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주식시장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왔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랠리는 지난해 4·4분기부터 본격화됐다. 9·11테러로 460포인트대까지 떨어졌던 종합주가지수는 지난해 10월에 500선, 11월에 600선을 회복했고, 올해 들어서는 1월에 700선에 안착하더니 2월말에는 800선마저 돌파했다.
경기의 침체와 활황을 구분짓는다는 800선을 넘어선 마당이라 조만간 900선을 넘을 것이다, 올해 안에 1000포인트에 도달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또한 향후 1000포인트를 넘어서면 지수 세자리 시대로는 영원히 돌아가지 않으리라는 장밋빛 전망도 그럴 듯하게 들린다.
지난해말 이후 국내 증권시장의 활황세를 견인한 일등공신은 삼성전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3월 둘째주까지 랠리가 이어지는 동안 종합주가지수는 463.58에서 850.61로 상승했다. 이 기간에 삼성전자 주가는 13만4000원에서 36만8500원까지 치솟았다. 종합주가지수가 저점에서 83.5% 올라오는 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무려 175%나 뛰어올랐다. 지수 상승률과 비교해도 ‘더블’ 이상의 수익을 올린 것이다.
하지만 증시의 관심은 그저 삼성전자 주가가 많이 올랐다는 데 쏠려 있는 게 아니다. 초점은 현재 주가에서 과연 얼마까지 더 올라갈 수 있을 것인가에 맞춰져 있다.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아 삼성전자의 주가상승 추이에 따라 종합주가지수의 상승탄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한국경제의 성장속도를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외국인들은 삼성전자를 통해 한국 증권시장, 다시 말해 한국경제를 읽는다. 삼성전자 주식의 외국인 지분율은 사상최고 수준인 60%에 육박하고 있다. 외국인들이 삼성전자에 이렇듯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경영투명성 높아져
삼성전자를 오랫동안 지켜본 사람들은 지금의 삼성전자가 예전의 삼성전자가 아니라고 말한다. 단적인 예를 보자. 올들어 미국 증시가 약세를 보인 것은 경기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 탓이기도 하지만, ‘엔론사태’로 상징되는 기업 비리도 주요인이었다. 일개 기업의 파산이 주식시장 전반에 악재로 작용한 것은 이 사건을 통해 부실회계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부실회계는 기업의 신뢰도를 무너뜨리는 가장 치명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경기에 대한 전망은 비관에서 낙관으로 전환하고 있으나 부실회계 문제는 아직도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증시를 위협하는 복병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한국의 상황은 대조적이다. 최근 몇년간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계열사에 대한 부당지원, 상속과정의 불법성 등을 문제 삼았던 참여연대가 올해 주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참여연대는 “금융회사들의 주주총회에 나가야 하기 때문에 여력도 없지만, 삼성전자에 대해 새로 문제제기할 만한 이슈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회사측과 7시간 넘게 ‘격전’을 치렀던 것과는 딴판이다. 의미있는 변화다. 삼성전자의 경영투명성은 더 이상 의혹의 대상이 아니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1999년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일 때 유행했던 말이 ‘쌍끌이 장세(외국인과 기관의 동시 순매수)’라면 최근 주식시장에서 새로 등장한 말은 ‘리레이팅(Re-rating, 새로 등급 매기기)’이다. 리레이팅이란 삼성전자의 경우처럼 달라진 기업경영 분위기를 재평가한다는 의미다. 과거에는 기업이 주주들의 이익을 무시하고 계열사 지원, 과잉투자 등으로 몸집 불리기에만 급급했지만, IMF체제를 거치면서 구조조정을 통해 그런 ‘구조’를 개선했다는 얘기다. 다시 말해서 과거엔 한국기업이 외국의 경쟁기업과 같은 수준의 이익을 냈다 해도 그같은 성장일변도 경영관행을 감안, 주식가치를 할인(discount)했지만, 이제는 그런 요소가 사라졌기 때문에 주가도 제값을 쳐줘야 한다는 논리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