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중·일 한의학 삼국지 한국 한의학, 세계 제패할까?

한·중·일 한의학 삼국지 한국 한의학, 세계 제패할까?

1/2
의학(醫學)의 한자인 ‘醫’의 의미는 본래 받침인 ‘酉’가 아니라 ‘巫’로부터 시작된다. 의학의 기원을 무속으로 본 것이다. 역사적인 기록도 이런 견해를 반영한다. “지금 세상은 병이 나면 점치고 기도를 드린다. 그러므로 질병이 더욱 심해진다. 이것을 비유하자면 활을 쏘는 자가 과녁을 수리하는 격이다.” ‘여씨춘추’ 진수편(盡數篇)에서 무당인 무의는 황제에게도 접근했다. 한(漢) 무제가 병에 걸리자 무당을 불러 제사를 지내고 난 뒤 병이 나았다. 이후 무제는 무당의 권유에 따라 자신을 감추고 그림자 정치를 펼친다.

진시황제도 마찬가지다. 제나라 사람인 서불(서씨 혹은 서복)을 보내 불사의 묘약을 찾게 했다. 한종 후공 같은 방사에게도 불사의 묘약을 찾게 했으나 불로불사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병으로 죽었다.

이에 비하면 조조는 냉철한 이성의 소유자였다. 무당과 같은 방사인 좌자·감시·극검 등 많은 사람을 불러 모았지만, 그들을 차갑게 감시할 뿐 신뢰하지 않았다. 화타도 그의 이성적 판단을 넘어선 치료법을 제시하자 과감히 죽여버리는 극단적 행동을 보인다.

무당으로부터 벗어나 이성적 치료방식을 적용한 최초의 명의는 역시 편작이다. 그는 ‘무당을 믿고 의사를 믿지 않는 자의 병은 낫지 않는다’는 명언을 남겼으며, 생·병리를 음양이론에 맞춰 합리적으로 설명했다.

그에 비하면 화타는 이단아다. 마비산이라는 약물을 이용해 마취하고 절개하고 수술한다는 것은 외과의학의 존재를 증명한다. 인도 의학의 전통으로 추론되지만 너무나 혁신적이고 이단적인 치료법은 조조에게 거부되면서 사라지고 말았다. 화타와 편작은 무의(巫醫)에 이은 신의(神醫)에 가깝다는 평가다.



실존했던 한의학 이론의 집대성자는 장중경이다. 전국시대부터 진·한대에 이르기까지 우상적 질병관에서 이성적 질병관으로 그 흐름을 바꾸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호남성 태수를 지낸 관리로 그의 일족 200여 명 중 3분의 2가 전염병에 걸려 죽었다.

그는 전염병을 깊이 관찰한 뒤 이를 6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질병의 특징적인 증상과 치료방법 및 처방을 기록했다. 증상과 처방이라는 대증적, 논리적 방식은 많은 의학자를 매료시켰고 모든 처방의 비조(鼻祖)로 불린다. 이는 한의학이 그저 음양오행의 관념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전염병 치료를 통해 질병을 관찰하면서 비롯된 임상 영역의 학문임을 증명한다. 특히 일본의 한의학자들은 지금도 장중경의 상한론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면서 진료한다.

관료, 정치가, 학자인 장중경이 의학에 투신한 이유는 뭘까. 사농공상(士農工商) 중 의사는 공(工)에 속해 그 순위가 상인 바로 앞이다. 점치는 사람과 같은 기술자 대열에 끼였으며 잡류로 분류됐다. 그런데 동양학에서는 훌륭한 재상이 되지 못하면 훌륭한 의사가 되라고 강조한다. 이 점은 의술을 인술이라 칭하는 점과 통한다. 인(仁)의 기본적 함의는 남을 아끼고 사랑하는 애인(愛人)이다. 의술은 병을 치료해 사람을 구하는 것이므로 백성이 병들지 않고 위아래가 화목해 국가와 사회가 평안에 도달한다는 유학적 이념과 통한다.

장중경을 기점으로 의학의 학문적 영역과 기술적 영역이 구분된다. 학문적 영역은 유의(儒醫)들이 맡고 기술적 영역은 일반 의료 활동을 하는 한의사들이 맡아온 것이다. 한의학은 실전 경험을 통해 입증된 것들을 이론으로 승화했다. 먼 상고시대부터 이어진 단편적이고 분산된 많은 경험을 분류하면서 종합과 향상을 추구했고 이것이 이론으로 재현돼왔다. 음양오행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해서 한의학이 발전한 게 아니라 임상 성과의 취합 과정에서 논리적 도구로 사용돼왔을 뿐이다. 경험하지 않은 사실을 논리적으로 추론해 질병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이지, 그것이 한의학의 전부가 아니라는 얘기다.

장중경 이후 정치 관료와 유학자들이 의학 영역에 뛰어들면서 무의와 신의의 시대에서 유의의 시대가 열렸다. 우상에서 이성으로, 그리고 기술의 영역에서 논리의 영역으로 접어든 것이다. 논리의 영역에서 배제된 것은 전수하고 계승되던 전문가의 영역이다. 진료를 담당하는 의술은 멸시되고 배척당했으며, 응용적 기술의 승화는 제한을 받았다. 그 결과 한의학서들은 유학자들이 장대한 논리를 표방하면서 비슷비슷한 내용만 담게 됐다. 실제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영역의 책은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1/2
목록 닫기

한·중·일 한의학 삼국지 한국 한의학, 세계 제패할까?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