1/4
허시명| 술 평론가 sultour@naver.com |
목록 닫기

산 높고 물 좋고 술 맑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