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1/2
  • 직장인에게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가 지방간이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과음이 주 원인이다. 간에 무리가 가면 쉽게 피로해지고 의욕도 떨어진다. 방치하면 간암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 혹사당한 간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칡으로 지방간을 치료하고, 간암 시한부 판정을 받았다가 흰민들레 등 갖은 약초로 건강을 되찾은 사례가 있어 소개한다.
◇ 칡

평소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해 술자리가 끊이지 않던 김인호(63) 씨. 가정과 직장생활에 충실한 남편이자 아버지이고, 저녁이면 친구나 동료들과 어울려 술 한잔 기울이는 것을 낙으로 여기던 평범한 샐러리맨이었다.

“일주일에 3, 4일은 꼭 술을 마셨어요. 술자리가 시작되면 끝까지 남았죠.”

그렇게 술을 벗 삼아 지낸 지 어언 수십 년. 건강에는 자신 있던 김씨의 몸에 이상신호가 오기 시작했다. 피로가 쉽게 풀리지 않아 낮에 일하다 졸기 일쑤였고, 밤에도 잠을 깊이 청할 수 없었다. 운전하다가 졸아 사고가 날 뻔한 아찔한 순간도 있다. 입맛이 없어 밥을 적게 먹어도 배는 늘 더부룩했고, 화장실을 다녀온 뒤에도 시원하지 않았다. 몸의 이상을 느낄 무렵 배가 점점 불러왔다. 아내 최혜숙(54) 씨는 김씨의 건강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직감했다.

“몸무게는 그대로인데 배가 임신 8개월만큼 볼록하게 나왔어요. 주변에서 남편에게 ‘언제 출산하느냐’고 놀릴 때마다 마음이 아팠어요.”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br>

정체불명 ‘넝쿨’과 한판 전쟁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br>

김씨는 아내의 손에 이끌려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다. 진단결과는 오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 2009년 가을이었다.

병원에서는 이렇게 술을 계속 마실 경우 지방간에서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의사는 우선 3개월 약을 먹고 나서 다시 검진을 받으러 오라고 했다. 평소 감기에 걸려도 약을 잘 먹지 않던 김씨는 선뜻 내키지 않았다. 생활습관에 뭔가 큰 변화를 주지 않는 한 약으로는 치료하기 어려울 듯했다.

결국 김씨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도시를 떠나 귀농하기로 결심했다. 술로 생긴 병이니 가장 먼저 술을 끊어야 할 텐데, 그러려면 술자리가 많은 도시를 떠나야 할 것 같았다.

“병원 약을 안 먹겠다고 했을 땐 많이 걱정했죠. 하지만 남편의 의지는 완강했어요.”

50년 가까이 도시에서만 산 아내 최씨는 막막했다. 농사 같은 건 TV에서나 볼 수 있는, 남의 일처럼 여겨온 터. 더욱이 30년 넘게 운영하던 유치원까지 접어야 했기에 무작정 남편을 따라나서긴 쉽지 않았다.

하지만 남편의 건강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연치유 방법을 찾겠다는 남편의 굳은 의지를 한번 믿어보기로 했다. 최씨 역시 평소 이런저런 알레르기로 불편을 느끼던 차에 생활환경을 바꿔보는 것도 괜찮을 듯싶었다. 그렇게 김씨 부부는 경기도 인근 산속에 터를 잡았다.

화색 돌고 뱃살도 ‘쏙’

초보 농사꾼에게는 모든 것이 낯설고 모르는 것 투성이였다. 산에 심은 나무들은 정체 모를 넝쿨에 시달렸고, 그 넝쿨의 뿌리는 땅속 깊숙이 박혀 농사짓는 걸 방해했다. 자르고 파내고, 김씨 부부는 이 넝쿨식물과 한바탕 힘겨운 전쟁을 벌였다. 그러기를 여러 날, 동네 주민에게서 이 넝쿨식물의 정체를 듣고서야 전쟁을 그쳤다. 그건 다름 아닌 칡이었다.

그동안 ‘이 귀한 칡을 갖다 버렸다니….’ 어이가 없었다. 김씨 부부는 그때부터 칡을 캐서 복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달여 먹는 방법밖에는 몰랐다. 그런데 땅속 깊이 박혀 있는 칡을 필요할 때마다 캐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아내 최씨가 알아낸 방법이 칡뿌리로 발효액을 담가 장복하는 것이었다. 또 절구에 빻은 칡을 물에 넣고 주무른 뒤 가라앉은 전분으로 묵을 만들어 식사 대용으로 남편과 함께 먹었다. 깨끗한 전분을 얻기 위해 하루 한 번씩, 3일 동안 물을 갈아줘야 하는 등 손이 많이 갔지만 점점 건강해지는 남편을 보면서 힘든 줄 몰랐다.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김씨가 술을 끊고 칡으로 만든 음식을 복용한 지 6개월쯤 지나자 검은빛을 띠던 얼굴색도 밝아지고 임신부 같던 배도 쏙 들어갔다. 병원 검사 결과 간 기능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아내 최씨의 알레르기도 사라졌다. 친구들이 갱년기 증상으로 힘들어할 때도 최씨는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칡이 가족의 건강을 지켜주는 수호신처럼 여겨진다는 김씨, 그리고 그런 남편을 위해 요리하는 것이 가장 행복하다는 아내 최씨. 땅속 깊이 뿌리내린 칡처럼 오늘도 두 사람의 사랑은 더욱 깊어져간다.

김인호 씨의 칡 건강밥상

■칡영양밥

생칡을 우려낸 차를 밥물로 쓰고, 6년 된 칡 발효액과 발효시킨 칡뿌리를 더해 밥을 짓는다. 밥 한 그릇에 칡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달콤 쌉싸래한 칡 향이 쌀알에 스며들어 그 맛이 일품이다.

■가마솥 칡백숙

가마솥에 깨끗이 손질한 칡뿌리와 칡잎, 엄나무, 감자, 마늘, 토종닭을 한데 넣고 푹 끓인다. 칡은 성질이 서늘하고, 닭은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음양의 궁합이 잘 맞는 여름철 보양식이다.

■칡묵

칡 전분으로 쑤는 묵. 절구에 찧은 칡을 물에 넣고 주물러 전분을 빼낸 뒤 건져서 물기를 꼭 짠 후 버린다. 칡의 전분이 섞인 물을 하루 동안 두면 밑에 흰 전분이 가라앉는데, 이때 윗물은 버리고 새 물로 갈아준다. 하루에 한 번씩 3일 동안 이 과정을 반복하면 새하얀 빛깔의 깨끗한 전분을 얻을 수 있다. 칡 전분과 물을 7:2 비율로 섞어 약한 불에서 끓인 후 걸쭉해지면 원하는 모양 틀에 넣어 식힌다. 이렇게 완성된 칡묵을 무침이나 묵 국수로 해먹어도 좋다.

■칡순 샐러드

봄부터 초여름까지 얻을 수 있는 칡순도 영양이 풍부하다. 어린 칡순은 제철 채소 및 과일과 함께 샐러드로 주로 활용한다. 소스 역시 칡으로 만들 수 있는데, 산딸기로 만든 잼에 칡 발효액을 섞어 샐러드에 뿌려 먹으면 맛이 일품이다.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br>



1/2
김경민 | 채널A 방송작가
목록 닫기

간 해독하는 ‘땅속의 진주’ 칡 간암 환자 살려낸 흰민들레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