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모두를 위한 디자인은 획일성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취향과 움직임, 신체의 변화에 따라 적극적으로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식에 적응하며 변화해가는 디자인이 바로 어댑티브 디자인(Adaptive Design)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대로 맞춰주는 디자인은 궁극적인 개인화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준다. 동아일보가 발행하는 ‘동아비즈니스리뷰(DBR)’ 96호는 메타트렌드미디어그룹이 선정한 ‘좋은 어댑티브 디자인 사례’를 게재했다. 누구에게나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어댑티브 디자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 날씨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주택 D*Haus Dynamic, D*HAUS COMPANY
디*하우스(www.thedhaus.com)의 주택 콘셉트 디자인인 ‘디*하우스 다이내믹’은 독특한 외관만큼이나 진보적인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 집은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돼 있으며 각 모듈은 절묘한 메커니즘에 따라 회전해 집의 모양을 바꿔놓는다. 집이 들어선 바닥에는 모듈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도형이 그려져 있는데 위에서 보면 마치 미스터리 서클을 보는 듯하다. 햇볕을 향하게 하거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창문 밖의 풍경을 바꾸기 위해 건물 자체를 움직이는 키네틱 빌딩(Kinetic Building)의 개념에 모듈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변화의 폭을 확대한다. 센서를 탑재해 외부 기온이 낮아지면 각 모듈이 서로 붙어서 열효율을 높이고 더운 날에는 모듈을 넓게 배치해 열전도를 막는다.

PPP(ppp.aircord.co.jp)의 ‘츠미키’는 블록을 쌓는 형태와 위치에 따라 여러 동물이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블록이다. 프로젝션 매핑과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츠미키는 세 가지 방식을 선보인다. 첫 번째 동물 시리즈는 블록을 쌓는 형태에 따라 토끼, 사슴, 기린 등이 나타난다. 동물 블록을 서로 마주 보게 하면 실제 이야기를 나누듯이 소통하는 것처럼 보인다. 숫자 시리즈는 블록을 순서대로 놓으면 사칙연산이 되는 형태를 담는다. 나무는 블록 위로 입체적인 나무 패턴을 그려낸다.
사실 블록은 누구나 어릴 때 한 번쯤은 가지고 놀았을 만큼 평범한 도구다. 블록은 연령대에 상관없이 누구나 갖고 놀 수 있고 어디에 어떻게 블록을 쌓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모습을 창조해낼 수도 있다. 츠미키는 블록이 가진 범용성과 창의성을 직관적이고도 인터랙티브하게 표현한다.
● 에너지 소비 패턴을 학습하는 온도 조절 장치 Nest, NEST LABS

네스트를 처음 집에 설치한 후에는 사용자가 1주일간 네스트를 가르쳐야 한다. 네스트는 특정 기간 난방, 냉방의 정도를 모두 학습하며 내장된 모션 센서로 사람의 집안 출입을 체크하거나 조명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통해 온도 조절의 필요성을 스스로 감지한다. 와이파이(Wi-Fi)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실외에서 모바일 앱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 네스트가 집 안에 2대 이상 있다면 네스트끼리 서로 교신한다. 사용자의 에너지 소비 패턴을 학습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똑똑한 온도조절 장치는 편리하면서도 실용적인 인터페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