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최근 수년간 강원랜드는 주목할 만한 변화를 겪었다. 강원랜드의 설립 근거인 ‘폐광지역개발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폐특법)이 2025년까지 10년간 연장된 게 가장 큰 계기가 됐다. 지난해 11월에는 숙원사업이던 카지노환경개선사업(환경개선사업)이 정부 승인을 받았다. 2003년 메인카지노가 설립된 이후 카지노 영업장이 확장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개선사업으로 강원랜드의 카지노 영업장은 기존 6354㎡(약 1922평) 규모에서 1만1824㎡(약 3576평)로 2배가량 확대됐다. 고객 서비스 수준도 한결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종합 리조트로 발돋움하면서 이런저런 국제행사가 강원랜드에 몰리고 있다. 시설과 운영면에서 국내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가 입소문을 탄 덕분이다. 지난해 5월 강원랜드에서 치러진 국제스키연맹(FIS) 총회에는 110개국에서 1800여 명의 스키 관계자가 방문했는데, 완벽에 가까운 행사였다는 찬사가 쏟아졌다. 특히 평창올림픽을 유치하고 난 뒤 열린 첫 동계스포츠 관련 국제행사여서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강원랜드 측은 “강원랜드가 MICE산업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음을 입증한 행사”라고 자평했다. MICE산업은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s), 컨벤션(Convention), 이벤트와 박람전시회(Events · Exhibition)를 융합한 개념이다.
경제효과 3조7000억
강원랜드는 지난 15년간 꾸준히 성장하며 지역사회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경제적 측면에서만 봐도 세금과 기금을 포함해 3조7000억 원 이상을 창출했다. 인근 4개 시군(태백, 정선, 영월, 삼척)을 포함한 강원도 지역에 직접 투자한 금액만 1조4000억 원이 넘었고, 폐광지역 개발기금과 지방세로 1조900억 원을 내놨다. 지역 식자재 우선 구매, 지역업체 아웃소싱, 사회공헌 사업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가져온 경제적 파급효과도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조3000억 원에 달한다. 강원랜드 관계자는 “그동안 강원랜드는 도박중독 문제 등으로 인해 좋지 않은 인상을 심어준 측면도 있다. 그러나 폐광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설립취지에 걸맞은 경영활동과 투자를 벌여 많은 성과를 냈다. 고객에게 감동을, 지역에는 활력을, 직원에겐 희망을 주자는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 결과”라고 말했다.
강원랜드 임직원은 3000명이 넘는다. 협력업체 직원까지 포함하면 4500여 명에 달한다. 이들 중 약 75%는 폐광지역 출신이다. 일자리 창출에 있어 강원랜드는 언제나 강원도의 중심에 있었다. 지난해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환경개선사업도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 테이블게임이 132대에서 200대, 머신게임이 960대에서 1360대로 각각 52%, 42%씩 늘어나면서 5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만들어졌다. 강원랜드는 올해 상반기에만 2차례에 걸쳐 신입사원을 뽑아 현장에 배치했다. 이들 역시 상당수가 폐광지역 출신이다.
지역상생과 동반성장에서도 큰 성과를 냈다. 협력사들과 함께 상생 방안을 마련해 여러 가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협력사의 사회적 기업 전환 지원, 서비스 수준 평가제도 도입,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 갑(甲)의 횡포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강원랜드의 협력사 동반성장 정책은 시선을 끌 만하다.