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간은 어떻게 가게 됐나요?
“2010년 1월 갑작스럽게 정해졌어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아프간 지방재건사업(PRT) 일환으로 추진한 바그람 미 공군기지 내 한국병원 운영을 인제대 백병원이 맡게 됐어요. 전국 5개 백병원에 근무 중인 의사를 비롯한 의료진은 다 꾸렸는데 책임자가 없었지요. 파견 의사가 전부 젊은 총각이라 현지 병원에 의료장비와 진료 시스템을 구축할 총괄 관리자가 필요했어요. 그때 병원장을 자원했습니다. 제가 간다니 사람들이 놀라더군요. 결혼하고 애 있는 사람은 아무래도 잘 안 가려고 하거든요.”
▼ 가족의 반대가 심했을 것 같아요.
“부모님은 전쟁터에 뭐 하러 가냐고 펄쩍 뛰셨죠. 친구나 제가 아는 의사들도 거길 왜 가느냐고 했습니다. 하지만 집사람은 저를 이해해줬어요. 평소 해외선교를 많이 다니고, 불가리아 카자흐스탄 등에도 다녀온 사람이거든요. 아프간 파견을 덤덤히 받아들이고 열심히 기도해줬지요.”
▼ 왜 굳이 전쟁터에 가려 하신 건가요?
“종교인으로서 사명감이 있었고, 현지 상황을 잘 모르기도 했어요. 아프간에 가기 전까지는 위험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 않았거든요. 전쟁터로 간다는 건 알았지만 실감을 못했죠. 현지에 도착한 뒤 비로소 전쟁이 무엇인지 알았고, 눈물도 많이 흘렸어요.”
연세대 의대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친 박 교수는 고려대 의대에서 비뇨기과 박사학위를 받고 전문의 자격을 획득한 뒤 군에 입대했다. 독실한 종교인으로 의대생 시절부터 의료봉사에 열심이었던 그는 제대 후 전주예수병원에 취업했다.
“선교사 병원이에요. 당시 원장이 미국인 닥터 실(Dr. Seel)이었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설대위 박사’로 더 많이 알려진 분인데, 설암 분야의 권위자이면서 선교사시죠. 그분을 평소 굉장히 존경했어요. 저도 그분처럼 의료 선교를 하고 싶었고요. 전주예수병원 의사 중 상당수가 선교사로 해외에 나가기도 합니다. 그런데 저는 결혼하고 딸이 생긴데다 당시만 해도 믿음이 부족하고 소명의식이 약해 선교사가 되지는 못했어요.”
박 교수는 전주예수병원에서 6년간 근무한 뒤 1989년 인제대 서울백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국내 의료봉사활동을 시작했다. 2000년부터는 해외 의료선교를 시작해 네팔, 캄보디아, 몽골, 이집트 등 6개국을 10여 차례 다녀왔다.
▼ 아프가니스탄은 다른 의료 봉사지와 느낌이 달랐겠지요. 아프가니스탄의 첫인상은 어땠나요?
“두바이를 경유해 작은 비행기로 갈아타고 바그람 기지에 들어갔어요. 3시간 반 정도 걸려 도착했는데 가는 내내 비행기 창문 아래로 황토만 보이더군요. 2월 말이었는데 흙산에 눈이 많이 덮여 있었고, 나무 한 포기 풀 한 포기 없었어요. 말 그대로 누런 황토색 광야였지요. 아프간 시골은 민가도 전부 흙집이에요.”
황무지 폐허의 땅
▼ 바그람 기지에 첫발을 디딜 때는 무슨 생각이 들던가요?
“주위에 군복 입고 완전무장한 사람밖에 없는 점에 놀란 기억이 나요. 민간인은 우리 일행뿐이니 얼떨떨했죠. 전쟁터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확 들더군요.”
▼ 기지에 도착해 무슨 일부터 했습니까?
“병원을 둘러봤어요. 새로 지은 콘크리트 2층 건물인데 아무 준비가 안 돼 있더라고요. 인테리어가 없는 건 물론이고 온통 먼지구덩이데요. 의료진 전부가 쓸고 닦는 일부터 시작했죠. 병원에서 쓸 책상이며 가구, 진료실 침대와 세면대, 냉장고, 시계 등 집기도 우리가 비행기 타고 두바이까지 가서 직접 사왔어요. 전쟁터에서 그런 물건을 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아프간 시내를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도 없었거든요. 그곳에서 한국 사람은 굉장한 ‘봉’으로 소문나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